Eunyoung Park (Associate Professor of Art History, Ewha Womans University)
Books have been the most historical medium for recording and preserving knowledge, while also serving as a contemporary medium for conveying ideas and generating new ways of thinking through text. They function as archives, collecting and managing history, while also serving as cultural mediators that bridge the past and present. For over 25 years, artist Kang Airan has used books as both the subject and material of her work, creating diverse installations, media art, and interactive projects. In an era where the meaning and existence of books are being tested by the rise of digital media, Kang's practice has expanded from contemplating the book’s meaning and function to generating visual and spatial experiences mediated by the book. As she herself noted, her work reflects on the evolving role of books and contemplates their transformation in the future.
From the early stages of her career, Kang has explored the potential of books to embody and transmit intangible knowledge. In the late 1990s, she first incorporated books into her practice by visualizing them as “Pouches of Thought,” where the shapes of books were cast inside bottari. From the 2000s, she began actively integrating book with media art, most notably in her Digital Book Project, which has become central to her artistic career. In this project, she installed lighting inside transparent plastic book-shaped objects, choosing the names of artists, thinkers, and social activists who inspired her as the titles and adorning the covers with images related to them. These “Lighting Books” were presented in various installation formats, such as being stacked in layers or arranged in a grid on walls. In addition, Kang displayed photographs and video recordings of bookstores from various countries alongside the Lighting Books. As a result, these books serve as instruments that generate visual and spatial experiences beyond their previous role for reading.
Beyond visual experiences, Kang's work with books has evolved to engage tactile and auditory senses as well. The Virtual Books (2003) is a work in which, when viewers touch an open Lighting Book placed on a desk, the contents of the book are projected onto the gallery wall. In The Singing Book, as the viewer approaches the book, sensors trigger a video of a song to be projected onto the open Lighting Book. Since the late 2000s, Kang has sought to transcend the physical limitations of books by exploring ways to spatially present text and communicate it to viewers. This is exemplified in her 2009 Sublime series, where viewers would place one of the Lighting Books on a desk within the gallery, activating an RFID sensor that caused passages from the book, along with related images, to be projected onto the wall and narrated aloud.
Kang’s interest in the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viewers has evolved into the creation of multisensory experiences through the use of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n this exhibition. Starting in 2023, she began incorporating VR into her work as a way to offer viewers a more immersive experience. For this exhibition, she selected six texts and wrote a scenario based on them, collaborating with a technician to develop the corresponding virtual reality imagery. Viewers, equipped with VR headsets, first encounter a passage from “A Cyborg Manifesto” (1985) by Donna Haraway, a scholar in cyborg feminism. As they continue, they come across Room for Reflection, a virtual book, and upon touching it, they are faced with the “Towering of Intelligence"—an open, hexagonal bookshelf filled with Lighting Books. First installed in her 2016 solo exhibition at Arko Art Center, the Towering of Intelligence in this exhibition acts as an interface connecting different virtual worlds. When viewers touch the book in the center of the tower, they are transported sequentially into five distinct virtual worlds. These five worlds are built on surreal images based on desert landscapes: a purple desert, a desolate red desert, a dark night forest of rocks, a desert under a yellow sky, and a luminous white tree amidst a nightscape. As the texts in each space appear and dissolve into light, viewers spend time in each world before moving to the next via the book presented at the center of the Towering of Intelligence. After experiencing all the worlds, the guiding texts from each world move, intertwine, and bring the virtual experience to a close.
Along with VR technology, Kang also integrated AI into the production process of this work. She first used ChatGPT to help select the texts, inputting keywords related to her interests in women, the environment, and the posthuman, and instructed the AI to suggest related phrases. After checking the AI’s suggestions by comparing them with the actual texts, she finalized the selections for the work. Moreover, the voices narrating the texts in the virtual worlds and in the exhibition space are a mix of male and female voices with AI-generated voices. In addition, she commissioned a composer to create six mechanical background scores for the virtual spaces. This exhibition, built with these technologies, creates multiple layers of experiences within the gallery space. While those wearing VR headsets use their bodies to experience the three-dimensional space, other viewers can experience the virtual world as two-dimensional visual images on screens installed in the gallery. In addition, texts and images extracted from the virtual reality are projected onto other walls, with sound resonating throughout the space. Through this convergence of Kang’s intellectual inquiry into books with AI and VR technology, the exhibition constructs a world where text, image, and sound intersect, allowing viewers to experience multilayered space and time.
The selected texts for the exhibition reflect the artist’s grow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and climate issues, concerns that develop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Notably, the work begins with a passage by Haraway, which challenges binary divisions such as human and animal, human and machine, and male and female, reflecting the artist’s interest in exploring 'beings in between' as a way to seek alternatives to current crises. The subsequent five virtual worlds are based on writings by individuals such as Denis Mukwege, a doctor from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who contributed to women’s healthcare; Rosi Braidotti, a scholar discussing posthuman themes from feminist perspectives; Jane Goodall, a zoologist and environmental activist; Ana Mendieta, whose performances connect the earth with female identity; Sherry Mitchell, a Native American social activist; and Elizabeth Kolbert, a Pulitzer Prize-winning author known for her reporting on species extinction. These AI-assisted texts center on feminist perspectives, proposing solutions to contemporary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while emphasizing sustainability through empathy and coexistence.
Kang’s feminist perspective has developed alongside her body of work. In a 2000 artist’s note, she pointed out that books not only represent the history of human intellectual identity but also serve as mediums that convey and uphold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social values. Building on her critique of the patriarchal system constructed through books, Kang has worked to highlight feminist art and history recorded in text or to revisit history from a feminist viewpoint. Her initial interest in feminist art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eventually expanded to encompass specific research on Korean women’s history, including female poet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issue of 'comfort wome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New Women" of Korea’s modern period. Since the late 2010s, in collaboration with various institutions, she has explored Korean women’s history through her works and exhibitions. One notable example is her collaboration with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where she researched the archives of hospital directors and head nurses from Korea’s first modern women’s hospital and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 Bo Gyu Nyeo Kwan (普救女館). These figures’ narratives were reimagined in installations, video, and sound works.
Kang's Digital Book Project illustrates the intersection of media art and feminist art history while also reaffirming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archives in contemporary Korean art. In particular, as seen in this exhibition through the Towering of Intelligence within the virtual space and the bookshelves installed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of the gallery, the numerous Lighting Books scattered across both the virtual and physical worlds serve as an archive of the artist’s career and her intellectual trajectory, visually embodying the art, philosophy, and social issues that have long captivated her. In a conversation with the author, Kang mentioned that, while teaching university students, she found it impossible to cease her academic inquiry and experimentation with mediums. This exhibition, held as she approaches retirement next year, is not merely a summation of her past work, but rather, it affirms her engagement with new technologies and ongoing intellectual pursuits, inspiring even greater anticipation for her future endeavors.
책의 사유와 다층적 시공간: 강애란의 <디지털 북 프로젝트>, 2024
박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책은 지식을 기록하고 보존하는 가장 역사적인 매체이자, 텍스트를 통해 사유를 전달하고 새로운 사고를 생산하는 동시대적인 매체이다. 이러한 책은 역사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아카이브로서 기능하기도 하고,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문화 매개체로서 역할하기도 한다. 강애란 작가는 2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책을 작업의 소재이자 주제로 삼고 다양한 설치, 미디어 아트, 인터렉티브 작업을 펼쳐왔다. 디지털 매체의 발전과 함께 책의 존재 의미가 시험받는 이 시대에 책의 역할과 앞으로의 변화 과정에 대해 생각해 보고 싶었다는 작가의 말처럼, 강애란의 작업은 단순히 책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민에서 나아가 책을 매개로 다양한 시각적이고 공간적인 경험을 만들어내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왔다.
작가는 작업 초기부터 무형의 지식을 담고 전달하는 책의 가능성에 관심을 가졌다. 1990년대 말 그는 책을 작업의 소재로 처음 사용했는데, 보따리 형태 내에 책을 담아 ‘생각 주머니’로서의 책을 시각화하였다. 2000년대 들어 작가는 책과 미디어 아트 간의 접목을 본격적으로 시도하는데, 바로 그의 작업 세계를 관통하는 <디지털 북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작가는 책 모양의 투명 플라스틱 오브제 안에 조명을 설치하고, 작가에게 영감을 준 미술가, 사상가, 사회운동가를 책 제목으로 선택하여 이들과 연관된 이미지로 책 표지로 꾸몄다. 이렇게 제작한 ‘라이팅 북(Lighting Book)’을 겹겹이 쌓거나 벽면에 그리드 형식으로 부착하는 등 다양한 설치 형태로 제시하였다. 또한 작가는 여러 나라에서 찍은 서점의 사진을 합성하고 벽면에 설치하거나 비디오 영상과 함께 라이팅 북을 전시하였다. 따라서 라이팅 북은 읽는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시각적이고 공간적인 경험을 만들어내는 도구로서 역할 하게 된다.
시각적인 경험을 넘어 작가의 작업 속 책은 관객의 촉각적이고 청각적인 경험을 위한 매체로도 발전하였다. 2003년 선보인 <가상의 책들(The Virtual Books)>은 책상 위에 펼쳐진 라이팅 북을 관객이 만지면 책 내용이 전시장 벽면에 투사된 작업이다. 또한 <노래하는 책(The Singing Book)>에서는 관객이 책에 다가가면 센서를 이용해서 노래하는 영상이 펼쳐진 라이팅 북 위로 투사되도록 하였다. 2000년대 후반 이후 작가는 책의 물리적 한계에서 벗어나 텍스트를 공간 내 제시하고 관객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숭고> 연작(2009)에서 관객이 라이팅 북 가운데 하나를 전시장 내 책상에 위치시키면 무선으로 사물의 코드를 인식하는 RFID 센서에 의해 책의 구절과 이와 관련된 이미지가 벽면에 투영되고 그 내용이 낭독되도록 하였다.
텍스트와 관객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은 이번 전시에서 VR(Virtual Reality) 기술을 사용한 공감각적인 경험의 창출로 이어지게 되었다. 작가는 2023년부터 관객에게 보다 현실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안으로서 VR 기술을 작업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번 전시를 위해 작가는 직접 선정한 6개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기술자와의 협업을 통해 이 시나리오에 따른 가상 현실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VR 헤드셋을 착장한 관객은 먼저 가상공간 내에서 사이보그 페미니즘 연구자인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의 「사이보그 선언문(A Cyborg Manifesto)」(1985) 글귀를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이어서 떠오른 가상의 책인 『반영의 방(Room for Reflection)』을 만지면 관객은 수십 개의 라이팅 북으로 채워진 열린 육각형 책장인 ‘지혜의 타워링’을 마주하게 된다. 이 지혜의 타워링은 2016년 아르코미술관에서 열린 작가의 개인전에서 설치되었던 작업으로 이번 전시에서는 서로 다른 가상 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interface)로서 역할 한다. 지혜의 타워링 중앙에 제시된 책을 만지면, 5개의 다른 가상 세계로 관객은 순차적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 5개의 세계는 보랏빛 사막, 황폐한 붉은 사막, 어두운 밤 바위 숲, 노란 하늘 아래 사막, 그리고 밤 풍경 속 빛나는 흰 나무 등 사막 풍경을기반으로 비현실적인 이미지로 구축되었다. 각각의 가상공간에 텍스트가 떠올랐다가 빛으로 흩어지면, 관객은 각 공간에서 자율적으로 시간을 보낸 후 지혜의 타워링에 나타난 책을 통해 다음 세계로 넘어가게 된다. 이 모든 세계를 경험한 후에, 각각의 세계를 인도한 텍스트들이 움직이고 서로 엮이면서 가상 현실의 경험은 마무리된다.
VR 기술과 함께, 작가는 작업 제작 과정에서 AI 기술 역시 도입했다. 작가는 먼저 텍스트 선정 과정에서 ChatGPT를 활용했는데, 여성과 환경, 포스트 휴먼 등에 대한 관심사를 바탕으로 키워드를 ChatGPT에 입력하고 관련된 문구를 추천할 것을 지시하였다. 이후 AI가추천한 문구를 실제 텍스트와 비교하여 확인을 거친 후, 작업을 위한 글귀를 최종 선정하였다. 또한 가상 세계와 전시장에서 텍스트를 낭독하는 목소리는 실제 남성과 여성의 목소리와 함께 AI 목소리를 사용하였다. 더불어 가상 현실을 위한 6개의 기계적인 배경음악은 작곡가에게 의뢰하여 만들어졌다. 이렇게 구축된 이번 전시는 가상 세계와 함께 전시장 내 여러 층위의 경험을 만들어낸다. VR 기기를 쓴 관객이 신체를 이용해 3차원 공간을 경험하는 동안, 다른 관객들은 전시장 내 설치된 화면을 통해서 이 가상공간을 2차원적 시각 이미지로 함께 경험하게 된다. 또한 전시장 내 다른 벽면에는 가상 현실에서 발췌한 텍스트와 이미지가 투사되고 음성이 공간에 울려 퍼진다. 이처럼 작가의 관심사와 책의 사유, 그리고 AI와 VR 기술의 만남을 통해 구축된 세계 속에서 텍스트와 이미지, 음향의 교차가 이루어지고, 관객은 다층적인 시공간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번 전시를 위해 선정된 텍스트들은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발전한 작가의 환경과 기후에 대한 관심사를 확인시킨다. 특히 작업의 시작은 도나 해러웨이의 글귀로 시작하는데, 이는 인간과 동물, 인간과 기계, 여성과 남성 등의 이분법적인 구분을 도전하고 ‘사이의 존재들’에 대한 관심으로 현재의 위기에 대한 대안을 찾고자 하는 작가의 관심사를 반영한다. 이어지는 5개의 가상 현실은 콩고민주공화국의 의사로 여성 치료에 공헌한 데니스 무퀘게(Denis Mukwege), 여성주의 관점에서 포스트 휴먼 주제를 논하는 로지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 동물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Jane Goodall), 대지와 여성 정체성을 연관시켜 퍼포먼스를 펼친 아나 멘디에타(Ana Mendieta), 미국 원주민 출신의 사회운동가인 셰리 미첼(Sherry Mitchell), 그리고 멸종 위기에 대한 보고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엘리자베스 콜버트(Elizabeth Kolbert)의 글을 바탕으로 구축되었다. AI의 도움으로 선정된 이러한 텍스트들은 여성주의 시각에서 현재 사회와 환경 문제에 대안을 제시하고 공감과 공존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논하는 대목이 주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작가의 여성주의 시각은 그의 작업 세계와 함께 발전하였다. 그는 2000년에 작성한 작가노트에서 책은 인간의 지적 정체성의 역사이기도 하지만,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사회적 가치를 전달하고 대변하는 매체로도 역할 한다고 지적하였다. 책을 통해 구축된 가부장적인 사유체계에 대한 비판을 바탕으로 작가는 텍스트로 기록된 여성주의 미술과 역사를 소환하거나 여성주의 시각으로 역사를 다시 보는작업을 발전시켰다. 미국과 유럽의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하여, 그는 조선시대 여류 시인, 일제 강점기 ‘위안부’ 여성 문제, 그리고 근대 시기 신여성과 같은 한국의 여성사로 그 연구 대상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2010년대 말부터는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서한국 여성사를 작업과 전시로 조망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과의 협력으로 한국 최초의 근대 여성 병원이자 의학교육 기관인 보구녀관(普救女館)을 거친 병원장과 간호원장 아카이브를 조사하고 이들의 서사를 설치, 영상, 음향 작업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강애란의 <디지털 북 프로젝트>는 미디어아트와 여성주의 미술사가 교차하는 지점을 보여주는 동시에, 한국 동시대 미술에서 아카이브의 역할과 의미를 확인시킨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 가상공간 속 지혜의 타워링과 전시장 2, 3층에 설치된 책장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가상공간과 실제 세계에 펼쳐진 수십 개의 라이팅 북은 작가가 그간 관심 가진 미술과 사상, 사회적 이슈를 보여주고 그의 사유의 궤적을 기록함으로써 작가의 작업 세계 아카이브로서 기능한다. 작가는 필자와의 대화에서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학문적인 탐구와 매체적 실험을 멈출 수가 없었다고 언급하였다. 내년 정년퇴임을 앞두고 열린 이번 전시는 그간 작업 활동의 정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학문적 관심사를 확인시킨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그의 활동을 더욱 기대하게 만든다.
Yunjo Park (A.P.23 Director, Art Historian)
Artist Airan Kang has visualized contemporary discourses on women and women's history trough the use of lighting books. Initially, from her first exhibition in 1986 until the end the century, Kang worked with images of traditional cloth wrappings using prints. Then from 2011, she turned lo new methods using technology focusing on representations of women in history through interactive works and lighting books.
Based on her research, Kang recreated the life trajectories of women in modern history in a biographical form bringing to life the space and time of the forgotten past. Her intentions were spelled out in the title of her exhibition held in 2016 at Arko Art Museum, {A Room of Her Own). Inspired by the words of Virginia Woolf that for women to be able to write she needs money and 'a room of her own, Kang created spaces in which women like Na, Hyeseok, Kim, Ilyeop, Choi, Seunghee, and Yoon, Shimduk can have a voice and be free to express themselves. For the victims of Japanese sex slave system 'Comfort Women' Kang used the sounds from interview clips and visual layout of letters to create a space in which their own history of retribution could be written. The five rooms in the exhibition, in which the victims of Comfort Women' could finally speak (we-voice) and the stories of New Women were re-evaluated (re-voice), created a dynamic web of relations symbolizing resistance against social customs.
In her interpretation of these women's lives Kang is also critical of the social prejudice that New Women like Na, Hyeseok, Choi, Seunghee, and Yoon, Shimduk led unfortunate lives. Kang claims that although they may have died away from home or have committed suicide, they were not failures but pioneers who lived out their beliefs regardless of what society thought of them. As a woman artist who herself has broadened her influence in the art world, Kang is aware that her artist life is possible because she had these fore-mothers. In fact, what Kang practices as an educat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ctive participation and providing many opportunities for her students seems to be a way of showing her indebtedness to these women of former generations.
Through her Art Book Kang shares her ideas and reflections on doing art. At first, Kang mainly focused on representative artists and ideas in the modern art history of the west, but gradually she moved on to contemporary artists and discourses. From Louise Bourgeois to Guerrilla Girls, and from Roy Lichtenstein to KAWS, Kang touches on important issues in feminism art and searches for ways of coming together of popular culture and art. Also, Kang has referred to the works of academics in her art work such as sociologist Arlie Russell Hochshild's theory on social structure and women's work, and Donna J. Haraway's theory on sympoesis and her reflection on modern science that addresses the need for a different epistemology. Thus, Kang's Art Book is a reflection of her trajectory as both an artist and educator in conversation with various thinkers and artists participating in social discourses.
This way of visualizing has been Kang's way of communicating with women's history and contemporary discourses. She has formerly called her prints and sculptures of traditional cloth wrappings wrappings of thought. In effect, book are also 'pockets of thought' with its ideas materialized on paper. By choosing to work with books Kang has played a role as a gatekeeper. When she first started her digital book project, Kang used visual aids and images to turn the exhibition space into a pseudo bookstore filled with books. She used spotlights to draw the attention of the viewers/readers to specific books. Later, she used actual bookshelves and divided the room into sections. Lighting books with its bright light drew the viewers into a dynamic relation with the object. For example, the {Towering Wisdom> (2016), a three-meter-tall object full of lighting books, is a metaphor for instant dynamic connection between authors and their readers. It is a visualized effect of the invisible. For Kang, books are not just objects but objects-in-action that move across time and space connecting past and present, art and life, object and viewers enabling multi-layers of conversation.
Especially the desk that is frequently used in her exhibition works as a device that connects the viewer with the interior space of books. As she said in an interview with a newspaper in 2011, for her, books are virtual and immaterial spaces that are constantly on the move. Thus, the desk is there for the reader as much as it is there for the writer. By inviting those who were and are denied a space of one's own into this specific time and space, Kang facilitates an exchange of dynamic emotions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The bright light of the lighting books on bookshelves and desks dramatizes the way one is exposed to various ideas and thoughts.
Kang emphasizes that books are not just objects but an embodiment of space and time. She claims that the message the lighting books send out through its shining light is, "Look at me. Read me. I want you to be changed by me." In other words, her lighting books are not just objects waiting to be seen, but active agents that shine and speak. No longer passively waiting on the bookshelves and desks collecting dust, it actively evokes women as speaking subjects. In this way Kang lighting books and her bookshelves and desks are also a way of writing history that brings to life the forgotten names of the women of our past. I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ur present discourse in which individuals, including Kang herself, are formed. The recordings' written in her works provide moments of spark to the herself, writers, readers/viewers as agent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encouraging all to be active agents in their lives and in history.
강애란: 행위주체인 사물을 통한 관계 맺기, 2022
박윤조 (A.P.23 디렉터, 미술사학자)
강애란은 라이팅북(lighting book)을 매개로 동시대 담론과 여성사에 대한 논의점을 시각적으로 구현해 오고 있는 작가다. 1986년 개인전을 시작으로 12년간 보따리 이미지를 중심으로 판화 작업을 해오던 그는 2011년 테크놀로지를 접목시키며 새로운 시도를 모색했고, 동시대 미술사와 작가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조선 시대부터 일제 강점기 이후 여성의 이름을 소환하여 그들의 삶을 인터렉티브 작품과 라이팅북에 담아 왔다.
책을 중심 소재로 삼는 과정에서 그는 자료 조사를 선행해 왔다. 강애란은 문헌을 바탕으로 근현대 속 여성의 행적을 한 권의 전기처럼 구현하고, 기억에서 사라져 버린 시공간을 복원한다. 그는 2016년 아르코미술관에서 열린 《자기만의 방(A Room of Her Own)》 이라는 전시 제목에서부터 이러한 의도를 피력한 바 있다. 그는 여성이 글을 쓰기 위해서는 돈과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는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말을 참조하며, 나혜석, 김일엽, 최승희, 윤심덕에게 목소리를 맘껏 펼칠 수 있는 공간을 헌사했고, 위안부 피해 여성들에게는 인터뷰 영상 속 음향과 활자의 레이아웃을 통해 복수의 역사를 기술할 수 있는 공론장을 제공했다. 역사 속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한 위안부 피해자들이 말하고(we-voice),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한 신여성의 이야기들을 재조명(re-voice)하는 5개의 방은 사회적 통념에 저항하며, 거칠면서도 역동적인 관계망을 생성해 냈다.
책 속의 인물을 통해 작가는 세상의 편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피력하기도 한다. 그는 나혜석, 최승희, 윤심덕과 같은 신여성들의 운명이 불행하다는 세간의 평가를 지적하면서, 객사 혹은 자살로 삶을 마감한 실패자라는 낙인 대신, 당대의 시선에 굴복하지 않고 자신의 소신대로 삶을 개척해온 전문가라고 항변한다. 작가 강애란은 한국 여성 작가로서 활동 무대를 넓혀온 자신의 삶이 그들이 걸어온 토대에서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하는 듯하다. 실제로 교육자로서 동시대 여성들에게 주체적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여러 기회를 제공해 온그의 삶은 앞선 세대에게 진 빚을 갚겠다는 소명의식에서 비롯된 것 으로 보이는 이유다.
아트북에서 강애란은 작업에 대한 연구와 성찰적 과정들을 공유한다. 그의 아트북은 초기에는 서구 현대미술사에서 거론되는 대표 작가와 사조를 다루었고 점차 당대의 현대작가와 중요 담론을 언급하고 있다.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에서 게릴라 걸즈(Guerilla Gits)까지, 그리고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에서 카우스(KAWS)에 이르기까지, 여성주의 미술에서의 중요한 논점과 함께 대중문화와 미술의 점점 등을 모색하며, 현대 미술작가들의 이름을 호명한다. 또한 사회학자 앨리 러셀 후실드(Arie Russell Hochshild)가 지적한 여성노동과 사회구조적 문제에서부터,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가 심포에시스(sympoesis) 개념을 통해 근대과학을 반성하는 새로운 인식론에 이르기까지, 그는 작품에 그들의 이름과 저서를 입력해 왔다. 강애란의 아트북은 미술작가로서 작품 세계를 끊임 없이 개발해 온 연구 과정과, 교육자로서 사회적 담론에 대한 관심과 논의를 이끌어내고자 노력해 온 교육방침을 반영하고 있다.
작가는 이처럼 여성사와 동시대 담론을 시각적 소통체계로 재편해 왔다. 그는 과거 판화와 조형물로 제작한 보따리를 '생각 보따리'라고 명명한 바 있다. 책 또한 '생각을 담는 주머니'로서 눈에 보이지 않고 손에 잡히지 않는 정신과 관념에 생명을 부여하는 존재이다. 작가는 이러한 책을 소재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문헌정보 전문가와 게이트키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디지털 북 프로젝트를 시작할 당시 강애란은 영상과 사진 이미지를 통해 책으로 가득한 서점 이미지로 공간을 메웠다. 그 속에서 특정 책에 조명을 부착하여 독자/관람자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이후 그는 전시장에 실제 책장을 설치하기도 했다. 작가는 책장을 매개로 하여 새로운 섹션을 개설하고, 그 위에서 강렬한 빛을 발산하는 라이팅북을 통해 역동적인 관계망을 시각화해 왔다. 가령 라이팅북으로 가득한 3미터가 넘는 <지혜의 타워링>(2016)은 관람의 순간에 이뤄지는 저자와 독자 간의 역동적인 교감의 순간을 은유하며, 그 비가시적 관계망을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그에게 있어서 책은 단순한 오브제가 아니라 과거와 현재, 미술과 삶, 작품과 관객 간의 다층적 대화를 통해 시공간을 가로지르며 비물질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능동체인 것이다.
특히 그의 전시장에 자주 등장하는 책상은 책 속의 공간과 접속하게 하는 장치가 된다. 2011년 한 신문사와의 인터뷰에서와 같이, 그에게 책은 가상의 공간이고, 비물질적 공간이며, 끊임없이 움직이는 공간이다. 이러한 그에게 책상은 저자와 독자 모두를 위한 것이다. 자신의 공간을 온전히 갖지 못했던 역사 속 여성뿐만 아니라 동시대를 살아 가고 있는 관람자를 특정 시공간으로 초대함으로써, 저자와 독자 간의 역동적인 정서적 교감을 위한 체계가 된다. 이러한 책장과 책상에 위치한 라이팅 북의 강렬한 빛은, 나의 몸된 상태가 다양한 인식들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 또한 극적으로 연출한다.
책은 그저 물건이 아니고 하나의 공간이며 시간이라고 강조하는 강애란. 그는 라이팅 북이 "나를 주목해 주세요, 내 내용을 숙지해 주세요, 나를 통해 당신이 변화하길 바랍니다" 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빛을 발산하고 있다고 말한다. 즉 그의 라이팅북은 누군가 주목해 주기만을 바라는 대상이 아니라 발광과 발화의 적극적인 주체다. 더 이상 책장과 책상 위에서 먼지 쌓인 채 선택을 기다리는 수동적 대상이 아니라 인식과 발화의 주체가 여성/자신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는 능동적 행위소인 것이다. 이처럼 강애란의 라이팅북과 그 책장과 책상은 근현대사 속에서 묻힌 여성의 이름을 기억하게 하는 역사기술이자 작가 자신을 포함한 흩어진 개인의 삶의 이야기와 동시대 담론을 구조화하면서 우리로 하여금 '숙고'의 기회를 제공해 왔다. 그의 작업 속에 입력된 '기록'들은 저자에게도, 작가에게도, 관객에게도 발광과 발화의 주체가 되는 상호교감의 순간을 제공함으로써, 독자 스스로 자신의 삶과 역사 속에서 주체적 구술사를 펼칠 수 있는 존재가 될 것을 응원하고 있다.
Akira Tatehata (Art Critic, Poet, Professor at Tama Art University)
When visiting someone else's library, what inevitably draws one's curiosity is the collection of books lining the shelves. A personal library reveals the owner's story. Observing the covers of these books is akin to glimpsing into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ir owner. Ahn Kae-ran's decision to print a life-size photograph of her own bookshelf and display it on the gallery wall symbolizes the formation of her intellectual identity. As is well known, books have long fascinated many artists. Typically, however, books have been portrayed either as objects or as immense fetishes encapsulating the meaning of the world. When bookshelves serve as motifs, as seen in Kiefer's grand yet ominous lead "Library," they often signify an enigmatic space filled with mythic darkness no longer decipherable.
However, for Ahn Kae-ran, books are purely lucid personal symbols. They represent the various ideologies that have defined her way of life, willingly or not,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she exists as an artist. She first photographs the bookshelves in her studio, digitally inputs the images, and prints them at nearly life-size. The images attached to the wall at the corner are deliberately out of focus, rendering the book titles unreadable and stripping the scene of fetishistic vividness. This blurring transforms the bookshelf into a pure symbol representing the intellectual background of its owner.
Certain sections of the bookshelf images are fitted with acrylic shelves, upon which transparent synthetic resin (epoxy) book objects are placed. Identical resin books are also scattered across the floor. These objects, too, lack any fetishistic imagery. In stark contrast to Kiefer's leaden darkness, Ahn's transparent books emit a faint glow from internal light sources. In the gallery's darkness, these glowing "symbols" of books create a meditative, otherworldly space imbued with mysterious beauty—a projected landscape of the artist's inner world.
Interestingly, each book object is wrapped in a silk cloth, a motif that Ahn has explored extensively. Like books, the wrapping cloth plays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her identity as an artist. This single sheet of fabric invites various interpretations. In Korean society, a wrapping cloth symbolizes the role and status of women. Unlike the masculine principle of fixed forms, the cloth adapts flexibly to the shape of its contents. Thus, the cloth, intertwined with traditional culture, personal sentiments, and universal emotions, reflects a feminist consciousness.
Conceptually, the cloth establishes categories in a chaotic world by covering and containing. It represents concealment, ownership, and protection from the gaze of others. When Ahn wraps books in cloth, the layering of one symbol upon another opens the door to more complex interpretations. From a Freudian perspective (the cloth as a feminine object and the book as a masculine one) to a feminist one (the cloth enveloping the book), these symbolic interactions are apparent.
Yet, this essay will not delve deeply into such interpretive games. Although Ahn's works overflow with "meaning," they cannot be reduced to mere message art. Both books and wrapping cloth possess dual characteristics—profoundly personal yet inherently public. In reality, these beautiful yet distinctly divided symbols reflect a sensory reality that transcends simple messages, likely connected to the artist's inner contemplation.
Another notable work by Ahn features a photograph of a disorderly pile of books printed on a mirror-like surface and affixed to the wall. In front of this image, book objects made of transparent epoxy, wrapped in silk, are scattered across the floor in similar disarray. This installation serves as a conceptual device contrasting illusion and reality. The resin books glow faintly from within, and the reflected book piles appear to float ambiguously in the gallery's dim light. To me, neither image seems like a mere visual trick. Instead, both appear as internal landscapes of the artist's identity, quietly observed.
There seems to be a trace of trauma embedded within these reflective memories, hidden in her gaze. Yet, Ahn's sophisticated introspection remains far from tedious sentimentality. For her, the interplay of opposing meanings is an exhilarating method for capturing the world in its entirety. It is neither destructive nor nihilistic. Embracing these semantic contradictions with grace, she integrates them into highly refined works.
The glowing books illuminate her personal history. However, upon deeper reflection, we all carry our own shelves and book piles wrapped in cloth within our personal narratives. Immersed in the gallery's meditative space, we, too, are drawn into the internal landscape of our own identities, faintly glowing white and blue.
Ahn Kae-ran's Digital Book Project is a remarkable new work that evokes the universality of poetic power.
책의 사유와 다층적 시공간: 강애란의 <디지털 북 프로젝트>, 2020
아키라 다테하타 (미술비평, 시인, 다마미술대학교수)
타인의 서재에 방문했을 때, 타인의 서재에 방문했을 때, 누구나가 흥미를 가지는 것은 벽의 서가에 어떠한 책들이 놓여져 있는가 하는일일 것이다. 장서는 그 주인을 이야기 해준다. 책의 겉 표지를 본다는 것은, 그(혹은 그녀)의 사상적 배경을 엿보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강애란이 자신의 서가 사진을 실물 크기로 프린트하여 갤러리 벽에 건다는 것은, 바로 그 이미지가 자신의 지적 아이덴티티의 형성사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책은 지금까지 많은 예술가들을 매료시켜 왔다. 그러나 대체로, 그것들은 오브제로서의 책이거나 혹은 내적으로 "세계의 의미를 봉한 거대한 물신으로서의 책이었다. 서가가 모티브일 경우에도, 예를 들어 키퍼의 그 장려하면서도 불온한 납의 "도서관”처럼, 이제는 더이상 해독될 수 없는 신화적인 어둠을 담은 수수께끼의 공간을 의미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강애란에게 있어서, 책은 어디까지나 명석한 개인적 기호이다. 그것들이 담고 있는 것은 싫든 좋든 그녀의 삶의 방식을 규정해온 여러 사상이자, 또한 예술가로서 그녀가 몸담고 있는 환경인 것이다. 그녀는 우선 자신의 작업실 서가를 사진으로 찍어 그 화상을 컴퓨터로 입력하여 실물크기에 가깝게 프린트한다.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벽에 붙여진 그 서가의 이미지는, 책 제목의 문자를 읽지 못할 정도로 초점이 흐려져 있어 페티시즘적 생생함이 배제되어 있다. 그러기에 오히려, "서재 주인의 사상적 배경"을 표상하는 순수한 기호로 변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서가의 사진 몇 군데에는 아크릴 판의 선반이 부착되어 있고, 그 위에 투명한 합성수지(에폭시)로 본을 뜬 책의 오브제가 몇 권 놓여져있다. 똑같이 합성수지로 만든 책은 바닥 위에도 여기 저기 흩어져 있는데, 이들 오브제 또한 페티시한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투명한책은 키퍼의 납의 어둠과는 대극적으로, 내부의 광원에 의해 아렴풋한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이다. 조명이 꺼진 갤러리의 어둠 속에서, 책이라는 "기호"가 희고 푸르게 빛나는 광경은 불가사의한 아름다움을 간직한 명상적인 다른 차원의 공간을 이루고 있다. 말하자면 그것도 투시된 작가의 내면세계의 전망인 셈이다.
한편 책 오브제는 어느 경우든 안이 투명하게 보이는 실크천의 보자기로 싸여져 있다. 보자기는 강애란이 이전부터 추구해온 가장 중요한 모티브로서, 책과 마찬가지로 그녀의 예술가로서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깊게 관여한 다중적 의미를 나타낸다. 이 한 장의 천 또한 우리로 하여금 다양한 해석의 운동으로 이끌지 않을 수 없다. 보자기는 무엇보다도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여성의 지위와 역할을 상징하는것으로 스스로 정해진 윤곽이 없이 포장하는 내용물에 따라 수동적으로 (그러나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상황에 맞추어 너무나도 자유자재로) 형태를 바꾸는 남성적인 원리와는 대극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민족문화의 전통과 그녀의 개인사적인 감상, 더욱 보편적인 의식하의 정서가 페미니즘적 문제의식과 겹치면서 보자기의 이미지에 투영되어 있다. 또한 개념적으로 말하자면, 보자기는 감싸고 묶어두는 기능에 의해 흔돈된 세계에 카테고리를 마련해 준다. 그리고 가리고, 소유하고, 타자의 눈으로 부터 은폐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그녀가 보자기로 책을 쌀 때, 하나의 기호가 또 다른 기호로 감싸 질 때 당연하게 생기는 보다 복합적인 해석 가능성을 남긴다. 프로이트적 관점은 프로이트적 관점대로 (여성의 전용물인 보자기와 남성의 전유물인 책), 페미니즘적 관점은 페미니즘적 관점대로 (책은 보자기에 의해 싸여진다), 양자의 만남의 우의를 읽어내기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그러한 해석의 게임에 깊게 개입하지는 않고자 한다. 강애란의 작품은 너무나도 "의미"에 넘쳐있지만, 소위 그것을 메시지 예술로만 간주할 수는 없다. 그것은 책도 보자기도 매우 사적임과 동시에 공적인 성격을 가진 모티브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오히려 이들 모티브가 아름답지만, 또한 깊이 서로 갈라진 기호임을 어떻게 하지 못하는 현실 속에, 단락적인 메시지를 초월한 (아마도 그녀 자신의 내적인 확집과 연관된) 감각적인 현실을 찾아내고 있는 것이다.
강애란의 또 하나의 작품은 바닥 한 면에 무질서하게 쌓아 올린 책의 사진을 거울 같은 종이에 프린트하여 벽에 붙이고, 그 앞의 바닥에 보자기로 싼 투명한 합성수지(에폭시)의 책 오브제를 비슷한 무질서함 으로 배치한 설치작품이다. 이는 허상과 실상을 대비시키는 관념적인 장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합성수지의 오브제는 서가의 설치작품과 마찬가지로 내부의 광원에 의해 푸르게 빛을 발하고 있고, 사진의 책더미 또한 경면의 반사광 속에서 막연하게 떠있어, 나에게는 어느 쪽 이미지도 트릭의 조작이라기 보다는, 오히려그녀가 조용히 응시하는 스스로의 아이덴티티의 내적 풍경으로 비춰지는 것이다. 그것은 어딘지 트라우마(심적외상)가 머문 확집의 기억이 그녀 자신의 시선 속에 숨어있는 듯 하다. 물론 강애란의 사색은 언제나 세련되기에 무료한 정념과는 무관하다.
의미의 상극과 대립도 그녀에게 있어서는 세계 전체를 유연하게 포착하기 위한 스릴있는 방법론이지, 파괴적이거나 허무한 요소는 아닌것이다. 그녀는 이러한 의미론적인 여러 모순들을 총평한 예술가답게 우아하게 받아들여 완성도 높은 작품과 결부시키고 있다. 그 책들의 빛은 그녀의 개인사를 밝히는 빛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누구나가 스스로의 개인사 속에 몇몇 서가를, 보자기에 싸여진 책더미를 가지고 있음에 틀림 없다. 갤러리의 명상적인 공간 속에 몸을 적시며, 우리들 또한 희고 푸르게 떠오르는 스스로의 아이덴티티의 내적 풍경 속으로 빠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시적인 힘의 보편성을 느끼게 하는 강애란의 주목할 만한 신작이다.
Honghee Kim (Chairman of the Board, Nam June Paik Cultural Foundation / Former Director, Seoul Museum of Art)
1.
Since early 2000s Kang Airan (b. 1960) has been reflecting on the transformation of books and its meaning after the electronic age and has devoted herself to the production of digital books that engage multiple senses. Her digital books comprise basically of LED lights installed inside the mold of a book replica. The lighting books of the artist dematerialized into light beams engage synaesthetical perceptions, unlike print books which rely solely on vision. Faced with the digital media that calls for multiple sensory reaction, human subject recovers his/her diverse senses once demolished by the print media and experiences perceptual transformation. This is what Marshall McLuhan meant by "the extensions of man" alluding to the message of the electronic medium. Likewise, Kang perceives the message of the media book as an expansion of the human being through expansion of books, civilization, and history, and as converging interaction between the book and the human.
Kang's digital book project was initially conceptualized not only as an homage to books as the treasury of knowledge, but also as the virtual book or simulation of publications on both Eastern and Western histories of cultures, ideas, and art. However, since 2015 the artist has made a major transition in her contents with a thematic consciousness related her identity as a Korean woman artist. Through her lighting books and projection works, she re-illuminates the trajectories of women poets of the Chosun period like Huh Nanseolhun and Shin Saimdang, and women medical professional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like Park Esther. She also exposes the narratives of women from various strata of our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ccuses the colonial government for the oppressions and violence they have experienced: 'new woman' in the field of writing and art like Na Hyeseok and Kim Ilyeop who had exceptional artistic talent but whose final days were unfortunate, nameless women who serv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comfort women' forced into sexual slavery by the Japanese military government. It is the moment of rebirth of her "Digital Book Project" into "Digital Feminist Book Project" having now encountered the leading historical women who are specific in terms of their gender and time/space.
The artist moved temporarily away from her intellectual curiosity of the western culture and art and is practicing an epistemological critique of the west-centered and male-centered discourse that is being accepted even now almost unconsciously and uncritically.
What has led to such a profound transformation of the artist? I attempt a conjecture that in an optimized patriarchal socicty all women experience sexual inequality, and at times feel the desire to be freed from our secret traumatic memories of sexual assaults and harassments. Such desire may lead one to become a natural feminist who is conscious of her sexual identity and gender at one time or another.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fact that in the case of Kang such a move is more than a brief interest, and continues into media study and subject explorations, generating expectations as to the future of a feminist media artist who pays attention to the implications of "techo-feminism."
2.
Her digital books manufactured in the object style from the early 2000s have expanded into "interactive" installations that interact with the viewers since 2006. As in the exhibitions < The Space of Sublime, YOU-SER 2.0> (ZKM Center of Art and Media, Karlsruhe, Germany, 2009) and < The Sublime - The Space of Heterotopia> (Gallery Simon, Seoul, 2009), when the visitor takes a digital book and walks into the "reading room" the sensor is activated and the texts and images of the book are projected onto four walls and the audio is turned on and reads a portion of the book. As the text, video image, and the sound of the reading are all performed at once the visitor is led into a new experience of reading that verges on synesthesia.
Like the aforementioned < The Sublime> series, in the <Luminous Poems> of the year 2011, ten volumes of poetry made into digital lighting books respond to the audience by the sensors and read the poetry creating a digitalized environment. In the former exhibition, the art world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related to sublime aesthetics such as Caspar Friedrich, William Turner, Mark Rothko, Barnett Newman, James Turrell interact with the audience and evokes aesthetic pleasure. Likewise, in the latter exhibition, poetic lines of John Milton, Ralph Waldo Emerson, Edgar Allan Poe, William Shakespeare, John Keats, George Gordon Byron produce the same effect.
But why the western male authors? Asks the artist with a new sense of self-awareness. Why is it that the male artists in history have received primary attention and acclaim? Why have they become the standard and we women accept it as a given? Awakened to this gender consciousness, the artist turns, in the years between 2011 and 2014, to Korean "mistresses" in place of western "masters" and changes her themes to Korean women for the first time. In the < Auctor Mulieris> series, Kang presents digital books that portray Chosun women poets such as Huh Nanseolhun, Lee Maechang, Shin Saimdang, and projects the lines from their poetry on to the wall and the floor, bringing back to memory the forgotten women artists of the past and re-evaluating its legacy from the perspective of a woman artist who resides in the here/now.
As an extension of her consciousness Kang brings the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to her exhibition. With the use of digital books and moving image installation the artist not only accuses the Japanese military government for their immorality of institutionalizing military prostitution and forcing sexual slavery on the women of the colonized countries, but also exposes the anger of the victims of such atrocity as well as the anger of the subsequent generations of Korean women. The work on the 'comfort women' that started off in the exhibition <The Concern of Book, The Consolation of Light> in 2015 at Gallery Simon takes on full force in <FANTasia> exhibition held at the Seoul Museum of Art and also at the Guangdong Asia Biennale where she participated with her work ‹ Revoice›, all in the same year. She created a comprehensive multi-media environment comprised of archival material, text, documentary film, interviews and sounds to convey the testimonies of violence experienced by the comfort women' of Korea and Asia.
The highlight of «Revoice> is the "shouting cave." Based on the natural caves in Southeast Asia where the 'comfort women' are said to have been kept prisoners, Kang created a complex heterotoptic space that is a simulacrum of the cave. Caves are often regarded as a metaphor for the womb due to its deep and dark form, but because of its gloomy underground image it also reminds us of hell. The tragedy of 'comfort women' converted the space of female matrix into a masculine site of crime and thus distorted the double implications of the cave. Standing on the borderline between feminine allegory represented by the cave and patrilineal history of oppression, surreal and the real, future hope and past trauma, the artist narrates a fantasy of healing through a psychic medium.
3.
In her exhibition < A Room of Her Own> at Arco Museum in 2016, Kang re-examines the lives and artistic works of the pioneering new woman' in of our modern history of women. Inspired by Virginia Woolf's essay A Room of One's Own, Kang built a hexagon tower with almost two hundred digital books and put five rooms around it dedicated to Na Hyeseok, Kim Ilyeop, Choi Seunghee, Yoon Shimduk, and the 'comfort women. The 'new woman' influenced by the liberal feminism of the 1920 and 30s fought for women's liberation but were met with no response and disappeared into the patriarchal fortress. They were no better than the 'comfort women,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the sense that they were also the victims of the socio-cultural reality and gender politics of the time.
For this exhibition the artist created a multi-media environment with documentary, archival material, film, and photographs based on her extensive research. In the case of Na Hyeseok, Kang reconstructed her art studio and made a film of her oil paintings and a LED lighting book of the magazine to which Na contributed her articles. The eight poems of Kim Ilyeop were transformed into hypertext and projected onto the lighting book, and portions of her real voice were reproduced. The documentary film of the dancer Choi Seunghee, 'In praise of death' sung by the singer Yoon Shimduk, the struggle of the 'comfort women' in their effort to earn official apology and compensatio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were all compiled as image material.
In 2019, Kang was the only artist to participate in a special exhibition held in archival format to commemorate the centennial of the March independence movement. The exhibition comprised of two parts: <Women, Go out into the World> at the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and < Women of Independence Movement, Sympathy, Memory, and Future> at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The independence movement is usually identified with the thirty-three patriotic men but in reality many women were also part of the movement. Of the many women participants the government identified 432 women and conferred the Order of National Merit for Independence. Among them Kang selected thirty-three female patriots including Yoo Kwansoon, Kwon Kiok, Kim Maria, and represented them in her lighting book together with other participants in various patriotic organizations, and dedicated the pieces to the women's archive. The thirty-three women Kang researched and reconstructed in her digital book with pictures and texts were the highlight of the archival exhibition, making their appearance for the first time as the thirty-three patriotic women standing face to face with the thirty-three patriotic men.
In the same year, Kang exhibited her works at the 132nd anniversary of the 'Bogunyeogwan' along with the archival material. 'Bogunyeogwan' was the first modern hospital and medical school for women in Korea established by Mary Scranton in 1887. It was initially located at a traditional Korean house in Jungdong and was restored as a commemoration hall at Ewha Seoul Hospital in Magok. In the restored hall, Kang presented her media installation < Restoring Bogunyeogwan: Sublime - The Space of Heterotopia>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Of the seven rooms in the historical record Kang reconstructed the waiting room, consulting room also used as pharmacy, Park Esther's room, principle's room, and nurse training room. In the waiting room she exhibited the digital books of the first principle Meta Howard and other succeeding principles and the first nurse principle Margaret Edmunds. In the nurse training room the accomplishments of the nurses were represented in holograms.
4.
With her newly awakened gender consciousness since 2011, Kang has continued to represent women in the history of Korean feminism from Chosun literary women to elite women of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new woman' of the colonial period, and to Japanese military sex slaves 'comfort women.'
Unlike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of the west with its suffrage movement and socialist political movement, women's enlightenment movement that sparked Korean feminism from late 19th center to early 20th century developed within the frame of patriotic and nationalistic thought. Women at the time believed that in order for their country to recover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and to become rich and powerful, they should, like men, be educated, learn from western civilization, contribute to enlightening the nation. Under a communal spirit, women, together with men,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Following the nationalistic women's enlightenment movement that reached its peak at the March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1920s and 30s, individualist and liberalist ideology of the radical intellectuals like Na Hyeseok, Kim Ilyeop and Kim Myungsoon represented the feminism of the day. Influenced by Ellen Key who changed sexual morality by incorporating sexuality into feminism, they claimed free dating and sexual liberation and became the "enfants terribles" of the time. They all studied abroad in Tokyo and thus followed western liberalism supported by the middle class and were not fully aware of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colonial rule and the oppression of the minjoong(people) women under capitalism. By choosing individualist practices they failed to be incorporated into their social context and were naturally criticized by the public. The tragic end of their lives in part reflect the paradox of liberal feminism, but more important to note is the fact that even their works as well as their lives sank into the swamp of oblivion.
In modern Korea, women getting an education, doing social activities, writing, and painting were all seen as un/anti-feminine activities that violate convention.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e lives of women who chose to be artists were misunderstood with prejudice distorting the reception of future generation, and their works were marginalized. The problem is that the ways in which women readers and audiences learn to appreciate and prefer the works by major male artists work in tandem with the discriminating process that alienates women artists and marginalizes their works. Therefore, the act of preventing marginalization by studying women's works and interpreting the particularities of women's experiences in a positive light per se can be a feminist practice. It is precisely in this light that we can read Kang's recent works as feminist work as she studies modern history of women, draws attention to the narratives of women artists, and recreates their works with contemporary media.
Kang's integration of digital media and feminism and the resulting transformation of digital book into "digital feminist book" stand in opposition to the negative implications of "techno-feminism" in which women's oppression and technological rule allegedly conspire. Kang gives rise to the expectation that technology art or medial art can be reorganized and reborn to become part of women's category. The horizon of media art can only be widened when technology is no longer considered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men, and women artists start experimenting and working with it. Kang's message sent through her digital books can perhaps be realized when the extension of books and technology becomes "extensions of man" that put an end to gender inequality. Kang's ‹Digital Book Project> changed into new clothes, namely the "Digital Feminist Book," which reaffirms that gender is not a tool but a motive or a chance that precipitates transition of consciousness.
강애란의 “디지털 책” 페미니즘의 옷을 갈아입다, 2020
김홍희 (백남준문화재단 이사장, 전 서울시립미술관장)
1.
강애란은 2000년대 초부터 전자 시대 이후 책의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숙고하며 공감각적으로 확장되는 디지털 책의 제작에 전념하고 있다. 작가의 디지털 책은 몰드로 만든 책의 모제품 (replica)내부에 LED 라이트를 장착시킨 조명책을 근간으로 이루어진다. 빛으로 탈물질화된 조명책은 시각에만 의존하던 인쇄본과 달리 온몸으로 감지하는 공감각적 인지력을 요구한다. 공감각적 반응을 요구하는 전자 매체에 의해 인간 주체는 인쇄 매체에서 붕괴되었던 감각의 다양성을 회복하고 지각체계의 변화를 경험한다. 이것이 마셜 맥루언이 전자 매체의 메시지로 파악하는 "인간의 확장"의 의미인 바, 강애란 역시 미디어 책의 메시지를 책의 확장, 문명의 확장, 역사의 확장을 통한 인간의 확장이자 책과 인간의 통섭적 상호작용으로 인식하고 있다.
강애란의 디지털 책 프로젝트는 애초에 지식의 보고라는 책에 대한 경의이자, 동서양 문화사, 지성사, 미술사 서적의 “시뮬레이션" 또는 가상의 책으로 개념화되었다. 그러나 2015년경부터 작가는 한국 여성 예술가라는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된 주제의식으로 내용상의 일대변화를 이끌어낸다. 허난설헌, 신사임당과 같은 조선시대의 여류시인들, 박 에스더를 비롯한 개화기 의학 분야 여성 선구자들의 궤적을조명책과 투영 작업으로 재조명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나혜석, 김일엽 등 타고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불행한 말로를 겪은 문예 분야 신여성, 이름 없이 사라진 여성독립운동가, 일본군에 강제 징발된 위안부 등, 일제강점기의 다양한 계층의 여성들의 서사와 그들에게 가해진 억압과 폭력을 고발한다. 그의 “디지털 책 프로젝트"가 이제 시공간적으로 젠더적으로 특정적인 역사 속의 주역을 만나 “디지털 페미니즘 책 프로젝트"로 재탄생하는 순간이다.
작가는 이제 서구문화와 예술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잠시 멈추고, 아직까지도 무의식적, 무비판적으로 용인되고 있는 서구중심주의, 남성중심주의 담론에 인식론적 비판을 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심장한 변화의 배경은 무엇일까? 필자는 가부장제가 최적화된 사회에서 여성은 누구나 성적 불평등의 경험과 때로는 성폭력, 성희롱의 비밀스런 기억의 트라우마로부터 해방되고 싶은 욕망을 갖고 한 번쯤은 성 정체성과 젠더를 의식하는 본연의 페미니스트가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중요한 점은 강애란 경우 이러한 행보를 일시적 관심이 아니라 지속적 매체 연구와 주제 발굴로 이어가면서 "테크노 페미니즘"의 함의에 주목하는 페미니스트 미디어 아티스트로서 앞날을 기대하게 한다는 점이다.
2.
2000년대 초부터 제작된 오브제 타입의 디지털 책은 2006년 이후 관객과 상호작용하는 "인터랙티브" 설치로 확장된다. 2009년 칼스루헤 ZKM전시 <책의 공간-숭고>와 시몬 갤러리 전시 <숭고-헤테로토피아 공간>에서와 같이 관객이 디지털 책을 들고 “책 읽어 주는 방"으로 들어가면 센서에 의해 책 내용을 알리는 텍스트와 이미지가 사방 벽면에 비춰지고 텍스트 내용이 낭독된다. 텍스트, 비디오이미지, 낭독 음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상영될 때에 관객은 온몸으로 느끼는 새로운 공감각적 독서를 경험하게 된다.
상기한 <숭고>시리즈에서와 마찬가지로 2011년 <빛나는 시 Luminous Poem>에서는 디지털 조명책으로 만들어진 10권의 시집이 센서로 관객에 반응하며 시를 읽어주는 전자 환경으로 변환된다. 전자에서는 프레드리히, 터너, 로드코, 뉴만, 터렐 등 숭고 미학과 관련된 근현대 대가들의 작품 세계가, 후자에서는 밀턴, 에머슨, 카렌 톰슨, 에드가 앨런 포, 셰익스피어, 키츠, 바이런 등의 낭만적 싯귀들이 관객과 상호작용하며 미학적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그런데 왜 서구의 남성 작가들인가? 작가는 자각의 질문을 던지기 시작한다. 왜 우리에게, 나에게 역사적 남성 예술가들이 칭송의 우선적 대상이 되는가? 왜 그들이 표준이 되고 우리 여성들은 그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일까? 젠더 의식이 일깨워진 작가는 2011-14년 사이 서양의 “마스터"들 대신 한국의 “미스트레스”에 시선을 돌리며 한국 여성을 주제화하는 최초의 변화를 시도한다. <빛나는 도서관-여전사> 연작에서와 같이, 그는 허난설헌, 이매창, 신사임당 등 조선조 여류시인을 대상화한 디지털 책과 그들의 싯귀를 벽면과 바닥에 투사하는 영상 작업을 선보이며, 역사의 뒤안길에서 망각된 여성 문인들의 유산을 지금/여기 미디어 여성 작가의 시선으로 발굴, 재평가하는 것이다.
강애란은 이러한 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일제강점기 강제 징발된 위안부 여성을 주제화 한다. 디지털 책과 영상 설치로 작가는 군대용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에게 성 노예 역할을 강요한 일본의 역사적 패륜을 고발하고, 그에 희생 당한 여성 피해자들, 나아가 후세대 한국 여성들의 분노를 노출하는 것이다. 2015년 갤러리 시몬에서 <빛나는 도서관-위안부>로 시발된 위안부 작업은 같은 해 서울시립미술관 <판타지아 FANTasia>전과 광동 아시아 비엔날레에 출품한 <응답하라 Revoice>에서 본격화 된다. 한국과 아시아 위안부 여성들에 가해진 폭력의 증언과 흔적을 아카이브, 텍스트, 다큐 영상, 인터뷰, 사운드로 구성하여 총체적 멀티미디어 환경을 만들었다.
<응답하라>의 하이라이트는 "외침의 동굴"이다. 위안부 여성들을 수용하였던 곳으로 전해지고 있는 동남아 자연 동굴들을 참조로 시청각적 공명이 일어나는 복합적 헤테로토피아, 즉 동굴의 시뮬러크럼을 창조한 것이다. 동굴은 깊고 어두운 지형적 특성으로 자궁의 메타포로 여겨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음침한 지하 이미지가 지옥을 연상시킨다. 위안부 사건은 여성적 모태 공간을 남성적 범죄의 현장으로 치환시킴으로써 동굴의 이중적 함의를 왜곡시켰다. 동굴로 대변되는 여성적 알레고리와 부계적 억압의 역사, 초현실과 현실, 미래의 희망과 과거의 트라우마의 경계에서 작가는 미디어 영매를 통한 치유의 판타지를 서술한다.
3.
강애란은 2016년 아르코 미술관 전시 <그녀들만의 방 A Room for Her Own>에서 우리 근대 여성사의 한 페이지를 차지하는 선각자 신여성들의 삶과 그들의 예술적 업적을 재조명한다. 버지니아 울프의 에세이 <자기만의 방>에서 영감을 얻은 이 작품에서 작가는 우선 200여점의 디지털 책을 육각형의 지혜의 탑으로 쌓아 올리고 그 주위로 나혜석, 김일엽, 최승희, 윤심덕, 위안부에 바치는 5개의 방을 배치하였다. 1920-30년대 자유주 의 페미니즘 영향으로 여성 해방을 부르짖었지만 가부장제의 요새 속에서 응답 없는 외침으로 사라져간 신여성들은 동시대 사회문화 현실, 젠더 정치학의 희생물들이라는 점에서 성폭력의 피해자 위안부들과 다를 바가 없다.
이 작품을 위해 작가는 방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다큐멘터리, 아카이브, 영상, 사진이 어우러지는 멀티미디어 환경을 조성했다. 나혜석의 경우 화실을 재현하고 유화 작품을 영상화하는 한편 그가 기고했던 잡지를 LED 조명책으로 제작했다. 김일엽의 8편의 시는 하이퍼텍스트로 변환되어 조명책에 투사되었고, 그의 육성은 사운드 작업으로 발췌, 편집 되었다. 그 밖에 무용가 최승희의 다큐멘터리 영상, 성악가 윤심덕의 <사의 찬미>, 보상 문제로 일본 정부와 갈등을 겪는 위안부 문제가 영상 자료들로 집대성되었다.
2019년에는 3.1운동 백주년을 맞아 마련된 특별기획전이자 아카이브 형식의 전시인 국립여성사전시관의 <여성, 세상 밖으로 나가다>와 세종문화회관에서의 <여성독립운동가 공감, 기억 그리고 미래>에 유일한 출품 작가로 참여한다. 독립운동하면 33인의 남성 애국지사를 떠올리지만, 실제 독립운동에 몸바친 무수한 여성들이 있었다. 이들 가운데 정부는 확인된 여성독립운동가 432명을 독립유공자로서훈했으며 강애란은 이중 유관순, 권기옥, 김마리아 등 33인의 열사들과 한국 애국부인회, 송죽비밀결사대, 대한여자애국단 등에 참여했던 분들을 조명책에 담아 여성기록관에 헌정하였다. 33인의 개별 연구에 기초하여 사진과 텍스트로 구성한 작가의 디지털 책은 동 아카이브 전시의 하이라이트이자, 33인의 남성 열사의 대척점에서 처음으로 존재감을 드러낸 여성 열사의 조명책이었다.
강애란은 같은 해 “보구녀관" 건립 132주년 기념전에 아카이브와 함께 자신의 작품을 전시했다. 보구녀관은 1887년 메리 스크랜튼 선교사가 설립한 한국 최초의 근대식 여성 병원이자 여성 의학 교육기관이었다. 작가는 정동 한옥에 있던 보구녀관을 고증을 거쳐 마곡에 위치한 이대 서울병원에 복원한 기념관에 <보구녀관을 복원하다 : 숭고-헤테로피아 공간>이라는 미디어 설치작업을 선보였다. 자료에 기록된 7개의 방, 즉 대기실, 약국, 진료실, 세척 소독실, 저장소, 병실, 수술실 중에서 대기실, 진료실 겸 약제실, 박 에스터 방, 역대 병원장 방, 간호원 양성소 방을 구현하고, 대기실에 초대 병원장 메타 하워드를 비롯한 역대 병원장들과 초대 간호원장인 마가렛 에드먼즈의 디지털 책을 진열했다. 간호원 양성소 방안에는 이들 간호사들의 업적을 홀로그램으로 재현하였다.
4.
2011년 이후 젠더로 의식화된 강애란은, 조선 여류 문인부터 개화기 엘리트 여성과 일제강점기의 유학파 신여성, 그리고 일본군 성노예위안부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한국 페미니즘 역사의 선봉에선 인물들을 주제화하고 있다.
한국 페미니즘의 불을 지핀 19세기 말-20세기 초 여성 개화운동은, 서구의 사회주의 정치 운동, 참정권을 비롯한 여권신장운동과 다르게, 애국적 민족주의 사상 속에서 계몽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당시 여성들은 자국이 국가의 실권을 회복하고 부강한 나라가 되기 위하여 여성도 남성과 같이 교육받고 외국 문물을 받아들여 문명개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공동체 의식하에 여성들은 남성과 함께 독립운동에 동참할 수 있었던 것이다.
3. 1운동에서 절정에 달한 민족주의 여성 개화운동에 이어 1920-30년대에는 나혜석, 김일엽, 김명순 같은 급진적 문예인들의 개인주의, 자유주의 사상이 동시대 페미니즘을 대변한다. 페미니즘에 섹슈얼리티를 도입하고 성 도덕율의 변화를 초래한 엘렌 케이(Ellen Key)의 영향 하에서 이들은 자유연애, 성 해방을 주창하며 시대적 "앙팡테리블"로 등장했다. 이들은 모두 동경 유학생 출신으로 중산층을 지지기반으로 하는 서구식 자유주의 신봉했을뿐 식민치하의 가부장 제도와 자본주의에서 억압받는 민중 여성의 현실은 제대로 보지 못했다. 개인주의적 실천을 택함으로써 사회적 맥락에 통합되지 못하고 여론의 비난 속에서 비극의 종말을 맞게 되는 이들의 비화가 자유주의 여성해방론의 모순을 반영하지만, 이보다 중요한 점은 바로 그것이 이들의 작품마저 망각의 늪으로 좌천시키는 요인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근대기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 교육을 받고, 사회활동을 하고,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것 자체가 통념을 위반하는 비/반여성적 행위로 비춰진다. 이런 과정에서 창작자의 길에 들어선 여성의 삶은 편견과 오해로 왜곡되고 그들의 작업은 주변화되는 것이다. 문제는 주류 남성의 작품을 학습하고 선호하는 여성 독자/관객의 공감 경험이 여성 작가를 소외시키는 차별화 과정과 일치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여성 작품을 연구하여 주변화를 막고 여성 경험의 특수성을 긍정적으로 파악하는 행위 자체가 페미니즘 행위가 될 수 있다.
이것이 근대 여성사를 탐구하고 여성 예술가의 서사를 소환시키는 동시에 그들의 작업을 현대적 미디어로 재창조하는 강애란의 근작을 페미니즘으로 독해할 수 있는 근거이다.
강애란은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을 접목시켜 디지털 책을 "디지털 페미니즘 책"으로 재탄생시키는 지점에서 여성의 억압과 기술적 지배 사이에 공모적 연관성이 있다는 기존 "테크노 페미니즘" 부정적 함의를 부정하고, 테크놀로지 아트, 또는 미디어아트가 여성적 범주로 재편, 탄생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기대를 걸게 한다. 테크놀로지가 남성의 전유물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여성작가에 의해 실험, 수용될 때에 미디어 아트의 지평이 확장될 수 있다. 결국 책의 확장, 기술의 확장이 젠더 불균형을 종식시키는 인간의 확장으로 이어질 때 강애란 디지털 책의 메시지가 완성되는 것이 아닐까? 페미니즘의 옷을 갈아 입은 강애란의 <디지털 책 프로젝트>, 즉 "디지털 페미니즘 책"은 젠더가 도구가 아니라 의식 전환을 촉발시키는 단초이자 계기라는 점을 재차 확인시킨다.
Dongyeon Koh (Art Historian)
“... a particular end-of-century / turn-of-century moment of looking backward rather than ahead and of defining the present in relation to a troubled past rather than initiating new paradigms. Like them, it reflects an uneasy oscillation between continuity and rupture. And yet postmemory is not a movement, method, or idea; I see it, rather, as a structure of inter- and trans-generational transmission of traumatic knowledge and experience.”1)
Has the status of woman undergone changes throughout history? To be more precise, could we speculate on the circumstances of women with that of the women of this day? Following the comfort women agreement of Korea and Japan government has agreed to fund 1 billion Yen to establish the Reconciliation and Healing Foundation. At the heart of this matter lies the attempt to the subject of comfort women as the case of violation of women’s rights at its extreme in the course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it has rendered clear how protection and compensation for the women’s right as many had asked for are not as easy as it seems to be realized. We had come a long way since the 1930s when the women of Joseon (previous name of the Korean empire) were taken away as comfort women. However, in 2016, the infringement of women’s right is in danger of becoming merely an issue of the past.
Images of women, which are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the 1920-30s, is introduced in this exhibition to raise a few questions. How much has changed after the end of the colonial Joseon? As the montage of comfort women in the screen represent the horrendous past where their lives had been crushed with their country, this exhibition gives way to other women such as Kim Ilyup and Na Hyeseok. Kim Ilyup published a magazine called New Woman in 1920, read and traslated Ibsen’s A Doll’s House, and believed in free love; Na Hyeseok presented the novel Kyung-Hee in 1918 and became well known with her confession of a divorce. Although they were each from different upbringings and social classes, they both longed for the restoration of their country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and independence and freedom which should be essential to human beings from the patriarchy of the Confucianist society. Kim Ilyup who became a Buddhist monk after her divorce and Na Hyeseok who lived a life of a wanderer after hers are, considering the conservative notions of their time, women who took a bold leap out of the constraints of the family. And the harsh reality of their last days indicates how freedom and independence never came naturally for these “new women”. This is why Na Hyeseok and other new women who make an appearance in the exhibition – Kim Ilyup, Yoon Simdeok, Choi Seunghee – could be considered the heroines of the era’s failed status of feminism/femininity also as the tragedy of the comfort women.
With the lives of the “tragic” heroines, feminist art is endowed with multiple roles because highlighting the dramatic ending as an attempt to uncover the history of such women bears an ambivalent meaning for feminists. On the one hand, the tragedy of the female pioneers serve as a topic that could attract the public’s attention to the social status of women. On the other hand, it bears the risk of reducing them as a mere heroine of a tragic story. Above all, the audience may even fell relieved about the perception of the ideal family, which is still at work, if the focus is placed erroneously on the harsh realities that the comfort women and the new women went through; it could end up with mere sympathy for these female pioneer’s pitiful circumstance.
For this reason, I agree with the artist in her intention to deal with the women of the colonial era in the 1920s and 30s, not as failures, but as revolutionaries who were committed to their convictions in a repressive phase. The former comfort women who disclosed the truth in spite of the social condemnation after going through years of post-liberation distress are indeed subjects that deserve to be acknowledged in the history of women’s right. What, then, do we uncover from the images of women from the 1920s? How are we to evaluate them? To put it otherwise, how could we recognize their struggles as an ongoing event in a rather quotidian sense rather than with sympathy or reverence?
1920s to 30s, Stepping Out of the Doll House
One can see how the women in this exhibition led a life of adversity.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s A Room of Her Own. This reminds us of an acclaimed novel A Room of One’s Own (1929) by Virginia Woolf who grew up surrounded by intellectuals and carried on with her career. The novel stresses the importance of an independent space for female writers in a time when women were not allowed to attend universities. “A room of one’s own” is an individual space that secures one’s own identity and autonomy, away from the communal space of the traditional family. “A Room of her own” in this exhibition is a place of freedom away from colonialism and patriarchy, which the female pioneer such as Na Hyeseok, Kil Ilyup, Yoon Simdeok, and Choi Seunghee would have hop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place decorated with resources about them or by them.
The metaphoric use of place continues with Na Hyeseok’s A Doll’s House (1921). “I am the doll of my father, and of my husband to bring them joy as I am delighted when I play with my doll. ...I have a sacred duty in front of me. I will strive to become a human, following the path of duty that would make me into one.”2) A woman’s status as a doll in the house as mentioned in A Doll’s House seems to take direct reference from Ibsen’s A Doll’s House (1879) that Kim Ilyup participated in translating. Nora admits that she was her father’s doll before marriage and now her husband’s. However, she steps out of the house to escape from the role of a doll that was given to her so far. To her husband’s opposing argument that she has the most valuable and divine obligation to him, Nora declares “the duty to oneself.” This is a declaration to discover one as an individual and to be sincere to the duty for one’s own.3)
However, the new women, from Na Hyeseok to Kim Ilyup and Virginia Woolf, at least had a house to escape from. That house may have been a source of suppression, but it functioned as a protector all the same. Na Hyeseok, Kim Ilyup, Yoon Simdeok, Choi Seunghee, and Virginia Woolf were the female intellectuals of the time, and they all had husbands who provided them with relatively stable economic and social foundation. Kim Wooyoung, Na Hyeseok’s husband, was a well-known diplomat of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Lee No-il, Kim Ilyup’s husband, was a senior as well as a professor at Yonhui University; and Woolf’s husband was much senior to her and was a major supporter of her works. In this respect, it is worth nothing Na Hyeseok’s comment: “Please do not blame your mother but blame the social system, the law, and the conventions. Your mother was a pioneer in the midst of transition and the one who sacrificed for that line of destiny. Later ... you shall put a flower on your mother’s grave.”4) Here, she is positioning herself in a period of transition while hoping on the one hand for a better status for women, slowly but surely experiencing such changes for herself.
In this repect, the images of the elite women of the 1920-30s in A Room of Her Own are the media that delivers the complex reality of women of the colonial era. In the gallery space, the story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 “I was raped. Like a chicken on the cutting board.” - floats about on the giant screen. While pictures of young soldiers and the recounts of infustice. The covers of New Women,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writer’s activities, images of new women who look rather wealthy and confident, and the cry of those who expressed as being amidst a transition embody a split. What could we make of the fact that those who were symbols of confident women at one point could not escape the general tendency of their era? Are they only symbols that are gone now?
The Women in Postmemory
Many critics have paid attention to how the artist colors the surrounding with her objects since her books emanate delicate and stimulating rays. This exhibition also incorporates the lighting books. Yet the material and resources that she employs to reenact the 1920-30s draw the attention as much as the books. The artist has recreated a space by framing the resources on Na Hyeseok and Kim Ilyup that she has been collecting in the course of preparation and props that bear the historical traces of the past, along with the immaterial ray effect.
My interest in this shift is not solely due to the changed direction which led to filling the gallery space of Arko Art Center. The artist has been making full use of such objects for some time. Nevertheless, a sense of the weight of real and physical beings is accentuated in this exhibition. Consequently, book covers that carry bear the traces of the era make a kind of difference. And this difference resembles the gap between image patterns and the quotations that float about the screen. While the former demonstrate the discord between the immaterial media of the book and the objects that hold actual historical time, the latter shows the gap between the representation of the elite women which formed a pattern in our mind and the quotations that they left behind. Images of the new women that we have come across daily from book covers or posters give primary information of a particular historical resource and fact. On the contrary, Kim Ilyup’s voice is unfamiliar. Similar to the telephone of the 1920s or an old television set that came as a surprise, it indicates something that could easily be reduced. What is more, the voice of Kim Ilyup is unclear as it is mixed with other voices.
At this point, the artist’s choice reminds us of the concept of the archive that has been referenced oftetn in Korean art scene during the past 5 years. The books in Airan Kang’s works are a representation of a state of fullness with information; such knowledge cannot be represented with more than a shiny cover. Thus, her works brought the realization that it is the audience’s task to imagine and appreciate the contents of the book in one way or the other. Likewise, the unfamiliar voice of Kim Ilyup and the fragmented words or phrases remind one that interpreting the synesthetic resources from the past is up to the audience. The more obscure and fragmentary her voice gets, the harder one needs to imagine her emotional state and fill it in in order to sympathize with her.
Although this is a strategy to prompt audience’s participation, it is ultimately what reminds us of the fact that all historical records or representations are limited. A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has pointed out how the archive as the accumulation of the past records is not the most faithful documentation of the past but nothing more than a desperate supplementation to not let the past go b y.5) The archive, at its best, is the organizing system utilized to remember the past and justify our memory. And technically, it is an obstacle that presents not the past itself but the amount of desire we have for the past. In fact, Kim Ilyup’s voice does not feel sufficient enough to be the evidence of the life of endurance of a woman who persevered the difficult times and stepped out of the boundary of ther husband and family that promised a stable life. Her voice seems too normal to meet the expected fantasies on the elite women. Or more precisely put, how much can we say we know about the new women?
Ironically, the spectacle of images of women in 1920s and 30s surrounded by various objects and information is about the desire of those who is in need of it rather than a representation of the past per se. Historical data around the audience, radiating light, and giant videos stirs multiple emotions of the audience towards the lives of new women and comfort women such as curiosity, sympathy, resentment, pressure, and respect. The situation where the direct memories regarding the characters and the incident of the past have faded away but the images and narratives of it are continuously brought up and represented is called “postmemory” by the historian Marianne Hirsch. It is a state different from a history that is completely fixed though the clear traces of the actual characters are nowhere to be seen. According to Hirsch, the method that “postmemory” relate to the past is “not actually mediated by recall but by imaginative investment, projection, and creation... These events happened in the past, but their effects continue into the present.”6)
The phrases of quotation move about on the digital screen of this era and from within the bookshelves. It is at this point that Kim Ilyup’s voice moves us. The recognized black and white photo of confident Kim Ilyup and the testimonies of comfort women that fill the giant screen and disappear remind one how their lives are no t merely a thing of the past but what needs to be represented and reenacted. To what extent could we imagine or understand through the resources we have left? And how could their legacy be remembered and inherited? It seems difficult to reckon, from the recent incident with the comfort women, if women’s right is truly an important issue in this society. The artist is determined in this regard as she attempts to bring the women of colonial Joseon back into the present not as the heroines of tragedies but as courageous female pioneers.
[1] Marianne Hirsch, “The Generation of Postmemory.” Poetics Today vol.29 no.1 (2008), pp.106
[2] Na Hyeseok, “A Doll’s House,” Maeil Sinbo, April 3 1921. (as cited in Lee Youngmi, Kim Sangki and Na Hyeseok as Mothers, Seoul: Book Pelita, 2014, pp.46-47)
[3] “You are foremost a wife and a mother.”“I do not believe in it anymore. What’s important is that I am a human being before anything.”Henry Ibsen, Et Dukkehjem trans. An Miran, Seoul: Minumsa, 2010 (first published in 1879)
[4] Na Hyeseok, “Dying in a battle with lonesome,” Kim Sangki and Na Hyeseok as Mothers, 1953, p.9
[5] Michel Foucault, Archaeology of Knowledge and the Discourse on Langage, trans. A.M. Sheridan Smith (New York: Pantheon Books, 1972), pp.129-130
[6] Marianne Hirsch, “The Generation of Postmemory,” p.107
식민지 조선의 여인들과 마주하다, 2016
고동연 (미술사가)
[포스트-기억]은 세기말, 혹은 세기가 전환기에 앞을 바라보기 보다는 뒤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리고 문제가 많은 과거에 반하여 현재를 규정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새로운 패라다임을 시작하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패라다임들]처럼, 포스트-기억은 연속성과 단절 사이에서 요동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트-기억은 움직임, 방법, 혹은 특정한 아이디어는 아니다. 오히려 나는 그것을 일종의 세대간, 혹은 세대를 아우르는 고통스러운 지식이나 경험을 전달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라고 본다.” 마리안느 허쉬(Marianne Hirsch),“ 포스트-기억의 세대,” 2008.[1]
여성의 역사적 지위는 어떻게 변해오고 있는가? 아니 정확히 말해서 지나간 여성들의 이미지를 바라보면서 우리는 과거 여성의 상황을 유추하고 그것을 현재의 여성들의 처지와 비교할 수 있을 것인가? 올해 2015년 12월 28일 한일 합의에 따라 일본 정부는 화해치유재단 설립을 위한 10억 앤의 기금을 내기로 하였다. 문제의 핵심은 이를 통하여 이제까지 미뤄온 법적인, 도의적인 사과와 의무를 회피하고자 하였다. 덕분에 다시금 우리는 정신대 문제는 한국의 근현대사에 남아 있는 가장 극단적으로 참혹한 여성 약탈의 역사에 주목하게 된다. 더불어서 말로만 부르짖어온 여성의 인권에 대한 보호와 보상의 문제가 결코 말처럼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도 알게 된다. 조선여성의 위안부 징발이 본격화 되었던 1930년대 이후와 비교해서 우리는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2016년, 지나간 여성의 인권 침탈의 문제는 지나간 일이 되어버릴 위험에 처해있다.
이번 전시에 소개된 1920-30년대 근현대사의 중요한 여성 이미지들은 우리에게 질문들을 던진다. 식민지 조선이 막을 내린 후 얼마만큼 많은 변화가 일어났는가? 만약 화면 속에 몽타주된 정신대 여성들이 조국과 함께 철저하게 짓밟혔던 참혹한 과거상을 대변한다면 전시에는 1920년 『신여자(新女子)』라는 잡지를 발간하고 입센의 『인형의 집』을 탐독, 번역했으며 자유연애를 믿었던 김일엽, 1918년 소설 『경희』를 발표한 후 1934년 이혼고백서로 잘 알려진 나혜석 등이 함께 등장한다. 이들은 각기 다른 성장과 계층적 배경을 지녔으나 각각 일본 제국주의로부터는 조국의 찬탈을, 그리고 가부장적인 유교 사회로부터는 여성의 기본적인 인간적 독립성과 자율성을 갈구하였다. 이혼하고 수도승이 되었던 김일엽이나 이혼 후 떠돌이 삶을 살았던 나혜석이나 모두 당시의 보수적인 개념에 의거해서 볼 때 가족의 울타리로부터 과감하게 뛰쳐나온 존재들이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들의 녹녹치 않은 말로는 신여자들에게 자유와 독립이 쉽게 허락될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때문에 우리 시대의 실패한 여성주의의 한 표상으로도 읽힐 수 있는 정신대 문제만큼이나 나혜석, 마찬가지 의미에서 전시에 등장하는 신여성들, 김일엽, 윤심덕, 최승희 또한 비극의 여주인공으로 읽혀질 수 있다.
‘비극적인’ 여주인공들의 삶 앞에서 여성미술은 복합적인 역할을 부여받는다. 과거 여성들의 역사를 파헤치기 위하여 그들의 비극적인 말로는 부각시키는 것이 페미니스트들에게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여성 선각자들의 비극은 여성의 사회적인 위치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좋은 소재이지만 동시에 이들을 흔한 비극적 이야기의 여주인공 정도로 축약시킬 위험도 지닌다. 게다가 정신대나 신여성이 마주하였던 녹녹치 않았던 현실에 초점을 맞추게 될 경우 관객들은 아직도 이상화되고 있는 가족, 가정 이데올로기에 대한 고마움을 새삼 느낄 수도 있다. 여성 선각자들의 불쌍한 처지를 동정하면서 말이다.
이러한 까닭에 작가가 1920-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신여자들을 인생 낙오자가 아닌 투쟁가로, 억압적인 시대 상황에서 의연하게 자신의 신념을 지킨 인물들로 다루고자 하였다는 말에 공감한다. 다른 맥락이기는 하지만 해방 후 인고의 세월을 견뎌 왔고 급기야 사회적 손가락질을 무릅쓰고 사실을 폭로한 정신대 할머님들도 분명 여성 인권의 역사에서 중요한 평가를 받아야할 존재들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렇다면, 1920년대 여성 이미지들을 통하여 우리는 무엇을 발견하게 되는가? 우리는 그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아니, 우리는 어떻게 동정심이나 경외나 아닌 보다 일상적인 맥락에서 그들을 바라보고 그들의 투쟁을 진행형으로 인식할 수 있는가?
1920-30년대 인형의 집을 나서다.
전시에 등장하는 여인들이 녹녹치 않은 삶을 살았다는 것은 짐작 가능하다. 전시의 제목은 ‘그녀만의 방(A Room of Her Own)’이다. 19세기-20세기 초 영국의 지식인들에 둘러싸여 성장과정과 이후 활동기를 거쳤던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잘 알려진 소설 『자기만의 방(A Room of One's Own)』(2919)을 연상시킨다. 원래 울프의 소설은 여성이 어떤 경우에도 대학의 교정에 정식으로 들어갈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여성 문인에게 독립적인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쓰인 책이다. 여기서 말하는 ‘자기만의 공간’은 기존의 가정이라는 공동체적인 공간으로부터 벗어나서 나 스스로의 정체성과 독립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개인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전시에서 ‘그녀만의 방’은 나혜석, 김일엽, 윤심덕, 최승희와 같은 선각자 여성들이 그토록 갈망했을 법한 식민주의와 가부장제로부터의 자유를 보장해줄 수 있는 공간으로서, 동시에 그들에 의한, 그들에 관한 자료들만으로 꾸며진 공간이기도 하다.
공간에 대한 메타포는 나혜석의 『인형의 가』(1921)에서도 반복된다. “내가 인형을 가지고 놀 때 기뻐하듯 아버지의 딸인 인형으로, 남편의 아내 인형으로, 그들을 기쁘게 하는 위안물 되도다.[...]내게는 신성한 의무가 있네. 나를 사람으로 만드는 사명의 길로 밟아서 사람이 되고자”한다.[2] “인형의 가”에서 말하는 집 안 인형으로 남아 있는 여성의 처지는 김일엽이 번역에 참여하였던 입센의 『인형의 집』(1879)을 직접적으로 참고하고 있는 듯하다. 노라는 자신이 결혼하기 전에는 아버지의, 그리고 현재는 남편의 인형임을 고백한다. 하지만 이제 노라는 이제까지 자신에게 주어진 인형의 역할로부터 벗어나고자 집을 나선다. 자신에게 가장 소중하고 신성한 의무가 있다며 반발하는 남편을 향해서 노라는 “내 자신에 대한 의무”를 선언한다. 그것은 이제 자신이 하나의 독자적인 인간임을 발견하고 그 의무에 충실하겠다는 선언이다.[3]
그런데 나혜석을 비롯하여 김일엽과 버지니아 울프에 이르기까지 신여자(성)들은 적어도 탈출할 집을 지니고 있었다. 그 집은 억압적인 존재였을 수는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방패 막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나혜석, 김일엽, 윤심덕, 최승희, 울프 등이 당시 여성 지식인이었던 것도 그렇고 그들이 비교적 안정된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기반을 제공할 수 있었던 남편들이 있었던 사실도 그러하다. 특히 나혜석의 김우영은 일제 치하의 잘 알려진 외교관이었고, 김일엽의 남편인 이노익은 연장자이자 연희대학교의 교수였으며 부인에 비하여 훨씬 연장자였던 남편은 울프 문학의 중요한 옹호자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에미를 원망치 말고 사회제도와 도덕과 법률과 인습을 원망하라. 네 어미는 과도기에 선 선각자로 그 운명의 줄에 희생된 자이었더니라. 후일 [...]‘네 어미 묘를 찾아 꽃 한송이 꽂아다오.”라는 나혜석의 말은 의미심장하다.[4] 나혜석은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기를 기원하면서 동시에 그러한 변화를 실제로 경험한 세대로서 자신이 과도기에 위치해 있다고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기만의 방》에 선보인 1920-30년대 엘리트 여성들의 이미지는 일본 식민지 하의 여성들이 처한 복잡한 현실을 전해주는 매개체이다. 전시장에는 거대한 화면에 “강간당했어요. 도마 위의 닭처럼”이라는 정신대 희생자의 경험담이 화면 위를 떠다닌다. 그리고 총칼을 든 일본군이 이끌려가는 조선의 젊은 여인들의 사진과 정신대 희생자들의 경험담이 비교적 일관되게 읽히는 것에 반하여 『신여자』의 표지나 각종 여성운동과 연관된 문인들의 활동을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 비교적 부유하고 당당해 보이던 신여자들의 이미지와 스스로를 과도기에 위치한 것으로 표현하였던 그들의 절규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한때는 대찬 여성의 상징이었던 이들이 그 시대의 대세를 결코 피해가지 못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녀는 한낮 흘러간 표상에 불과한가?
포스트-기억 속의 그녀들
많은 비평가들은 그녀의 책이 발산해내는 오묘하고 자극적인 광선들 탓에 그녀가 자신의 오브제를 사용하여 주위 공간을 물들이는 것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이번 전시에서도 책은 광채를 뿜어낸다. 그런데 책만큼이나 이번 전시에서 관심을 끄는 것은 1920-30년대를 재현하기 위하여 작가가 사용하고 있는 각종 소품이나 자료들이다. 작가는 비물질적인 광선의 효과와 함께 그간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국내외에서 수집한 나혜석, 김일엽 관련 자료들을 액자에 넣고 과거의 역사적 흔적을 지닌 소품들을 활용해서 공간을 재연하였다.
필자가 그러한 변화에 주목하게 된 것은 아르코 전시 공간을 채운 작가의 변화된 방향성 때문만은 아니다. 이미 작가는 예전부터 소품들을 십분 활용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전시에서 실제적이고 물리적인 개체가 지닌 무게감이 부각된다. 결과적으로 각종 역사적 기억들을 담은, 혹은 그 생각들을 담은 책의 표지, 그리고 그 시대의 흔적을 담은 물건들이 일종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 이 차이는 유형화된 이미지와 파편처럼 화면을 떠다니는 인용된 글귀가 빚어내는 차이와 유사하다. 전자가 책이라는 비물질적인 매개체와 실제 역사적 시간의 흔적을 담은 물건들 간의 일종의 불일치를 보여준다면, 후자에 해당하는우리의 머릿속에 유형화된 엘리트 여성들의 표상과 그들이 남긴 흔적으로서 인용구들 사이에도 괴리가 존재한다. 책의 표지나 포스터에서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해 온 신여자들의 이미지는 일차적으로 특정한 역사적 자료와 사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 준다. 이에 반하여 김일엽의 목소리는 낯설다. 그것은 갑자기 마주하게 된 1920년대의 전화기나 오래된 텔레비전과 같이 쉽게 축약될 수 있는 그 무엇인가를 지시한다. 게다가 김일엽의 목소리는 다른 소리들과 섞이면서 불분명하게 들린다.
여기서 작가의 선택은 국내 미술계에서 지난 5년간 자주 인용되어져 온 아카이브의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강애란의 작업에서 책은 언제나 각종 정보가 그득한 상태를 나타내는 표상이면서도 결국은 그러한 지식들이 그저 반짝이는 표지의 양태 이상으로는 재현되기는 힘들고, 따라서 책 속에 담겨진 내용을 어떤 식으로든 상상하고 감상하는 것이 관객의 몫이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어 왔다. 그리고 유사한 맥락에서 김일엽의 낯선 목소리, 파편화된 단어들이나 문장들은 과거로부터 날아 들어온 공감각적인 자료들을 해석하는 것이 관객의 몫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환기시켜준다. 낯설면 낯설수록, 단편적이면 단편적일수록 그녀의 목소리가 의미하는 바를 공감하기 위해서 우리는 그녀의 정서적인 상태를 상상하고 애써 메워가야 한다.
이것은 관객의 참여를 촉발하기 위한 전략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어떠한 역사적 기록이나 재현도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기도하다. 얄궂게도 프랑스의 철학자 미쉘 푸코(Michel Foucault)는 과거의 기록을 모아 놓은 집적체로서 아카이브가 과거에 대한 가장 충실한 기록이 아니라 과거를 잊지 않기 위한 우리의 처절한 대체물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5] 아카이브는 잘해봐야 우리가 과거를 기억하고 그 기억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정리체계 정도이다. 심지어 엄밀한 의미에서 과거 그 자체보다는 과거에 대한 우리의 욕망 정도를 현현하는 방해물이다. 실제로 어려운 시기를 참아내고 자신에게 안정된 삶을 보장하였던 남편과 가정을 박차고 나왔던 김일엽의 목소리는 그 인고의 세월에 대한 증거물이라고 하기에는 뭔가 불충분하게 들린다. 그녀의 목소리는 우리가 믿어 왔던 엘리트 여성에 대한 특정한 환상을 충족시켜주기에는 지극히 평범하다. 아니 정확히 말해서 우리가 신여자들에 대하여 얼마만큼 안다고 할 수 있는가?
많은 물건과 정보로 둘러싸인 1920-30년대 여성상에 대한 스펙터클은 모순되게도 과거 그 자체에 대한 재현이라기보다는 그들을 필요로 하는 우리의 욕망에 관한 것이다. 관객을 에워싼 역사적 자료들과 광채를 발산하는 빛, 거대 영상들은 신여자나 정신대 여성들의 삶에 대한 관객들의 호기심과 함께 동정심, 한탄, 위압감, 경외심 등등의 복합적인 감정을 자극한다. 과거의 인물들이나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기억은 흐려졌으나 그들에 대한 이미지나 이야기들이 지속적으로 회자되면서 생생하게 재현되는 상태를 역사학자인 마리안느 허쉬는 ‘포스트-기억’이라고 일컫는다. 그것은 완전히 박제화된 역사와는 다르면서도 그렇다고 해서 실제 인물들의 흔적이 명확하게 남지도 않은 상태를 말한다. 허쉬에 따르면 “포스트-기억이 과거와 연관되는 방식은 과거의 사건을 실제로 떠올리는 행위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상상력을 동원한 투여, 그리고 심지어 창조를 통하여 중재된다. 이 사건들은 과거에 일어났으나 [이러한 경로]를 통하여 현존하게된다.”[6]
작가가 인용한 글귀들은 지금 이 시대에 디지털화 된 화면 위에서, 책장 안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인다. 김일엽의 목소리는 바로 여기에서 우리의 감수성을 자극한다. 나혜석의 잘 알려진 당당한 흑백사진, 거대한 화면을 채우고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정신대 할머니들의 증언은 그들의 삶이 더 이상 과거의 것이 아니라 우리로 하여금 재현되고 재연되어야 하는 것임을 상기시킨다. 남아 있는 자료들을 통하여 우리는 얼마만큼 일제 치하 그들의 상황을 상상하거나 이해할 수있는가? 그리고 그들의 유산이 우리에게 어떠한 식으로 회자되고 있고 계승될 수 있는가? 아니 최근 일어난 정신대 사건에서도 보이는 바와 같이 여성의 권리가 진정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이슈이기는 한 것인가? 이에 작가의 의지는 결연하다. 식민지 조선의 여인들을 비극의 여주인공들이 아닌 당당한 여성 선각자로, 우리의 과거가 아니라 미래에, 아니 현재에 다시금 살아나도록 숨을 불어 넣고자 하기 때문이다.
강애란은 이러한 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일제강점기 강제 징발된 위안부 여성을 주제화 한다. 디지털 책과 영상 설치로 작가는 군대용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에게 성 노예 역할을 강요한 일본의 역사적 패륜을 고발하고, 그에 희생 당한 여성 피해자들, 나아가 후세대 한국 여성들의 분노를 노출하는 것이다. 2015년 갤러리 시몬에서 <빛나는 도서관-위안부>로 시발된 위안부 작업은 같은 해 서울시립미술관 〈판타지아 FANTasia〉 전과 광동 아시아 비엔날레에 출품한 <응답하라 Revoice>에서 본격화 된다. 한국과 아시아 위안부 여성들에 가해진 폭력의 증언과 흔적을 아카이브, 텍스트, 다큐 영상, 인터뷰, 사운드로 구성하여 총체적 멀티미디어환경을 만들었다.
<응답하라>의 하이라이트는 "외침의 동굴"이다. 위안부 여성들을 수용하였던 곳으로 전해지고 있는 동남아 자연 동굴들을 참조로 시청각적 공명이 일어나는 복합적 헤테로토피아, 즉 동굴의 시뮬러크럼을 창조한 것이다. 동굴은 깊고 어두운 지형적 특성으로 자궁의 메타포로 여겨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음침한 지하 이미지가 지옥을 연상시킨다. 위안부 사건은 여성적 모태 공간을 남성적 범죄의 현장으로 치환시킴으로써 동굴의 이중적 함의를 왜곡시켰다. 동굴로 대변되는 여성적 알레고리와 부계적 억압의 역사, 초현실과 현실, 미래의 희망과 과거의 트라우마의 경계에서 작가는 미디어 영매를 통한 치유의 판타지를 서술한다.
[1] Marianne Hirsch, "The Generation of Postmemory.”Poetics Todayvol. 29 no. 1 (2008), pp. 106.
[2] 나혜석, “인형의 가,”『매일신보(每日申報)』, 1921년 4월 3일자, 인용『못(母)된 감상기, 나혜석』, 이영미 (편저), 서울: 북페리타, 2014, pp. 46-47.
[3] "너는 무엇보다 첫째로 아내요, 어머니란 말이다.”"그런 것은 이제 믿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우선 저는 하나의 인간이란 사실이 중요합니다.”헨릭 입센, 『인형의 집(Et Dukkehjem)』, 안미란 (역), 서울: 민음사, 2010 (1879년 초판 발행).
[4] 나혜석, “외로움과 싸우다 객사하다,” 1935,『못(母)된 감상기, 나혜석』, p. 9.
[5] Michel Foucault, Archaeology of Knowledge and the Discourse on Language, trans. A.M. Sheridan Smith (New York: Pantheon Books, 1972), pp. 129-130.
[6] Marianne Hirsch, "The Generation of Postmemory,”p. 107.
Jean Dykstra
“Reading makes immigrants of us all.
It takes us away from home, but more important, it finds homes for us everywhere.”
--Jean Rhys
Why are we drawn, like moths to a flame, to the bookshelves of friends and acquaintances? We scrutinize them for clues to who they are, for affinities to who we are, for shared tastes or a common history. We understand a person’s books to be revealing in some fundamental way. The texts that have influenced them, the books they’ve held on to, or even the ones they’ve never read but see fit to display disclose something fundamental. Umberto Eco has suggested that the books we own but haven’t read may be more important than the ones we have – they make up what he calls an anti-library, full of the rich potential of things we don’t yet know but have at our fingertips, a world of possible thoughts, insights, and stories.
In the late 18th century, a kind of a still life painting came into fashion in Korea: chaekgado paintings, which depicted bookshelves filled with books, antiques, and other objects, were considered conveyors of cultural values, respect for scholarship and learning. Similar to European still life paintings, they highlighted the possessions and the status of their owners. Books and the knowledge they contain remain symbols of status, markers of identity, but the significance of the personal library is shifting as books are being published and read in different, more ephemeral forms.
The book – its boundless possibilities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 is central to the work of Korean artist Airan Kang. In paintings such as Pile of Books and Pop Art, both from 2012, she references the power of accumulated knowledge and the weight of an established canon, in this case, key texts from the worlds of art and literature. These works, as well as Luminous Words, her installation of bookshelves containing transparent, cast-resin sculptures of books lit from within by LED lights, recall those early chaekgado paintings. Kang’s thoughtful, philosophical artworks re-examine the role of the canon, howeve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ok and reader in today’s digital landscape.
Kang opens up the idea of the book from a concrete, self-contained object into a virtual space for the imagination. Her immersive, sensory artworks situate book and text as an interactive experience, an unfinished work entered into and transformed by the reader or viewer’s imagination or memory. The content – the physical pages, but also, more figuratively, the narratives and the knowledge – of the transparent cast-resin books in Lighting Books and Luminous Poem has been replaced with light, that multivalent symbol, in so many cultures and traditions, of wisdom, purity, spirituality, but also knowledge and enlightenment. The luminescent books in Kang’s installations glow in the darkened gallery space. There is something nostalgic in her work, a sense of loss and unmooring in these empty, light-filled shells. But that is countered by a sense of possibility, because by upending the idea of the book as a familiar object, she encourages more free-floating associations with the book and its subject matter. Digital media and the Internet are characterized by fluidity and change, and Kang introduces those elements into an established artistic and literary canon, unraveling it to create the potential for a broader, more idiosyncratic contemplation.
In Luminous Poem, texts from classical poetry floats across the surface of a massive mirrored book. The texts are from poems by Ralph Waldo Emerson, Edgar Allen Poe, John Keats, and Lord Byron, among others – authors from the Romantic canon of Western literature. Ideals of beauty and love are described as natural phenomenon, ephemeral and fleeting. Kang not only references poets that explored the notion of the Romantic Sublime – a sense of awe in the face of the unknowable – but creates an experience that evokes that sense of awe and wonder. The Sublime is a contemporary concept for Kang, not a historical no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xts Kang incorporates are almost entirely by male authors, frequently rhapsodizing about female beauty. Though the language of their work is lyrical and evocative, we are meant to notice the fact that the poets are nearly all men. So-called women’s work is a central, if subtle, element in Kang’s ongoing artistic process. Recent projects have included video installations involving the testimony of Comfort Women from Korea, for instance. In her earlier body of work, Wrapped Knowledge, from the 1990s, she created sculptures of fabric-wrapped books cast in aluminum, an oblique reference to the tradition of Bojagi. Korean wrapping cloths, Bojagi are squares of textiles, often embroidered and made out of silk, used to wrap precious objects -- books or gifts, or even letters—as well as everyday items. They come in a range of sizes and patterns, but were traditionally made by women, out of the scraps of left over fabric. Because the makers were piecing together scraps of cloth, the patterns often resembled modernist abstractions. They’re beautiful things, but Kang also sees them as “malleable and passive.”
Although Kang has been engaged with the book as the subject of her work for nearly two decades, it feels like a particularly timely subject, given the anxiety in contemporary society about the place of literature and publishing, and the conventional form of the book in this age of glowing screens and fleeting, 140-character bits of communication that float out into the ether. A number of other contemporary artists have engaged with this subject as well, in different ways. In a series called The Weight of Knowledge, 2014, British photographer Simon Brown photographed tower-like piles of old and discarded books, lending them a concrete materiality but also a sense of nostalgia – the antithesis of the pride of place of the volumes in a library or memorialized in a work of art. Rather than markers of status and knowledge, the books in Simon’s photographs symbolize a cultural decay and a sense of loss. In her Crystalized Books series, American sculptor Alexis Arnold took discarded books and magazines and transformed them into glittering, geologic sculptures coated in crystals, turning them into artifacts rather than functional objects. What the books have gained in becoming aesthetic objects, they have lost in usefulness.
Other artists create text-based work that resonates with Kang’s installations -- Ben Rubin’s Shakespeare Machine is installed at the Public Theater in New York. The chandelier-like permanent installation contains 37 blades with LED screens. Phrases from Shakespeare plays appear and dissolve in an automated fashion on each of the blades, encouraging a reconsideration of the playwright’s imagery and poetry.
These artists share with Kang an absorption with the book and its place in contemporary culture, as well as a metaphysical approach to text. But Kang’s artwork also relates in key ways to that of another Korean-born artist, Nam June Paik. (The book The Worlds of Nam June Paik features, not surprisingly, in one of Kang’s works from 2014). The television set had become, by the 1970s, a central element of community life, an object around which families gathered. Not unlike the way Kang approaches the book as a flexible material for her artwork, Paik removed the television’s original function and gave it a new role in such works as TV Garden, a profusion of television sets that seem to bloom among the flora, or Magnet TV, in which the shell of the television set is unchanged but what appears on the screen is transformed into an abstract pattern. Viewers interact with the work by moving an industrial-sized magnet that rests on top of the set, changing the pattern on the screen. Paik pulled the television out of the context of commercial entertainment and transformed it into an artwork that relied, in large part, on chance.
Kang’s Luminous Poem is, similarly, subject to chance and viewer interaction: individuals select books and place them on a table, activating video of the text. In this way, the viewer is immersed in fragments of text in which words and themes recur: light, beauty, dreams, nature. Luminous Poem braids concrete and ephemeral depictions of knowledge and narrative together in order to engage the viewer’s imagination. Kang reconfigures the idea of the book, turning it into an expansive, experiential spectacle that we engage with in an active way, making meaning as we go. Characterized by its fluidity and openness, Kang’s installations are incandescent in both meanings of the word – emitting light, of course, but also passion.
빛나는 시, 2015
Jean Dykstra
“독서는 우리를 이동시킨다.
우리를 집으로부터 멀리 데려가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건 우리에게 무수한 집을 찾아준다는 점이다.”
-Jean Rhys
우리는 왜 우리는 왜 친구나 지인의 책장에 이끌릴까? 우리는 그 책들 속에서 그 사람이 누구인지, 우리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공유된 취향이나 공통의 역사를 찾으려 하기 때문이다. 사람의 책은 본질적인 방식으로 그 사람을 드러낸다. 그들이 영향을 받은 텍스트, 간직한 책들, 혹은 읽어본 적은 없지만 진열해 둔 책 조차도 뭔가 본질적인 것을 드러낸다. 움베르토 에코는 우리가 소유하고 있지만 아직 읽지 않은 책들이 우리가 가진 책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것들을 ‘반-도서관(anti-library)'이라 부르며,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지만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것들의 풍부한 잠재력, 즉 가능한 생각과 통찰,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한다.
18세기 후반, 한국에서는 일종의 정물화가 유행했다. 책장에 가득한 책과 골동품, 기타 물건들을 그린 책가도(chaekgado) 그림이 문화적 가치와 학문에 대한 존경을 전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유럽의 정물화와 유사하게, 그것은 소유자의 물건과 지위를 강조했다. 책과 그안에 담긴 지식은 여전히 지위의 상징이자 정체성의 표식으로 남아 있지만, 이제는 더 다양한 형태로 출판되고 읽히면서 개인 도서관의 의미는 변화하고 있다.
책, 그 무한한 가능성과 문화적 의미는 한국 작가 강애란의 작품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2012년의 책 더미들과 팝 아트와 같은 작품에서 그녀는 축적된 지식의 힘과 확립된 정전(正典)의 무게를 다룬다. 이 작품들은 예술과 문학의 중요한 텍스트들을 다루고 있으며, 강애란의 <빛나는 말들>과 같이 투명한 책 모양의 조각들을 LED 조명으로 비춘 책장을 설치한 작품도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초기 책가도 그림들을 떠올리게 한다. 이러한 강애란의 깊고 철학적인 예술작품은 정전의 역할을 재검토하며, 오늘날 디지털 환경 속에서 책과 독자의 관계를 탐구하고 있다.
강애란은 책을 구체적이고 독립된 객체에서 상상의 가상 공간으로 확장시킨다. 그녀의 몰입적이고 감각적인 작품들은 책과 텍스트를 인터랙티브한 경험으로 설정한다. 그 경험은 독자나 관람자의 상상력이나 기억에 의해 들어가고 변형되는, 끝나지 않은 작품이다. <Lighting Books>와 <Luminous Poem>에 나오는 투명한 레진 책들에서 책의 내용, 즉 물리적인 페이지뿐만 아니라 더 상징적으로는 이야기와 지식이 빛으로 대체된다. 빛은 많은 문화와 전통에서 지혜, 순수함, 영성뿐만 아니라 지식과 깨달음의 다면적인 상징이니 말이다. 강애란의 설치 작품에서 빛나는 책들은 어두운 갤러리 공간에서 빛을 발한 그녀의 작품 속에는 그리움과 상실감, 고정된 것에서 벗어나는 느낌이 있다. 하지만 그건 가능성의 느낌과도 맞물려, 책을 익숙한 객체로서 뒤집어 놓으면서 책과 그 주제에 대한 더 자유로운 연관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미디어와 인터넷은 유동성과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데, 강애란은 그 요소들을 확립된 예술적이고 문학적인 정전 안으로 끌어들여 그 틀을 풀어놓으면서 더 넓고, 개성 있는 사유의 가능성을 만들어 간다.
<Luminous Poem>에서는 고전 시가의 텍스트가 거대한 거울책 표면 위에 떠다닌다. 그 텍스트들은 랄프 왈도 에머슨, 에드거 앨런포, 존 키츠, 로드 바이런 등 서양 문학의 낭만주의 정전에서 온 시들이다. 그들의 시에서는 아름다움과 사랑이 자연 현상으로 묘사되며, 덧없고 순간적인 것으로 그려진다. 강애란은 낭만적 숭고함에 대해 탐구한 시인들을 참조할 뿐만 아니라, 그 숭고함과 경이로움을 일깨우는 경험을 만들어 낸다. 숭고함은 그녀에게 현대적인 개념이며, 역사적인 개념이 아니다.
강애란이 작품에 삽입하는 텍스트들이 거의 전부 남성 작가들에 의해 쓰인 것에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주로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해 찬양하는 시를 써왔고, 그들의 언어는 서정적이고 감각적이지만, 거의 모든 시인이 남성이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른바 '여성의 작업’은 강애란의 지속적인 예술적 과정에서 중요한, 하지만 미묘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프로젝트 중에는 한국 위안부들의 증언을 담은 영상 설치 작업도 포함되어 있다. 1990년대의 초기 작업인 <Wrapped Knowledge>에서는 천으로 감싼 책들을 알루미늄으로 주조한 조각을 만들어, 보자기 전통을 간접적으로 참조했다. 보자기는 전통적으로 여성들이 남은 천 조각들을 이용해 만든 직물 조각들로, 소중한 물건이나 선물, 심지어 편지까지 싸는 데 사용됐다. 그런 보자기들이 모던한 추상화처럼 보일 때가 많았다는 걸 강애란은 알고 있다. 보자기 자체는 아름다운 것이지만, 그녀는 그것들을 "형성 가능하고 수동적인" 것으로 본다.
강애란은 거의 20년 동안 자신의 작업의 주제로 책을 다뤄왔지만, 현대 사회에서 문학과 출판의 위치, 그리고 빛나는 화면과 순간적인 140자 메시지가 공중으로 떠도는 시대에서 책의 전통적인 형태에 대한 불안이 커져가는 상황을 고려할 때, 특히 시의적절한 주제로 느껴진다. 많은 다른 현대 작가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 주제에 대해 다뤄왔다. 2014년 '지식의 무게(The Weight of Knowledge)'라는 시리즈에서 영국 사진작가 사이먼 브라운은 오래되고 버려진 책들이 쌓인 탑처럼 촬영하여 그들에게 구체적인 물질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향수적인 느낌을 전달하였다. 이는 도서관에 있는 책들이나 예술 작품으로 기념된 책들의 자랑스러운 위치와는 정반대의 의미를 지닌다. 사이먼의 사진 속 책들은 지위와 지식의 상징이 아니라 문화적 쇠퇴와 상실감을 나타내는 상징이 된다. 미국 조각가 알렉시스 아널드의 '결정화된 책(Crystalized Books)' 시리즈에서는 버려진 책과 잡지들을 가져다 그것들을 반짝이는 지질학적 조각품으로 변형시켜, 기능적인 객체가 아닌 유물로 변모시켰다. 책들이 미적 객체로 변함으로써 얻은 것들은 유용함을 잃은 것이다.
다른 예술가들은 강애란의 설치 작품과 유사한 텍스트 기반 작업을 창작한다. 벤 루빈의 <셰익스피어 기계(Shakespeare Machine)>는 뉴욕 공공극장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샹들리에처럼 설치된 영구적인 작품은 37개의 날개에 LED 화면을 장착하고 있다. 셰익스피어의희곡에서 발췌한 구절들이 각 날개에 자동적으로 나타나고 사라지며, 이를 통해 관객에게 셰익스피어의 이미지와 시적 표현에 대한 재고를 촉구한다.
이 예술가들은 강애란과 마찬가지로 책과 그것이 현대 문화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텍스트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접근을 공유한다. 그러나 그녀의 작품은 또 다른 한국 출신 예술가인 백남준의 작품과도 중요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책 <백남준의 세계>는 2014년 강의 작품 중 하나에서 등장한다.) 1970년대에 텔레비전은 지역 사회 생활의 중심 요소가 되어, 가족들이 모이는 중요한대상이 되었다. 강애란이 책을 자신의 작품을 위한 유연한 재료로 다루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백남준은 텔레비전의 원래 기능을 제거하고, <TV 가든>과 같은 작품에서 텔레비전이 식물들 사이에서 꽃을 피우듯 배치되는 방식으로, 혹은 <마그넷 TV>에서 텔레비전 세트의외형은 그대로 두고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추상적인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새로운 역할을 부여했다. 관객들은 세트 위에 놓인 대형 자석을 움직여 화면의 패턴을 바꿔가며 작품과 상호작용한다. 백남준은 텔레비전을 상업적 오락의 맥락에서 끌어내어 우연에 의존하는 예술작품으로 변형시켰다.
강애란의 <빛나는 시(Luminous Poem)>는 마찬가지로 우연성과 관객의 상호작용에 의존한다. 관객은 책을 선택해 테이블 위에 놓음으로써 텍스트의 영상이 활성화된다. 이 방식으로 관객은 반복되는 단어와 주제들이 등장하는 텍스트의 조각들 속에 몰입하게 된다. 빛, 아름다움, 꿈, 자연과 같은 주제들이 그 예이다. <빛나는 시>는 지식과 서사의 구체적이고 덧없는 표현들을 엮어,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녀는 책의 개념을 재구성하여 그것을 확장된 경험적 스펙터클로 바꾸며, 관객은 능동적인 방식으로 이와 상호작용하고 그 과정에서 의미를 만들어 간다. 유동성과 개방성으로 특징 지어지는 강의 설치 작품은 문자 그대로, 그리고 은유적으로 모두 빛을 발한다. 즉, 빛을 발산하며, 또한 열정을 내비친다.
Lee Chan-Woong
I remember crawling into the blanket with a noctilucent toy in my hand when I was a child. I was perhaps wondering if the toy stopped breathing during the bright daytime and could no longer give out light. We know we have to use different methods for different things when we identify whether something is alive or still on function. Although the most frequently used criterion is usually movement, sometimes we touch it and other times, see whether it is glowing or not as in this case. And here with the artist Airan Kang, we have once again an experience of feeling that something is alive: a glowing book.
For the last fifteen years, Kang has produced works on the book. However, the ways to approach it were continuously changed. The first period in the late 1990s presented it as the symbol for the (conventional and therefore, mostly negative) transmission of culture (as in the series titled “Wrapped Knowledge” that wrapped books in bojagi, or a traditional Korean wrapping cloth). In the second period in the 2000s, books were brought into the virtual and digital processing, as was shown by the two 2009 exhibitions: “Digital Book Project 09”(Danaka-Bunko Library, Japan) in which the play and tension between analogue and digital was at issue and “The Space of the Sublime” (YOU-SER 2.0, ZKM Karlsruhe, Germany) in which the sublime future of the book was anticipat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books and the audience in a huge room of 5x5 meter. However, what was in the artist’s mind at that time was not the book itself, but its influence on the surrounding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or, in short, the space created by it. Books are arranged rather than transmitted, function rather than exist.
And today, this exhibition is expected to mark the beginning of a new period. The reasons for this will be discuss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but the primary one among them would be the fact that the artist begins to emphasize stories and emotions related to books. Unlike her previous works, Kang extracts various emotions, such as longing, sorrow, and bitterness, from books and life, and makes the audience face them and put their emotion into them. If it seems that books and life are mixed in the exhibition, this is because they are receding toward those stories and emotions that serve as a vanishing point.
In short, in the trajectory of Kang’s art, the function of the book moves from a symbol, through an index, to an icon. To use the terminology of semiologist Charles Pierce, they respectively signify abstract rules, physical conflict, and implied property. But this change is not a mere evolution. Rather, the artist’s eyes are increasingly zooming-in the inside of the book, going deep into the content all through the process. She moved from the book in civiliz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ook and man, to the content and meaning of each book in this exhibition.
The series titled “Luminous Words” on display on the first floor shows, above all, that the spirit of the artist using the Pop Art-like style is closer to the masses than to the avant-garde. But in some respects, the work may be the artist’s aesthetic breakthrough in this time when tablet PCs and e-book devices became common, or when the digital book format that she had used in the 2000s has now become an item of everyday use. Here, by returning to the flat painting, she makes an important effort to secure the ‘zero point’ or base of activity in which she can enjoy sensuous pleasure with the audience. If the earlier periods were characterized by the anxiety about, and prospect of the book, the artist in this exhibition focuses on the sensuous rhythm of colors and arrangements.
The mixture between analog and digital is still going on. What is important to note first, and what is most eye-catching, is the digital texts that pass between analog images, creating temporality. And there is a stratum that works in a more secret way. The model of the series is not a book, but a digitally edited photograph of it. It is by no means unusual in contemporary painting that the subject of the painting is a digitally processed image, but in this series, the processing has a subtle but different effect of making the audience feel that the presence and accumulation of books are under the digital mediation and surrounded by the digital environment.
The series with the subtitle of “Cella Auctor Mulieris,” displayed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has more local and historical implications. The work on Yuseonsa, a poetic series written by Heo Nanseolheon (1563–1589), a prominent female poet in the Joseon dynasty, creates a space in which the viewer experience the overlapping and blending of many layers of time. While the bright light source embedded in books reminded you of a certain point of time in the future, it is now in this present moment when the artist conjures up the story and emotion of a historical figure from the past and the viewer reads the text projected on the screen. Unlike her previous works, the certainties of time and space are presented to be in inverse proportion to each other. The more the historical existence of the proper noun increases the definability of the virtual space, the more the certainty of time axis decreases. In this floating time-space, the viewer tends to have an illusion as if he was in the virtual space of computer games where emotions wander violently from here to there.
However, if there is one thing that makes this room of “Cella Auctor Mulieris” precarious is that the room itself could be seen not as an art museum but as a historical one, since the figures chosen as the subject are historically well-known people. The proper nouns such as Heo Nanseolheon, Shin Saimdang (1504 –1551), and the names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are already laden with so much information and preconception that they could create a hard-to-close distance between the works and the audience. Therefore, what is crucial in this case is whether the artist can give each specific noun generality enough for it to refer to a unique but anonymous life. In other words, can Heo embrace even the lives of modern women who are restricted in exploring and developing their artistic talents and interests? And can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represent even the lives in the past that were put to the shade of the greed of statism and the enervation of nationalism?
Kang shows the challenge to the very question in Testimonies of Twelv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where some unrecognizable sound is gradually articulated into texts of explicit testimonies. As the sheer distance between the collective noun and individual existence is becoming clearer, “the clamor of being” is slowly converted to a testimonial record and finally succeeds in proving its right. Perhaps a little surprisingly,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artist’s work seems to repeat here, but with some variation. As is know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nsities of the impressive, eye-catching appearance of the books and the key texts arranged on the cold surface has been a major source of creative energy for the artist. However, in this series, the collective sound displaces the light source of the digital book. The clamor and the song in these two sound-centered works on the second floor respectively signify life and death, and existence and absence. Between the two works, the viewer will find himself recognizing once again the urgent problem whose prescription will expire soon.
Therefore, it seems obvious that the artist is passing a turning point. As is known, Kang’s previous works were largely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the interest in the present. Although sounding strange, this is by no means a disparaging comment, for the very absence works like a kind of empty receptacle in her work. Because it is empty, it can provide a condition in which the artist perceives her environment and her own time. The present time is represented not as a point or an aspect, but as a conflict between two separates streams flow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rather a divergence that grows ever wider. For her, time is always divided into the two flows of the future and the past, which is the most paradoxical point in her work(the original meaning of ‘paradox’ is related to two contrary directions that appear simultaneously). Each of the book and light, or of texts and technology is placed on each of the two vectors. While the digital future is shown in the past of classic books, the viewer is swiftly carried away in the two directions of the future and the past. Kang bends the two streams of time in order to make their ends meet again, and strives to continue negotiation in the rendezvous. This time-structure is found in this exhibition that features the literary works of women who lived in the Korean Peninsula equally appeared in her previous works that dealt with the Western classics.
In this sense, the two works on the issue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reached a critical juncture in the trajectory of the artist’s work. This is because they are rare, almost exceptional cases in which the artist casts eyes on the ongoing event. These documents may be her outgoing to find society, not civilization, as she previously did, and for this very reason, the camerawork and editing become very careful. The stuttering-like videos persuade us to hold the last page of the life of those who actually lived. It may be that the artist now invites us to look into life like a book, as the old parable says that life is in itself a book to be interpreted.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s eye does not stay outside of books, but goes into the content of them, until it even goes out through them. If previously the light and texts of her books had no purpose other than th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Kang now turns to the fact that in the very source from which they are radiated, someone’s life resides. By doing so, the artist makes us reconsider the life, particularly of Korean or East Asian women that have been constantly subject to improper interpretations and prejudices. So we cannot but raise these questions: Is the anxiety about the future of the book changing to the will to life? Therefore, does light now come into the artist from the story of individuals who silently suffered and endured the pressure of history, not from books into darkness? In all probability, the artist who once worked as a librarian installing light will go on to rummage history and go out into the street in order to collect light on the light-sensitive plate in the camera. Because there is a lengthy list of the great writers working as librarians in literary circles, we may well expect another period when Kang will deliver another concern and consolation by gathering the disappearing particles of light.
책의 근심, 빛의 위안, 2014
이찬웅 (예술철학)
어렸을 때 야광 장난감을 가지고 이불 속으로 들어가던 생각이 난다. 아마도 밝은 낮 동안 장난감이 숨이 멎어 버린 것은 아닌지, 그래서 다시는 빛을 내보낼 수 없는 것은 아닌지 못내 궁금해서였던 것 같다. 살아 있는 것을 우리가 확인하는 방법은 사실 사물에 따라 다르다. 대개는 움직임을 보고 확인하지만, 때로는 만져보기도 하고, 때로는 이처럼 빛이 나는지 확인한다. 우리는 여기에서 강애란 작가와 함께 어떤 특정한 사물이 살아 있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그것은 빛나는 책이다.
그녀는 지난 15년간 일관되게 책을 소재로 삼은 작품들을 발표했다. 그러나 그 사용의 방법은 사뭇 다르다. 1990년대 말, 첫 번째 시기에 책은 문화의 (관습적이고 그래서 대체로 부정적인) 전승의 상징으로 등장한다(<Wrapped Knowledge> 연작에서 보자기에 쌓인 책들). 2000년대, 두 번째 시기에 서적들은 버추얼과 디지털의 가공 작업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2009년 두 개의 전시를 대표적으로 떠올릴 만한데, 아날로그와 디지털 매체 사이의 유희와 긴장이 문제가 되거나(<Digital Book Project 09>, Danaka-Bunko Library, Japan), 또는 각 길이가 5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방 안에서 관객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책의 ‘숭고한’ 미래가 예감된다(<The Space of Sublime>, YOU-SER 2.0, Karlsruhe, Germany). 이 시기에 작가가 고민하고 있는 것은 책 자체라기보다는 그것이 주위에 미치는 영향, 환경과의 관계, 즉 책이 형성하는 공간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책은 전승된다기보다 배치되며, 존재한다기보다 작동한다.
그리고 오늘 이 전시가 새로운 시기의 출발점이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게 된다. 그렇게 말할 수 있는 몇 가지 이유를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무엇보다 책들과 관련된 이야기와 정서가 두드러지게 부각되기 때문이다. 작가는 예전과 달리 그리움, 슬픔, 사무침과 같은 감정들을 서적과 인생에서 추출해내어 우리에게 대면하고 이입하게 한다. 이 전시에서 책과 삶이 뒤섞이는 경향이 있다면, 이는 아마도 이야기와 감정을 소실점 삼아 그것들이 수렴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작가의 작업 궤적에서 책은 상징(symbol)에서 지표(index)로, 그리고 이번에는 도상(icon)으로 차례로 이동하고 있다. 기호학자 퍼스(Charles Peirce)의 용어법을 빌리자면, 이 말들은 각각 추상적 법칙, 물리적 충돌, 함축된 성질을 의미한다. 이 변화가 단순히 어떤 진화를 의미한다는 뜻은 아니다. 이것은 그녀가 책을 바라보는 시선이 책의 내부로 점점 더 줌-인(zoom-in)되고 있고, 책의 내용 안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함축한다. 말하자면, 문명 속의 서적에서 출발하여 책과 인간의 상호 작용, 그리고 오늘 이 전시에서는 각각의 책에 담긴 내용과 고유한 의미가 문제되고 있다.
1층에 전시된 <빛나는 낱말들>(Luminous Words)은, 우선 팝아트적인 양식을 통해 그녀의 작업을 이끌고 있는 정신이 전위보다는 대중에 있다는 점을 느끼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태블릿 PC와 e-book device가 보편화되어 있는 지금 시점에서, 말하자면 2000년대 자신이 작업했던 디지털 북이 이미 일상화된 상황에서, 작가의 예술적 돌파구처럼 보이기도 한다. 평면 회화로 회귀함으로써 우선 관객들과 함께 감각적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는 활동의 영점(zero point) 내지 기지(其地)를 확보하려는 중요한 노력으로 보인다. 이전 시기에 작가의 관심이 책의 미래를 근심하고 전망하는 것이었다면, 여기에서 작가의 시선은 색채와 배치의 감각적인 리듬에 맞추어져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의 혼합은 계속되고 있다. 우선, 명시적으로는 아날로그 이미지 사이로 디지털 텍스트가 지나가면서 시간성을 생산해내는 것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좀더 은밀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층위가 있다. 이 연작은 직접 책을 모델로 삼는 것이 아니라, 책들을 사진 촬영하고 디지털적 편집을 거친 후 모델을 얻어낸다. 회화의 대상 자체가 디지털적 변형을 거쳐 얻어지는 경우는 동시대 회화에서 드물지 않지만, 여기에서는 책의 현존과 축적 자체가 디지털적 매개와 환경 안에 놓여 있음을 느끼게 하는, 미세하지만 이질적인 효과를 낳는다.
2, 3층에 전시된 <여전사의 방>(Cella Auctor Mulieris)이라는 뜻의 부제가 붙은 연작에서 작가의 작업은 보다 지역적이면서 역사적인 성격을 띤다. 우선, <허난설헌의 방>은 여러 층의 시간이 중첩되고 혼합된 공간을 체험하게 한다. 책들에 선명한 광원이 설치된 것은 앞선 전시들과 마찬가지로 어느 미래 시점을 연상시키는 반면, 역사적 인물의 스토리와 정서를 과거로부터 불러오고, 관객들이 스크린에 투사된 텍스트를 읽는 것은 지금의 순간이다. 이전 작품과 비교한다면, 시간과 공간의 확실성은 반비례 관계에 있는 것처럼 주어진다. 즉, 가상적 공간이 역사적 고유명사 아래에서 보다 큰 규정성을 갖게 되는 그만큼, 관객은 시간축 상에서 보다 더 큰 불확실성에 빠지게된다. 이 방 안에 있다보면 얼마간 컴퓨터 게임의 가상 공간 안에 있는 것 같은 환영을 경험하게 되기도 하는데, 부유하는 시공간 안에서 정서들이 그만큼 강렬하게 떠돈다.
한 가지 아슬아슬한 지점은, 소재로 채택된 인물들이 역사적으로 공인된 이름들이기 때문에 이 <여전사의 방>이 미술관이 아니라 박물관의 장소인 것처럼 보일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허난설헌, 신사임당 그리고 위안부 할머니들이라는 이름들은, 그것들이 너무나 많은 정보와 선입견들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이는 어쩌면 작품과 관객 사이에 좁히기 힘든 거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특정한 고유명사가 과연 각자 독특하면서도 익명적인 삶들을 지시할 수 있을 정도로 그것을 보편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지점에 작가의 역량이 걸려 있게 된다. 말하자면, 허난설헌은 예술적 재능과 관심을 자유롭게 펼쳐지 못하는 현대의 (여성의) 삶들을 포괄할 수 있을 것인가. 위안부 할머니들은 국가주의의 탐욕과 민족주의의 무기력 사이에서 어두운 그늘을 감당해야 했던 삶들을 불러 올 수 있을 것인가.
<위안부 할머니들-12명>은 이 문제에 대한 작가의 도전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식별 불가능한 사운드에서 출발해 명확한 증언들의 텍스트로 분할된다. 집합 명사와 개별적 실존 사이의 엄연한 거리를 관객에게 일깨우고, “존재의 아우성”은 증언의 기록으로 전환되면서 자신의 권리를 마침내 입증한다. 의외의 사실일 수 있지만, 작가의 일반적인 작품 구조가 여기에서 변형되어 반복되는 듯하다. 책의 강렬한 외양으로 관객의 시선을 견인한 다음 핵심적 구절을 차가운 평면 위에 배치하면서, 작가는 이 강도상의 차이를 자신의 예술적 에너지로 삼아왔다. 여기에서는 집단적 사운드가 디지털 서적들의 광원을 대신하고 있다. 사운드가 이끌고 있는 2층의 두 작품에서 외침과 노래는 각각 삶과 죽음을, 현존과 부재를 알린다. 관객은 이 두 작품의 사이에서 시효가 다해가는 시급한 문제를 다시 인식하게 된다.
작가가 어떤 전환점을 지나고 있다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이전의 작품들을 고려할 때, 강애란 작가의 작품에서 특징적인 점은 대체로 현재에 대한 관심이 부재하다는 것이다. 이상한 말이긴 하지만, 이것은 비난조의 말이 아니다. 이 부재는 어떤 빈 그릇처럼 기능한다. 그것은 비어있기 때문에, 작가가 자신의 환경을, 시대를 지각하는 조건으로 작동한다. 현재는 어떤 점이나 단면이 아니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두 흐름의 충돌로 나타난다. 또는 차라리 두 방향으로 끊임 없이 멀어지는 분기로 나타난다. 요컨대 작가의 세계 안에서 시간은 미래와 과거의 두 흐름으로 분열된다. 이것이 아마도 그녀의 작업에서 가장 역설적인(paradoxical) 지점일 것이다(‘패러독스’는 원래 동시에 나타나는 상반되는 두 방향을 의미한다). 책과 빛, 또는 텍스트와 기술이 각각 그 두 벡터 위에 놓여 있다. 디지털적인 미래가 고전적인 책의 과거 안에 담겨 나타날 때, 관람객은 아주 빠른 속도로 미래와 과거 양 방향으로 실려가게 된다. 작가의 작업은 시간의 두 흐름을 구부려서 다시 만나게 하고, 그 안에서 끊임 없이 협상하려는 것이다. 그녀가 한반도에 거주했던 여성의 문학에 관심을 두고 있는 이번 전시뿐 아니라, 이전 시기에 서양의 고전을 소재로 택했을 때부터 이 시간의 구조는 일관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위안부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두 작품은 작가의 작업 궤적에서 새로운 분기점를 형성한다. 그녀가 현재 진행형으로 벌어지고 있는 사건에 시선을 던지는 거의 유일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 기록물은 작가가 예전과 달리 문명이 아니라 사회를 발견하려는 외출처럼 보이고, 그만큼 카메라에 담긴 시선과 편집은 조심스럽다. 더듬는 듯한 영상을 통해 작가는 우리에게 한 인생의 마지막 페이지를 붙잡도록 유도한다. 인생 자체가 해석해야 할 한 권의 책이라는 오래된 은유가 있거니와, 작가는 이제 책처럼 삶을 들여다보도록 우리를 초대하는 것일까.
이 전시에서 작가의 시선은 책의 바깥에 머물지 않고, 이제 책의 내용으로 진입하고서는 마침내 그것을 뚫고 나가버리는 것처럼 보인다. 앞서 책들의 빛이, 서적들의 텍스트들이 관객들과 상호 작용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면, 이제 그것들이 방출되는 원천에 누군가의 삶이 놓여져 있다는 사실의 발견으로 작가의 관심이 이동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특히, 여전히 이런저런 온당치 못한 해석과 편견들로 감추어져 있는, 한반도 또는 동아시아의 여성들의 삶을 다시 생각해보도록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번 강애란 작가의 작품들 사이에서 다음과 같이 물어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녀의 작업에서 책의 미래에 대한 근심은 삶의 의미에 대한 의지로 바뀌고 있는 것일까. 그래서 빛은 이제 책으로부터 어둠을 향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역사를 조용히 버텨온 개인들의 이야기로부터 작가에게 들어오는 것일까. 빛을 설치하는 사서로 근무했던 작가는, 짐작컨대 이제 역사를 뒤지고 거리로 나가 직접 캠코더의 감광판에 빛을 채집하는 작업에 도전할 것이다. 문학계에는 도서관 사서로 일했던 뛰어난 작가들의 긴 목록이 있거니와, 앞으로 그녀가 스러져가는 빛의 입자들을 모아 근심과 위안을 전해줄 또 다른 시기를 기대해보자.
Misook Song (Art Historian)
Airan Kang, a renowned Korean artist is widely recognized for her “book” series that adopts digital technology. Her interest in books does not lie in the concept of the “artist’s book,” an authentic product of an artist, which has been a subject of interest for many artists since Modernism. Instead, she investigates how books in their traditional format can be consumed and circulated in this 21st-Century digital era, and what could be the role of the artist in this contemporary context. Generally speaking, when we take a book from a bookshelf, we are initially attracted to the symbolic power represented by colors, designs, patterns and titles on the cover. Once the choice is made our attention is then directed to the contents and meanings conveyed in the book. The process through which a book is read and circulated is as important as its textual arrangements or contents. Recent developments in digital technology have made everything for us so effortless. The manual act or labor(?) of turning the pages is no longer required- an e-book is operated at a touch and even a machine/computer reads a book to us, saving us the trouble of any physical effort. Furthermore, texts and narratives of a book that are visualized as images accompanied by sound/acoustic effects stimulate sensory perception more intensely. Airan Kang delves into the communicative relationship between a book and a reader that are continuously integrated synesthetically. In other words, the artist’s main concern is the process by which a book as an “abstract” object is perceived as sensations by human body through digital technology, rather than the contents or narratives of each book. In her work, the electric light functions as a tool that infuses vitality and dynamic rhythms into the perceptual process, or at times, as the subject in itself. Acoustic effects and the sound of reciting the content in the background conjure up yet another sensory effect. Therefore, in the artist’s digital book project, a book itself becomes a sensory matrix constructed as a luminous body emanating color and light inside the cover or a deconstructed visual text or image that provokes the aural and tactile senses as well as the visual.
In the simulacra of books that encompass a broad range of themes and subjects, Airan Kang seems to have discovered another aspect of the book as a luminous object, a crucial medium that imitates the digitalized process. That is the realization of the fact that a book, the most universal medium for intellectual communication can be a space for a Foucauldian heterotopia. Heterotopia, a compound word formed from ‘hetero/other’ and ‘utopia,’ is generally regarded as a physical representation of or an approximation to Utopia. According to Foucault, heterotopia is the key concept for a space of the other (l’autre) that is neither here nor there, a physical yet also mental site or space imbued with multiple layers of meanings and relations to other spaces, as well as a geographical concept that describes places and sites which function in non-hierarchical configurations. Foucault adopts the mirror as a conceptual metaphor for existence and non-existence, reality and virtual reality, duality and irony of utopian projects. As images reflected in the mirror do not exist in reality, the mirror can be a perfect metaphor for the Utopia. It is also a perfect heterotopia because it actually exists as a physical object through which we can be related to the image of ourselves. As an example of heterotopia, Foucault mentions the botanical garden in which all sorts of plants of the world are brought together in juxtapositions of different spaces. Airan Kang’s interest in heterotopia stemmed from her perceiving of a book as another heterotopian microcosmic space that is similar to a botanical garden – in books, all kinds of knowledge and stories imaginable and conceivable by humankind are collected. The dual structure frequently employed in her work is reminiscent of the mirror image that Foucault suggested as a perfect metaphor for utopia/heterotopia. We may also say that the duality of a digital book both as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a luminary emanating immaterial light could be another metaphor for the mirror.
Airan Kang’s exhibition at the Digital Library Gallery annexed to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recapitulates the digital book projects created by the artist to date: the three series of Lighting Books; The Sublime; and Luminous Poem are interrelated yet also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in their respective structure according to mode of communication and perceptual processes. The 23-meter long gallery space is divided into three separate sections. The exhibition begins with the Lighting Books installation with three life-sized bookshelves arranged in zigzags. The second installation, The Sublime, the central and the longest part of the exhibition, is composed of four sections separated by three pillars that are operated by navigational indicators and sensors induc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e Luminous Poem, placed at the last part of the exhibition, is a video installation in which texts from the poems deliberately selected by the artist are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a large-sized book cover.
In the first installation, the bookshelves are filled with 192 digital “lighting books” about art, architecture and literature. These books are not actual books but a sort of simulacra made of transparent boxes, book covers and LED light glowing from inside. These imaginary books are tangible objects yet also a matrix of immaterial spaces turned into vivid colors and lights. Familiar book titles and names of authors occasionally shining through from the installation surround or hover around the space leaving traces in the audience’s memory as the shadow/illusion of the real. This seems to suggest that the book, the representation of human knowledge, can also be an object that reminds us of the “Vanitas,” the realization of the transience of human desire toward such knowledge. Or it resonates with a heterotopic space while the reality of such desire and the transience of the reality are interfused. On the other hand, these luminous books transformed into vibrating colors and lights expand the horizon of the audience/reader’s perceptual experience by adding the aspect of dynamic and transcendental sublimation to the traditionally neutral nature of the book.
The most crucial part of this exhibition is a video installation projected onto the gallery floor operated by navigational indicators. In this interactive video installation,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is essential as a video projection is initiated by sensors installed both on the floor and in the luminous digital books, a unique invention of the artist. The seven books in this installation are about artists who explored the concept of the Sublime through landscape, natural phenomena or light: Caspar David Friedrich, a 19th-century German Romantic landscape painter; J.M.W. Turner, an English landscape painter; Mark Rothko, a 20th-century American painter; Barnett Newman; James Turrell; Dan Flavin; and Walter De Maria. The audience can choose a luminous book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as the movement of entering the space is detected by the sensors, texts and images about the Sublime are projected on the floor for the audience to see/read the content of the book. As the projected images stimulate not only the vision but also the aural and tactile senses, the audience becomes totally immersed in the projection. When no book is projected due to the absence of the audience, texts on the Sublime quoted from Kant are projected. The last installation entitled Luminous Poem is another interactive video installation that presents ten books of poetry. When a viewer chooses a book and places it on a shelf, moving texts are projected on the surface of the book accompanied by the sound of reciting the poem. These poems selected by the artist are romantic poems that praise light, beauty and dreams: “Light” by John Milton; “Ode to Beauty” by Ralph Waldo Emerson; “One Touch” by Karen Thompson; “A Dream Within a Dream” by Edgar Allan Poe; “Sonnet XVIII” by William Shakespeare; “Ode to Autumn” by John Keats; and “She Walks in Beauty” by Lord Byron.
Airan Kang’s digital book projects embracing diverse methods and perceptual processes are based in the artist’s belief that a book is not just a mundane object but a three-dimensional digital object that is both material and immaterial intersecting time and space in which life experiences, knowledge and stories from a wide variety of people around the world are accumulated layer by layer, and thus can be used as a sign and metaphor for the space of heterotopia/utopia in Foucault’s sense of the terms. The society and life of contemporary people liv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 are appealed to by theuser-friendly interactive communication methods and interfaces generating synesthetic perceptual experiences. Airan Kang adopts this system in her work in order to communicate her artistic interests and subjects to the audience.
강애란의 유토피아 프로젝트 sublime or sublimation, 2012
송미숙
중견작가 강애란은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책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책에 대한 관심을 일견하면 모더니즘 이래 미술가들이 관심을 가져왔던 미술가의 책 Artist's book, 즉 자신만의 고유한 책을 만들어내는 데 있지 않고 기존의 책들이 어떻게 21세기 디지털 세상에서 소비되며 소통될 수 있는가, 그리고 그 틈새에서 미술가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있는 것 같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은 서가에 꽂힌 책의 커버에, 그 커버의 색깔, 배치, 문양, 혹은 타이틀과 이름들이 표상하는 상징적인 위력에 주목하며 일단 책이 선별이 되면 다음 단계에서는 책이 전달하는 의미와 내용에 역점을 둔다. 여기서 책은 단순히 문자의 배열이나 내용의 전달뿐 아니라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읽혀지고 소통되는가도 중요하다. 최근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모든 것이 편해지는 세상에서 이제 책장을 넘기는 손목의 수고나 노동조차도 필요 없어지고 터치로 e-book은 작동되며 그도 귀찮으면 기계/컴퓨터가 책을 읽어주기도 한다. 그뿐 아니라 책의 텍스트와 서사가 시각 이미지로 이미지화 되어 읽는 소리/음향과 함께 지각작용을 배가시켜 자극하기도 한다. 강애란은 바로 이러한 책과 사용자의 나날이 공감각적으로 일체화 돼가는 소통관계에 주목한다. 다시 말해 작가는 개개의 책이 담고 있는 서술이나 내용보다는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빌어 간섭하여 어떻게 책이라는 ‘추상적인’ 오브제가 독자/사용자의 인체기관에 의해 감각적으로 인지되는가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때에 전기로 작동되는 빛은 인지과정에 생명과 움직임의 리듬을 주는 도구로서, 또 때로는 그 자체가 주체로서 기용된다. 배경으로 깔리는 음향, 텍스트를 읽는 소리들은 또다른 감각적 효과를 낳는다. 따라서 그의 디지털 책 프로젝트에서 책 자체는 커버 안에서 색채와 빛을 발하는 하나의 발광체로 제작된 감각적인 매트릭스로서 혹은 해체된 영상문자와 이미지로서 독자/관객의 시각뿐 아니라 청각과 촉각적 인지를 유도한다.
책이 빛을 내는 오브제로서, 디지털화된 과정을 본뜬 중요한 매개체로서 인식한 강애란은 광범한 주제나 소재를 다루고 있는 책들의 모습 simulacra에서 또 다른 국면을 발견한 듯 싶다. 그것은 책이라는 인류의 가장 보편적인 지식소통의 매체가 푸코가 말하는 헤테로토피아 heteretopia 적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헤테로토피아는 hetero/other 와 유토피아 utopia의 합성어로서 다름 아닌 유토피아의 물질적인 표상이며 근사치이다. 푸코에 의하면 헤테로토피아는 비-위계적인 상황에서 기능하는 장소와 공간들을 묘사하는 일종의 인간 지리학의 개념이자 푸코의 중추개념인 타/다름 l'autre 의 공간들로 여기도 저기도 아닌, 그러나 물질적이며 동시에 정신적인 장소나 공간으로서 여러 겹의 의미(multiple layers of meaning)와 다른 장소들과의 관계를 가진 공간이다. 푸코는 유토피아 프로젝트들의 실재와 비실재성, 현실과 가상현실, 그 이중성과 모순의 메타포로서 거울의 개념을 사용한다. 거울에서 보는 이미지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거울은 완벽한 유토피아의 메타포이며 또한 거울은 우리가 우리자신의 이미지에 관계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실재 오브제이기 때문에 완벽한 헤테로토피아이기도 하다. 푸코는 헤테로토피아의 예증으로서 여러 공간들을 병치시키며 세상 곳곳의 갖가지 상이한 식물들을 모아놓고 전시하는 식물원을 들고 있다. 물론 강애란의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관심은 이러한 인간이 생각하고 상상해 낼 수 있는 갖가지 상이한 내용들을 담은 책을 식물원과 유사한 또 하나의 헤테로피아적 소우주 microcosm 공간으로서 구상한 데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강애란이 빈번히 기용하고 있는 안과 밖의 이중구조 공간은 푸코가 유토피아/헤테로토피아의 완벽한 메타포로 제시한 거울 이미지에 다름아니다. 디지털 책의 이중성, 즉 하나의 3차원의 오브제이면서 비-물질인 빛을 내는 발광체라는 사실 또한 약간 비약이긴 하지만 거울의 또 다른 메타포일 수도 있지 않을까?
금번 국립중앙도서관의 부속공간인 디지털 도서관 갤러리 Digital Library Gallery의 전시는 디지털 도서관이라는 장소에 맞춰 강애란이 이제까지 보여주었던 디지털 책 프로젝트를 빛나는 책들 Lighting Books, 숭고 the Sublime, 빛나는 시 Luminous Poem라는 세 개의 서로 연관되지만 소통과 인지방식에 있어서는 다소 다른 구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일단 작가는 23m의 긴 갤러리공간을 세 구획으로 나누어 입구의 첫 부분은 지그재그로 배치한 실물크기의 3 개의 서가책장으로 구성되고 있는 Lighting Books, 두 번째의 가장 크고 긴 중심 바닥공간은 세 개의 기둥을 사이에 두고 4면으로 나누어 네비게이션 방식으로 운영, 작동되며 센서에 의해 인터랙티브한 소통을 유도해내고 있는 영상 설치로서 숭고 the Sublime의 개념을 주제로 하고 있으며, 끝으로 빛을 발하는 시 Luminous Poem는 전시장 말미에 가로질러 설치된 영상작업은 작가가 주의를 기울여 선별된 시(집)의 텍스트가 대형 책 표면에 전사되는 모습을 띠고 있다.
첫 번째로 관객이 접하게 되는 책장 설치 작업은 미술, 건축, 문학을 소재로 한 디지털 책 Lighting Book 192권이 책들이 서가를 메우고 있다. 이때에 책들은 진짜 책이 아니라 실제 책 크기와 커버의 투명한 오브제로 만든 것으로 내부에 LED 조명을 장착하며 빛을 발하도록 한 일종의 모조품 simulacre 이다. 이 가상의 책들은 삼차원의 오브제이면서 현란한 색채와 빛으로 전환된 비-물질 공간의 매트릭스이다. 간간이 새어나오는 낯익은 타이틀과 이름들은 책이 상징하며 표상하고 있는 실재의 그림자/환영으로서 서가의 주위공간을 메우며 혹은 부유하며 관객의 기억 속에 흔적을 남긴다. 마치 책이 인간의 지식의 표상이면서 동시에 기독교적인 의미에서 그러한 지식에 대한 인간의 욕망의 덧없음 vanitas을 환기시키고 있는 지물과도 같이. 아니면 그러한 욕망의 실재와 그 실재의 덧없음이 오버랩 되며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을 상기시키듯이 말이다. 그러나 한편 진동하는 색채와 광선으로 전환된 빛나는 책들은 전통적으로 중성적인 책의 성격에 또 다른 역동적이며 초자연적으로 승화된 표현 sublimation의 국면을 제시해 관객/독자의 지각인식의 지평을 확대하며 자극한다.
이번 전시의 가장 핵심을 이루는 부분은 전시장 바닥에 투사되는 영상으로 네비게이션 방식으로 인지되는 작업이다. 작가 특유의 발광하는 디지털 책과 바닥 공간에 동시에 설치된 센서가 작동해 투사되는 인터랙티브한 영상작업으로서 여기서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는 감상의 필수조건이다. 작가는 총 7권의 책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들은 전부가 풍경이나 자연현상, 혹은 빛을 통해 다다를 수도, 범할 수도 없는 인간의 영역 밖의 초자연의 세계를 환기시켜 숭고 the Sublime 의 개념을 주제로 작업했다고 평가된 미술가들, 19세기 독일의 낭만주의 풍경화가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 영국의 풍경화가 윌리엄 터너, 20세기 미국 작가 마크 로스코, 바넷 뉴먼, 제임스 터렐, 댄 플래빈과 월터 드 마리아에 관한 책들이다. 관객은 인터페이스로서 이 스스로 빛을 내는 책을 선택해 설정된 바닥공간에 발을 들여 놓는 순간 그 즉시 센서가 작동하여 숭고에 관한 텍스트와 이미지 영상을 보게/읽게 되며 책의 내용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투사된 영상은 관객의 시각뿐 아니라 촉각과 청각은 물론 신체를 자극하여 영상과 관객은 혼연일체가 되어 서로에 빠져들게 된다. 책이 없을 경우, 다시 말해 관객이 없을 경우에는 숭고에 관한 칸트의 텍스트가 영상으로 소개된다. 마지막으로 빛나는 시 Luminous Poem 란 소주제로 명명된 부분 또한 인터랙티브한 영상작업으로 10권의 디지털 시집이 제공되며 이 중 한 권을 제공된 선반위에 놓으면 그 시를 읽어 주는 소리와 함께 움직이는 텍스트가 책 표면에 투사된다. 작가가 선별한 시집은 대체로 빛, 아름다움, 꿈을 구가하는 낭만적인 작품들로서 밀턴의 빛 Light, 에머슨 Emerson의 미에 대한 송시 Ode to Beauty, 카렌 톰슨의 터치 One Touch, 에드가 알란 포의 꿈속의 꿈 A Dream Within A Dream, 쉐익스피어의 소네트 18, 키츠의 가을에 부치는 송시 Ode to Autumn, 그리고 바이런 경의 미 She Walks in Beauty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과 지각인식을 포용하고 있는 강애란의 디지털 책 작업은 책이 단순히 하나의 범상한 물건이 아니라 공간과 시간을 함유하며 가로 지르는 3차원의 디지털 오브제로서 물질이면서 또한 비물질의 속성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지구촌의 각양 각층의 사람들의 삶의 경험과 지식, 이야기가 겹겹이 농축되어 쌓여있는, 그래서 푸코가 말하는 헤테로피아/유토피아 공간의 지표이자 메타포로 전용될 수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작가는 이러한 착상을 디지털 환경을 살고 있는 현대인의 사회와 그 삶을 지배하고 있는 이른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랙티브하며 동시에 공감각적인 지각인식을 유도하는 소통방식과 인터페이스를 빌어 그가 평소에 관심을 가져왔던 주제를 전달하는데 전념하고 있는 것이다.
San Lim
Book-Medium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to the visualization and auralization of letters, the future of the book became an urgent worldwide issue. This initiated a serious of discussions, as a result of which books are now no longer approached only in terms of their materiality but rather relate to more functional levels. The critical stage of the book seems to make a turnabout to the hope and expectation for the transformation and extension of them. Since dealing with letters is one of the proudest of man, the urge to renovate the format of the book—a bunch of written words— might be instinctive for human primate. The life-force of the human mind which can build its own system of ideas and open the way of evolution has endlessly developed the faculties of the book. It is only through being connected with the world of language that ideal elements can confirm their viability and establish their structure by linking to one another and proliferating. The results are things like philosophy or law. After obtaining the physical presence, the experience and diversity of the intangible and invisible mind become the symbol of culture. And undoubtedly, books are placed on the most important position of that mechanism of symbolization. Through the very mediation of books, dreams meet desires and imagination talks with technology. In this way, books have given life to ideas, selected by intelligence and sensitivity, and subject to dynamic and continuous evolution. This is why the book is the old medium of humans.
For Airan Kang, the symbolism of book is reinterpreted as expressive matter which makes a crack in the dominant paradigm of art. Her medium is, thus, a book. Through it, she proposes that you should think about the world with artistic practice of poetic potentiality. She invites the audience to walk between bookshelves on which ‘machine books’ are arranged in order and to experience the modes of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knowledge. And through such factors as the representation of resemblance, reproduction and printing technologies, and electric control, these light-emitting masses, the book-medium on the bookshelves, intervenes in the cycle of signification which is initiated by the audience’s voluntary perception. The letters and images glowing from these book-shaped transparent resin sculptures suggest books in reality. This machine book s draws a tense gaze from the viewers who are made to reflect upon the medium properties of what they are seeing. Passive observers become active participants. Then, the viewers’ gaze extends the self-reflective autonomy of the work into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t. Their movement is also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mirrors attached to the walls. It is more than a mere movement. Because your motion in the mirror room is constantly articulated with your own gaze, the book-medium and its surroundings come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ultimately, are melted together, as Don Quixote and Sancho gradually know each other not through adventures but through dialogs. In other words, there occur alterations and exchanges of gaze and consciousness. And at that very moment of articulation, the audience, who are unconsciously immersed in the collective display of the machines that assert their identity as books, consciously reinvestigate the spatial location of that machine, that is, ‘book-medium.’ Each book-medium on the shelves defers the moment of being completely ‘shown’ each time, thereby getting away from the status of the finished object in the classical sense. This medium reflective dynamics extricates her book-medium from passive visibility. Kang’s poetic project works as a double-sided strategic movement in this way.
Light-Book
Kang’s book-medium emits light. The viewers’ interpretation and signification of the book-medium are generated by the interplay of the following two axes: the one is their mind when they are exposed to its denotative surface and the other is the electronic structure behind it. These two react to each other through light. Their relation never leads to the reading activity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modality of her book-medium is only accompanied by a set of recognizable icons and these icons of light, used delicately, only encourage the viewers to make a cognitive leap. Such devices as book titles, authors’ names, and luminous images to assist them contribute to actualize the space of memories of reading. Mnemosyne, the god of memory in Greek mythology, is activated in the circuit of light and caught in the chain of meanings produced between the audience and book-medium. Nevertheless, on the other hand, the authoritative appearance of the book-medium, as is disclosed by light, shows a dash of the possibility of camouflage in which the souls of books are concealed or the clues of their beings are fictitiously rearranged. This is because their substantial structure is presented as a unit with distinctive denotative information, rather than linguistically represented as a manifestation of their content. Furthermore, for some reasons, light silently prohibits the viewers from touching them. About somewhere between denotation and suggestion, or disguised identity and concealment, light emphasizes the fact that a book is, in the end, no less than a medium that asserts its presence visually. Nevertheless, paradoxically, it is also the role of light that lets the words of books play in the multi-layered aspects between the textual and trans-textual objects. Consequently, light works here as a semiotic stratum to filter the complexity which arises in our imagination and has bigger amplitudes.
This is how light in Kang’s works experiments on the mediacy of the book-medium. Even though books grew out of transcription, the ultimate role of light in her works is to prevent them from depending only on the principle of material formation. Here, the source of light is mechanic. Machines give rhythms to light. The rhythms repeat and move. The rhythm of light in her works, however, does not lie in the dimension of time and scale. So it neither confines itself to providing the symbolic border between the natural world and the humanized world. Rather, the light which gives life those machine books humanizes untamed nature and transforms it an ‘instrument.’ In other words, it humanizes ‘raw’ materials. This rhythm of light, by nature, cannot have imagination but Kang breathes into it the ‘breath’ of life. The breath takes the form of graphism. By keeping the balance between visual and auditory languages, her graphism offers a new dimension to the historical stream of graphism. This means that her light-book does not aim to inspire only either the viewers or the imaginary reader. Lines and waves of light, every one of which is tactilely perceived by eyes, sensuously combine the beings of communication (i.e. viewers and book-medium). The book-medium as the object of pictorial perception is free in the rules of the beholder’s contemplation and its perspectives. So, the viewers feel both the value and change of the original form of the book and then accept the topology of book-medium as its substitute. This experience creates the situation in which the respective canons of painting and sculpture are changed in the environment dominated by light. Occasionally, light as the life of reveals the materials of the sculptural shape by penetrating these light-books in the process of artistic identification. This again brings about certain modifications in those canon-like rules. The viewers’ responsive understanding is based upon the rhetoric power exerted by the flat printed letters, wriggling with the book-medium, a piece of sculpture designed as a virtual image. The pictorial background and sculptural representation anticipate the properties of the item called book. Light presents the logic of assertion, “it is about something,” as a proposition which will be incorporated in making the book-medium as art. Thus, Kang’s book-medium sometimes establishes itself as a part of the whole, and other times, travels throughout all of the fields in relation with light by being a whole in itself. In fact, this strategy keeps away from both the exaltation of artistic mystery through fortification of the inviolable aesthetic space and the special emphasis on the so-called rule of exclusion in the canon. Of course, it is possible that since the primary medium of the great cultural ideals transferred to a book a printed text, the inventory of those ideals could express an exclusive sentiment fostered by the notion of ‘mater.’ But the viewers’ textual imagination and independent interpretation of signs, and in particular, the modification in the conventional patterns of painting/sculpture undermine the clear hierarchy in the territory of masters.
This mise-en-scène of light peculiar to Kang persuaded me approach the problem of light in terms of poetics, rather than speculative aesthetic vision. This requires a close investigation of what the system of poetics and that of Kang’s book-light-medium have in common regarding the problem. Poetics is a system of literary composition which began with Aristotle. Today, it is performed on the level of analysis and judgment of the techniques and styles in creating works or art. Or it designate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author’s intention before creation. So when poetics becomes a language of criticism, it passes through the more practical and more ‘inquiring’ realms which include the processes of creation, display, and appreciation of works, rather than perceptual responses between the relatums leading to the completion of works. Between the concepts such as the virtual, the sublime, and the space of heterotopias which Kang has dealt with since her project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1999, the reflective activity to be aware of (both present and past) ages and think back about yourself (as a human being) has been realized as a systemic form of book-light-medium. The reason I call this period ‘poetic’ is because of the critical interest in that ‘time’ which has been accompanied by the mechanization of expressive matters and the movement of contemporary thoughts. Sometimes, the self-reflection of an age guided by the symbolic thing called book is like to recollect the course which the age has passed, following the language of the author. Here, light can exist as its own entity, say, as light, by shining on another self activated in the book-medium. Therefore, the light in Kang’s works, which investigate and conceptualize the meeting between aesthetic concepts and matters, becomes the subjective medium for active poetic activities, free of external causes.
The Introspection of Paradox
In her ‘interactive book’ project, she converts the viewers’ body to a kind of letters. Though letters do not directly projected and inscribed on the surface of their skin, their body is reflected on the mirror-like wall and thereby becomes a page of a book. Undoubtedly, letters are a prominent technology for representation. The human history is a collection of their avarice and influences. But the human body in this case, which is made into the object of reading by being given the properties of letters, is also the space of image which never easily compromises with any forms of referential relation. In the process in which these multiple and variable qualities are added to an agent which moves in a specific space, what serves as the prime source of power is also the book-medium. At the entrance of the room, the viewers select one of the ten books provided by the artist. This act of choosing an information material unfolds the immaterial complexity of digital linguistic signs. The books of the authors such as William Shakespeare, John Milton, Edgar Allan Poe, etc has already passed through the process of digitalization. Their words are stored in a database, remembered in the interactive program, and uttered in random order programmed by a computer. Even in this moment, the book-medium still retains the representation of its material form. Its external appearance corresponds to the reality effect created by the huge life-size lenticular space and mirrors. However, it does not represent the original way in which human beings approach a book itself as a object. It seems to lead us to the world of non-communication at first glance, but soon makes us to learn the order of the technology inside. At this point, I am reminded of the phrases in Hear the Wind Sing,Haruki Murakami’s first novel: “the task of writing consists primarily in recognizing the distance between oneself and the things around one. It is not sensitivity one needs, but a yardstick.” It seems to me that Kang, the artist dedicated to recogniz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gnitive subject and the world, needs a ‘yardstick,’ too. Through the hand of an artist who gives a visual forms to both disconnected communication and fictional cognition and inquires about the solution, the sentences in the past tense (of books) are rewritten ‘here and now’ by being projected as images, or converted to voice. The medium to prove this alibi of recovering is light.
These interactive books make you consider one aspect of the cognitive crisis and anthropological secession which are brought about when you enter upon the mechanic work of art. If by any chance, you catch the possibility of the hegemony of an objective discourse system in the arrangement of book-medium and its collective emitting of light, you feel all the more anxious over the tension given off by light. Or, due to the digitalization of communication and procedural synchronization, you might as well anticipate the failure in connecting to the world even before walking into the cube of the huge book. This psychological situation is not because of the suspicion about the technology found in everyday life, but because of the result of a lack of internalizing the contemporary self-assurance about machinery as part of the self-esteem as a subject of mutual communication. Consequently, the complementary transition between the viewers and book-medium, that is, kinetic mobility, which is proposed by the artist, draws a line around the viewers’ perception and requires a level of digital poetics which is not tied down to the linguistic procedure promised between man and computing devices. Even though it is language that constitutes man as a subject, when language, or more exactly, the language of ‘mine’ is not communicated and that of ‘that’ world is not understood by me, language also makes us realize the limitation of the subject and abandon the constructive hop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ang’s logic of light would be to use the mental schema which represents the fundamental commitment to conceptual diversity, in a more extensive way, rather than to deny the antagonistic relation with machinery as the thought of the communication subordinate to the prearranged flow of technology. Thus, the blended mode of book-light-medium, summoned by the viewers, should be regarded as more than the realization of synesthetic aesthetics, the aesthetic cliché of this age. Kang’s poetic attitude of the book-medium and introspection of mise-en- scène of light deserve much attention today. The former not only metaphorically utters the artistic paradigm, though being put under the rules of selection and arrangement, but also seriously accepts the piety of the past age, and the latter does not miss the contradictory phenomena of such conquests and communications. By joining in the feast of book-light-medium which takes place in the detour paved by Kang in light, we will be able to cultivate an insight into the world, as well as reconfirm the ‘reality’ of technology, the background of the familiar feeling at the tail end of sensation.
빛의 미장센, 강애란의 시학적 논법에 대한 단상, 2011
임산
책-미디움
문자의 시/청각화에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동원되면서부터 책의 미래가 인류에 긴급한 주제로 다루어졌던 때가 있었다. 그러한 논의를 거쳐 책은 하나의 사물(事物)로서의 정의에 국한되지 않고 더욱 기능적인 조망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 책의 위기 국면은 책의 변신과 확장에 대한 기대와 희망으로 전환되고 있는 듯하다. 문자를 다루는 것은 인간이 가진 가장 자랑찬 기술 가운데 하나이니, 활자를 지니고 있는 책의 갱신은 어찌 보면 영장류 인간의 본능이다. 스스로의 관념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진화의 길을 여는 인간 정신의 생명은 책의 능력을 끊임없이 개발한다. 즉, 관념의 요소들은 언어의 세계와 연결됨으로써 살아있음을 확인하고, 그 존재의 체계를 서로 간의 연계와 증식 작용을 통해 구축한다. 철학이나 법 같은 것들이 그 결과이다. 손에 잡히지 않고 눈에 보이지 않는 그 정신의 경험과 다양성은 물리적 현존을 거쳐 문화 진화의 상징이 된다. 의심할 바 없이, 책은 바로 그 상징화 메커니즘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서 있다. 책에 의해 꿈이 욕망을 만나고, 책에 의해 상상과 테크놀로지가 대화한다. 그렇게 관념에 생명을 부여하는 책은 지성과 감성에 의해 선별되어 역동적이고 연속적인 진화의 주인공이 되어 간다. 그래서 책은 인류의 오래된 미디움(medium)이다.
강애란에게 책의 상징성은 예술의 지배적 패러다임에 틈을 내는 표현적 질료로서 재해석된다. 그래서 그녀의 미디움은 책이다. 그녀는 책을 통해서, 시학의 잠재력을 지닌 예술적 실천으로 세계를 사유할 것을 제안한다. 가지런하게 '기계 책'이 놓여있는 책장 사이를 거니는 관객은 지식의 생산과 그것의 표현 양태를 체험한다. 닮음의 표상, 복제와 프린팅 테크놀로지, 그리고 전기적 제어 절차 등으로 인하여 발광체 덩어리인 책-미디움은 관객의 의지적 지각이 일으킨 의미작용의 순환에 개입한다. 합성수지 아크릴 책에 스민 빛나는 활자들과 이미지는 현실의 책을 암시한다. 그 기계 책은 매체적 반성을 유도함으로써 관객으로부터 긴장의 응시를 끌어낸다. 수동적 관찰자는 능동적 참여자가 된다. 이때 관객의 시선은 작품 자체의 자기 반성적 자율성을 작품 바깥 환경으로까지 확대한다. 관객의 움직임은 벽을 채우고 있는 거울의 의도와도 관계를 맺는다. 그래서 그것은 단순한 운동 그 이상이다. 거울 방 안에서의 움직임은 곧 움직임 주체의 시선과 접합하므로, 책-미디움과 그것의 주변은, 마치 『돈키호테』의 기사와 산초가 모험이 아닌 대화를 거쳐 서로를 정확하게 알아가듯이 그렇게 서로를 간섭하면서 융화한다. 즉, 시선과 의식의 개정과 교환이 일어난다. 스스로의 정체성을 책이라 외시하는 기계들의 집단적 디스플레이에 무의식적으로 몰두하는 관객은 그러한 시선 접합의 순간에 그 기계, 즉 '책-미디움'의 공간적 위치를 의식적으로 다시 탐구한다. 책장의 책-미디움 한 권 한 권은 완결적인 '보여짐'의 조건을 매순간 연기(延期)하여 고전적인 완결된 오브제의 위상에서 벗어난다. 이러한 매체 반성적인 역학은 책-미디움을 피동적 가시성에서 이탈시킨다. 강애란의 시학적 프로젝트는 이렇게 양면적 전략 운동으로서가동한다.
빛-책
강애란의 책-미디움에서는 빛이 난다. 책-미디움에 대한 관객의 해석과 의미는 두 개의 축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생성된다. 한 축은 관객이 그것의 지시적 표면을 접할 때의 정신이며, 다른 한 축은 그 표면 배후에 소재하는 전자적 구조이다. 이 두 축은 빛을 통해서 서로 반응한다. 둘의 관계는 전통적인 독서 행위로 이어지지 않는다. 그녀의 책-미디움이 보이는 양태성은 인지 가능한 아이콘들의 집합을 수반할 뿐이고, 그 빛의 아이콘들은 정교하게 사용되어 관객의 인지적 도약을 장려할 뿐이다. 책의 제목과 저자의 이름, 그리고 이 둘을 보조하는 이미지의 발광은 관객에게 독서에 의한 기억의 공간을 현동화(actualisation)한다. 기억의 신 므네모시네(Mnemosyne)는 빛의 회로에서 활성화되며, 관객과 책-미디움 사이에서 벌어지는 의미의 연쇄에 포획된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빛이 드러내는 책-미디움의 권위적 외관에서는 책의 영혼을 감추거나 그 존재들의 단서를 가상적으로 재배열하는, 위장의 가능성도 엿보인다. 책의 실질적 체계가 그내용의 현시로 언술되기 보다는, 도드라진 외연적 정보로 단위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왠지 모르게, 빛은 관객들이 직접 책을 만지는 것을 말없이 규제한다. 이렇게 강애란의 빛은 지시와 암시 사이, 혹은 위장된 정체와 은폐 사이 어디 즈음에서, 책이란 결국 시각적으로 그 존재를 과시하는 하나의 미디움이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 같다. 그런가하면, 이에 역설적으로, 텍스트적 대상과 텍스트-초월적 대상 사이의 중층적인 양상들 속에서 책의 언어가 유희할 수 있게 하는 것 또한 빛의 몫이다. 즉, 그 빛은 우리의 상상 속에 펼쳐진 더 큰 진폭의 복잡성을 필터링하는 하나의 기호적 층위로서 기능한다.
강애란의 빛은 그렇게 책-미디움의 매개성을 실험한다. 본래 필사(筆寫)에서부터 성장한 것이 책이라지만, 그녀의 빛의 역할은 궁극적으로 활자-미디움의 물질적 구성 논리에만 의지하지 않도록 책을 설정하는 것이다. 그 빛의 근원은 기계이다. 기계는 빛에 리듬을 부여한다. 그 리듬은 반복되고 운동한다. 그런데 강애란의 빛의 리듬은 시간과 척도의 차원에 있지 않다. 그래서 자연의 세계와 인간화된 세계사이의 상징적 경계 생성에 머물지 않는다. 기계 책에 생명을 부여하는 빛은 오히려 길들여지지 않은 자연을 인간화하여 하나의 '도구'로 변형시킨다. 즉 '날것'의 재료를 인간화한다. 그러한 빛의 리듬은 본래 상상력을 갖지 못하지만, 강애란은 거기에 생명체의 원동력으로서의 '숨'을 부여한다. 그 숨은 그래피즘의 형식을 취한다. 시각적 언어와 청각적 언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음으로써 그녀의 그래피즘은 그래피즘의 역사적 흐름에 새로운 차원을 제시한다. 즉, 빛-책을 주변의 관객과 가상의 저자 어느 한쪽만의 배타적 영감(靈感)의 발현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관객의 눈으로 촘촘하게 촉지(觸知)되는 빛의 선과 파장은 상호 소통의 존재들(관객과 책-미디움)을 감각적으로 결합시킨다. 회화적 인식 대상으로서의 책-미디움은 관객의 관조와 그것의 시점에 관한 규약에서 자유롭다. 관객은 오리지널 책의 가치와 변환을 느끼고 그것의 대체물로서의 책-미디움의 위상을 수용한다. 이러한 체험은 빛이 지배하는 환경에서 회화와 조각 각각의 전통적 정전(canon)이 변용되는 상황을 연출한다. 회화의 생명으로서의 빛은 예술적 동일시의 과정에서 책에 침투하여 그 조각적 형상의 재료를 드러내기도 한다. 그러면서 정전적 규범은 다시 전열을 정비한다. 관객의 반응적 이해는 평면적인 활자들이 행하는 수사적 힘에 준거하며, 가상 이미지로 고안된 하나의 조각품인 책-미디움과 더불어 꿈틀거린다. 회화적 배경과 조각적 표상의 진술은 책이라는 품목의 속성을 예견하게 해준다. 빛은 '그것은 무엇에 관한 것이다'라는 단정의 논리를 책-미디움의 예술화에 반영될 명제로 삼게 한다. 따라서 강애란의 책-미디움은 전체의 일부로 자리하기도 하고, 또한 하나의 전체가 되어 모든 빛과의 관계적 장(場)을 주파하기도 한다. 사실상 이러한 전략은 누구도 넘볼 수 없는 미적 공간을 요새화하여 예술의 신비함을 고양시킨다거나, 정전의 이른바 배제의 규칙을 노골적으로 부각하는 등의 방식하고는 다르다. 물론 책으로 치환된 위대한 문화적 이상형의 일차적 미디움이 활자 텍스트여서 그 이상형들의 목록이 '거장' 개념의 배타적 정서를 표명할 수는 있으나, 곧 관객의 텍스트적 상상과 자율적인 기호 해석, 그리고 무엇보다도 회화/조각의 인습적 패턴에 대한 변용으로 인해 그들 거장들의 영토의 그 선명한 위계성은 약화된다.
이러한 강애란 특유의 빛의 미장센으로 인해 더욱, 나는 사변적인 미학적 비전보다는 시학의 관점에서 이 빛의 문제를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다. 그렇게 하려면 우선, 그 문제의 지평을 두고, 시학이라는 체계와 강애란의 책-빛-미디움의 체계가 서로 공유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야 한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작된 문학 작법의 한 체계이다. 오늘날 그것은 예술 작품을 창작할 때, 기법과 양식에 대한 분석과 판단의 차원에서 행해진다. 혹은 창작 전에 창작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과정을 이르기도 한다. 그래서 시학이 비평의 언어가될 때, 그것은 작품의 완성으로 결과하는 관계항들 사이의 지각적 반응보다는, 작품의 창작과 전시와 감상의 과정들을 포괄하는 더욱 실천적이고 '연구적인' 영역들을 경유한다. 1999년의 '실제와 가상 프로젝트' 이후 지금까지 강애란이 보여 주려했던 가상성, 숭고, 헤테로토피아 공간성 등의 개념들 사이사이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시대를 의식하고 (인간) 자신을 돌이켜 생각하는 반성적 행위가 체계적인 책-빛-미디움의 형태로 실현되어 왔다. 내가 그런 시간을 '시학적'이라 칭하는 이유는, 표현 질료들의 기계화와 동시대적 사유의 운동을 동반하는 그 '시간'에 대한 비평적 관심 때문이다. 때로 책이라는 상징적 사물이 안내하는 시대의 자기-반성은 곧, 그 시대가 지나온 길을 저자의 언어를 따라 회상하는 것과 같다. 이때 빛은 책-미디움에서 활성화된 (또 하나의) 스스로를 비춤으로써 스스로의 존재, 즉 빛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미학적인 개념과 질료 사이의 만남을 탐구하여 개념화하는 작업에서 강애란의 빛은, 타자적 원인이 아닌, 능동적인 시학적 활동의 주체적 미디움이 된다.
역설의 내성(內省)
강애란은 '인터랙티브 북' 작품에서 관객의 몸을 활자로 구성한다. 활자들의 빛이 몸 표면에 직접 투사되어 기입되지는 않지만, 거울에 반사된 고르지 않은 관객의 몸은 책의 페이지가 된다. 의심할 바 없이, 활자는 재현의 우월적 테크놀로지다. 인류 역사는 그것의 탐욕과 영향력을 모아 놓았다. 활자적 성격을 갖춘 읽기의 대상으로서의 몸은 하지만 어떠한 지시체적 연관과도 쉽게 합의하지 않는 이미지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런 중첩적이고 가변적인 성질이 특정 공간 내 운동 주체에게 부여되는 일련의 프로세스에서, 핵심 동력은 역시 책-미디움이다. 관객은 큐브의 입구 앞에서 그녀가 권하는 기계 책 열 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그 정보 물질의 선택 행위는 디지털 기호 언어의 비물질적 복합성을 전개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존 밀턴, 에드가 앨런 포우 등의 책은 이미 디지털화 과정을 거쳤다. 그들의 언어는 데이터베이스 되어 있고, 인터랙티브 프로그램에 기억되어 있고, 그리고 랜덤한 선택 순서에 의존해 발화한다. 이때도 책-미디움은 물질적 형태의 표상성을 유지한다. 그 외형은 커다란 등신(等身)의 렌티큘러 공간과 거울이 시도하는 현실 효과에 부응한다. 하지만 책이라는 사물 자체에 대한 인간의 본래적인 접근 방식을 재현하지는 않는다. 언뜻 우리를 소통 불가의 세계로 이끄는 것 같으나, 이내 내부의 테크놀로지 질서를 익히게 한다. 여기서 나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처녀작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의 한 부분을 떠올린다. "문장을 쓴다는 작업은 곧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사물과의 거리를 확인하는 것이다. 필요한 것은 감성이 아니라 자[尺]이다." 인식 주체와 세상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려는 강애란도 '자'를 필요로 했던 것은 아닐까? 소통의 단절과 허구적 인식의 문제를 동시에 조형화하여 그 해결책을 조회하는 한 미술가에 의해서 과거 시제의 (책의) 문장들은 이미지로 투사되어, 혹은 목소리로 변이되어 '지금 여기에' 다시 씌어진다. 이 회복의 알리바이를 증명하는 미디움은 빛이다.
인터랙티브 북 작품은 기계적 예술작품 속에 몸을 내맡기게 됨으로써 느끼게 되는 인식론적 위기와 인간학적 단절의 일각을 성찰하게 한다. 혹시라도, 이미 책-미디움의 배치와 그것의 집단적 빛의 방사에서 객관적 담론 체계의 지배성을 상기한 관객이라면, 더더욱 빛이 뿜어내는 장력에 형체 없는 불안감을 느끼게 될지 모른다. 이를테면, 소통의 디지털화와 절차상의 동기화 때문에, 커다란 책의 큐브 내로 이동하기 전에 세상과의 교접의 실패를 먼저 예상할 수도 있다. 이런 심리적 상황은 이미 일상화된 테크놀로지에 대한 의심에서 비롯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에 대한 당대적 자신감을 상호적 소통의 한 주체로서의 '나'의 존재감으로 승화시키지 못한 데서 오는 결여의 결과다. 결국, 강애란이 제안한 관객과 책-미디움의 상보적 이동 행위, 즉 키네틱 이동성은 관객의 지각 둘레에 선을 긋고, 인간과 컴퓨팅 장치 사이에 약속된 언어적 절차에 얽매이지 않는 디지털 시학의 차원을 요구한다. 인간을 주체로 구성시켜주는 것이 언어일지라도, 그 언어가, 즉 '나'의 언어가 소통되지 않고 '저' 세계의 언어가 파악되지 않을 때 언어는 곧 주체의 한계를 깨닫게 하고, 세계와의 관계에서 생산적 희망을 버리게 한다. 테크놀로지의 예정된 흐름에 종속되는 소통의 사유로서 기계와의 길항관계를 부정하기보다는, 가능한 개념적 다양성에 대한 근본적 위탁을 표상하는 정신적 스키마를 더 광범위하게 사용해 보는 것, 그것이 강애란의 빛의 논법에 합류하는 반성적 이해의 모습일 것이다. 따라서 관객에 의해 호출된 책-빛-미디움의 융합적 양상은 공감각적 미학의 구현이라는 이 시대의 미학적 클리세로 표현되는 데 그쳐서는 안 될 것 같다. 선택과 배열의 규칙을 배당받으면서도 예술적 패러다임을 은유적으로 발언하는, 그리고 지난 시대의 경건함을 진지하게 받아들인 책-미디엄의 시학적 태도, 그리고 그런 모순적인 극복과 소통의 현상들을 놓치지 않는 빛의 미장센의 내성은 오늘날 다시 주목받을 만하다. 그렇다면, 강애란이 빛으로 튼 그 우회적인 에움길에서 만나는 책-빛-미디움의 향연을 통해 우리는 세상 보는 안목을 찬찬히 챙길 수 있으며, 감각의 끄트머리에 있는 익숙한 정서의 배경이라 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의 '현실성'까지 거듭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Kim Hong-hee (Director of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 Art Critic)
1.
Kang Airan’s Digital Book Project reflects on the transformation of books and its significance since the advent of the electronic era. Books have been a fundamental source of knowledge and the most prominent medium throughout intellectual history. However, as today’s electronic media increasingly replaces print media, what might the fate of the book be ultimately? Would the twenty-first Century’s digital technology and informative power of media relegate books to museum showcases or endow them with a reorganization and a new order for the knowledge system? These concerns and expectations about the future of books is an important motivation in the evolution of Kang Airan’s artistic vision.
Before the electronic era that generated the concept of the “global village,” the book was the most powerful medium for communication worldwide. The invention of movable type that enabled the accurate and rapid mass production of texts accelerated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the democratization of knowledge. The change in human consciousness has brought about the so-called “Gutenberg Man,” and history has stepped into the era of modernism based on rationalism and enlightenment. The printing press, along with its contemporary invention of perspective and vanishing point, was esteemed as the greatest technology underpinning the modernist visual culture, but has become the last technology that heralded the advent of the tactual culture of the electronic era. We are now facing the postmodern synesthetic era where the modernist paradigm of uniformity, homogeneity, repetitiveness, determinism and integration is replaced by diversity, heterogeneity, proliferation, fluidity and disintegration by means of electronic bits, digital data and multimedia technology.
Through the electronic media that require synesthetic response, the human subject redeems the diversity of senses that was once hindered by the dominance of printing culture, and experiences changes in the system of perception. This is what “expansion of the man” signifies, the concept Marshall McLuhan recognized as the message of the electronic media. Here arises the legitimacy of the multimedia book in the electronic age that appeals to multiple senses and requires physical perception. Kang Airan suggests the “virtual book” as a virtual multimedia book that is possible in the electronic era. Expanded through multimedia and expanding human consciousness in turn, this is an extended book that arouses intersubjective exchange between human and book. Observing the ontology of books in the digital era from a postmodernist sensibility and arriving to the concept of the “expansion of book” or “expanded book,” the artist’s “virtual book” and her Digital Book Project do not only reflect an expression of an individual vision but also raise questions pertinent to the time.
2.
Kang’s Digital Book Project stems from Reality and Virtual Reality Project that was produced and exhibited in 1999. Taking books as its subject matter, this project deals with the duality of reality and virtuality, actuality and representation, and also it deals with the epistemological confusion arising on the border between them. In these series, inkjet prints of photo images of bookshelves or bookstores are applied to the walls and real objects like desks and books are placed in front of them. Photo images printed on silver mylar as reflective as mirrors underscore the issues of the real object and the reflected image, presence and absence. While calling our attention to the fact that books and bookstores in her work are the things and spaces that exist as images and juxtaposing them to real books and desks, Kang evokes the oppositional logic betwee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his contrasting effect between the two-dimensional images and three-dimensional real objects is further highlighted through a contrast between the real books and virtual books laid together on the desk. It is the contrast between ordinary paper books and art books that are conceptualized, explored, and named by the artist as the “virtual book.”
The “virtual book,” the most critical element of Kang’s work, is an electronically luminescent book; EL (Electro Luminescence is an optical phenomenon in which a material emits light in response to an electric current passed through it) light is imbedded in hollow book form cast from transparent synthetic resin. In Kang Airan’s work the contrast between real books and images of non-existent bookstores is repeatedly emphasized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actual paper books and transparent virtual books emitting light. In the series Virtual Space in Strand – Philosophy and Virtual Space in Barnes & Noble – Medical Book, real books and her virtual books are installed next to each other with the background images of famous bookstores filled with books. I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 II, as if visualizing the concept of the extension of book, she placed the virtual books with EL light on the real shelves which she added to the background photo image of her own bookshelves.
In Reality and Virtual Image (Contradiction I, II), her virtual books are put together with real books wrapped in cloth or tied with string and installed against printed images of books scattered on the floor or piles of books tied with string. In the same context, Knowledge in Idle Box displays the contrast between images of desk drawers and real drawers containing the virtual books. In her 1999’s installation The Grave of the Books, After 500 Years at the Icheon Factory Art Festival, luminescent virtual books were placed among dusty old books on the shelves in a food storage crowded with sacks and bags. The message that the light of knowledge will continue to live on even after five hundred years when the grave of the books will be found reflects the artist’s wish for the future of books, books as expanded medium.
3.
Kang Airan’s “virtual book” is a new species of books that have evolved from her previous works, mostly the book bottari (bundle) objects wrapped with Bojagi (wrapping cloth) cast from aluminium in most cases. As a book liberated from the wrapper, an electronic book that refuses to be confined in visual types appealing to multiple senses, and a weightless book dematerialized into light, the “virtual book” is aptly represent the extended book of the electronic age. Yet, as Kang takes the conventional shape of paper books as the model for her “virtual book,” her work lays emphasis on the continuity and expansion from the past rather than a break from it. Encompassing diverse genres of philosophy, literature, medical science, art history and fiction, Kang’s “virtual book” utilizes the covers of published books in their original design or in revised forms, and this depends upon the legibility of the covers. For this, she attaches inkjet-printed covers to transparent film prior to casting a book shape so that this book can be lit by EL light from inside.
As if visualizing the concept of continuity, she laid her virtual books on top of her previous book bundles cast in aluminium in her work The Heap of the Books. In Wrapped Knowledge series, the virtual books are connected to real paper books bound together in transparent silk cloth or by strings. In Wrapped Knowledge VI, wrapped in transparent silk cloth, the virtual books entitled “Art of This Century” and “Hide and Seek” were found. Adopting the existing art history book and a mystery novel in her ritualistic action of covering them with transparent cloth, Kang pays homage both to the print culture and the electronic culture.
Until 1997 Kang created book bottari, bundle wrapped with bojagi, made of aluminum or paper plaster casting. Bojagior bottari is usually understood as a psychological metaphor that stands for the act of hiding or concealing something precious in secrecy or packing to leave and be liberated from an oppressive environment. Especially, linked to femininity, it could also function as gendered fetish. However, Kang Airan’s bottari, from aluminum bottari before 1997 to silk bottari of later years, bears a social, cultural implication transcending personal experiences and female sensibility in that it contains books, not other objects. The book is a valuable medium that forms and conveys the history of culture and knowledge, however, it also has a negative side of inheriting the myth of rationalism or paradox of patriarchy. As if alleviating the historical pressure of paper books and printing culture, Kang suggests the “virtual book” that is dematerialized and disembodied with light as the core of her Digital Book Project.
1997’s Virtual Essence is a transitional piece that anticipated the development from heavy cast books to dematerialized transparent virtual books. This piece is composed of several light boxes displaying various photo images attached on the wall in grid shape. Multi-layered complex images that are transformed by Photoshop from negative images of book bottari and other objects, emerge layer by layer in transparency through the light boxes, conjuring up a kaleidoscopic visual effect. Through the process of dematerializing images with light and dismantling the rigidity and regularity of the grid,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mats of modernism, Kang has opened the path toward the birth of the “virtual book.”
4.
Following 1999’s Reality and Virtual Reality Project, since 2000 up to present, Kang Airan has shown Digital Book Project as the main body of her work at several galleries in Korea and abroad. Similar to her previous work series, this project displays the contrast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by juxtaposing images of famous bookshops around the world to real books. Yet, this series is distinguished from her previous works in that it shows the bookstore images by video projection in addition to photo prints and also employs an advanced technology to enhance the interactivity and functions as expanded books.
In the works shown at her 2001 solo exhibition Digital Book Project: Cyber Book City and other works like Virtual Space in Media Archive (2001), Virtual Space in Dia Beacon (2003) and Virtual Space in St. Marks Bookstore (2003), Kang used video projection along with photo prints. This combination amplifies the vividness of the scene that exists only as absent space and maximizes the illusionary effect of the so-called simulation. Evidently photography and video images are recordings of reality. However when moving images and still images are overlapped, and when video images are projected omnidirectionally onto the solid objects and protruding structures in the surrounding exhibition space, they transform and distort the reality into a pseudo-reality which exists only as media, in other words, into a simulacres.
Furthermore, the “virtual book” of this period was marked with technical advancement. Book shapes were cast with plastic instead of synthetic resin and EL light was replaced by LED (Light Emitting Diode. When the diode is forward biased, electrons are able to recombine with holes and energy is released in the form of light.) While EL light is based on an analogue light source and the color of light is monotonous and fades easily, LED based on the semiconductor diode can display diverse colors that can change continuously. In addition, the artist attached diffusing panels on the backside of plastic forms in order to spread the LED light all around the books. Now the “virtual book” constantly flickering with many colors has reached the status of high tech, which could be called the digital “virtual book” or the “expanded multimedia book.”
In 2003 this digital “virtual book” achieved interactivity. In an exhibition held at Keumsan Gallery, while bookstore images were shown through photo prints and video projection, four virtual books were displayed on a plastic desk. Appropriating already existing books – a Gerhard Richter monograph, a book of Jean Baudrillard lectures, Bruce Nauman by William Kendridge, and Historie du livre, Kang produced a work entitled The Virtual Books. As a viewer touches the side of a book, an imbedded sensor transmits the contents of the book onto the wall. As if turning the pages of a book, the act of touching the “virtual book” initiates the process of reading. The “virtual book” that was once limited to visual appeal is now developed into a new tactile digital book.
Another work Digital Book Project: The Singing Book shown at the same exhibition is also an interactive book. An ordinary looking paper book lying spread in a quiet space turns into a singing book as a viewer approaches. The movement of a viewer triggers a sensor on the ceiling to turn on a beamer to project an image of a chorus and lyrics onto the pages of the open book. In the Digital Book Project: Interactive Book exhibited at Insa Art Center in the same year, a camera recognizes the icons on each page of a book placed on a desk against the wall covered with printed images, and subsequently plays relevant 3D animations as a viewer turns over the pages. As the pages are turned over and new icons appear, different images – for example, geometrical shapes or a single channel video of the artist–are played.
5.
In 2009 Kang Airan exhibited a “ room for reading,” an installation constructed as a square structure, at ZKM, Karlsruhe and Gallery Simon, Seoul, as an attempt to extend the scope of her work from interactive books to interactive libraries. As materials for wall construction, panaflex (fabric materials for screen) and mirror (silver mirror inside and black mirror outside) were used for The Space of Book – The Sublime at ZKM and The Sublime – The Space of Heterotopia at Simon Gallery respectively.
As the titles suggest, these works took the “sublime” as its main theme. Kang chose five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 Caspar David Friedrich, Joseph William Turner, Mark Rothko, Barnett Newman and James Turrell – who are related to the aesthetics of the sublime, and created virtual books based on publications on these artists, and placed them outside the structure. As a viewer picks up one of them and enters the structure, a RFID sensor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a technology for identification and tracking using radio waves. Unlike Barcode using light f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sensed from a distance and even through other objects.) identifies the book and relevant texts and images are projected on the wall, and a 4UI Transonic Wave Sensor triggers the audio recording of the texts to be played. Whereas Kang’s interactive installations produced in 2003 were dependent on the touch of a viewer to initiate the reaction of the work part by part in analogue system, this work replays the content anew each time a viewer holds a book. Viewers can experience a new synesthetic reading with their whole body through texts, video images and sounds. As the audio visual materials are played simultaneously, a non-linear, indeterminate and derivative hyper-text effect is brought forth. This hyper-text information enables the viewers to experience interface, interactivity and intertextuality.
This multimedia library, where visual texts, images and sounds intermingle, functions as a “heterotopic” space that requires virtual navigation. In this indefinable heterotopic space where different perceptual elements are overlapping in various ways, the audience experiences a heterogeneous, complex and derivative chaos in stark contrast to the uniform, coherent and integrated “homotopia.” In the installation at Gallery Simon, this confusion of senses is strengthened by the effect of mirrors attached to the walls of the structure.
The nature of mirrors that reflect the surrounding space and objects destabilizes the common understat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presence and absence. As Kang’s Reality and Virtual Reality Projectexemplified, mirrors employed as material for art destroy the visual integrity of the work by generating the illusion that the exhibit space and the audience standing in it would penetrate into the work. As the audience’s viewpoint or position shifts, the effect of this phenomenon is augmented due to multiple reflections caused by the action. However, the moment when the spatial stability is broken by the contrast betwee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ctual objects and reflections, there arises a mutually dependent juxtaposition between the components redefining one’s perception of reality and real objects. This is the heterotopian effect of reflexive mirrors that establishes order in disorder and cosmos in chaos oscillating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the real and the fake, reality and simulacres, topia and utopia.
The heterotopia that induces dual, multiple sensations situating itself on the border is rendered by the artist as the aesthetics of the sublime. She compares heterotopia to the ultimate, transcendental state that human can never reach, to the indescribable overwhelming sensation that appeals both to huma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and to the fractured, disintegrated, fragmented consciousness and mentality caused by this sensation. The sublime that Friedrich, Turner, Rothko, Newman and Turrell pursued is represented in the multimedia heterotopic space of Kang’s work. In fact, the artist activates the interior of the structure as heterotopia not as homotopia through synesthetic hypertexts and reflective illusions, and thus achieves the sensation of the absolute, transcendental sublime. Now the square library is transformed from a simple physical, natural space to a space of self-experience that provokes a heterotopian sensation of the sublime.
Kang Airan’s heterotopia is undefinable, unpredictable, and ambiguous like the sublime that provokes the overwhelming and indescribable twofold sensation on the border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beauty and ugliness, the attractive and the grotesque. Resonant with the ever-changing parole spoken in reality rather than grammatical langue, and like a fluid city that is defined and redefined only through action and transition, Kang’sheterotopia is a live space where a present-tense performance is ever lasting. It is also an interactive space where the reading performance is executed by the collaboration between texts, images, sounds and audience. The message of Kang Airan’s room for reading does not lie only in the contents of the books about the sublime but also in the multimedia technology itself that enables one experience virtuality, interactivity, simulation, hypertext and heterotopia.
6.
The persistent theme of Kang Airan’s work from her early aluminium cast pieces to most recent multimedia installations is the book. Through this thematic coherence, her artistic approaches and attitudes have continuously altered and so has her choice of media. As Kang’s cast books were transformed into virtual books, the material for work is changed from thick and heavy metal to light and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nd plastic. Also, mirror-like mylar film was used for printing images. In an exhibition entitled One Life, Some Books at Clear Gallery, Tokyo in 1998, a glass bookshelf was built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space surrounded by glass windows. Kang covered all the walls with mirrors for In Between Utopia and Heterotopia exhibition at eN Arts Gallery, Kyoto in 2009, and constructed a reading room with mirror walls for the Gallery Simon exhibition.
Transparent materials like synthetic resin, plastic, glass and mirror are aesthetic media to convey the artist’s will for dematerialization. “Digital book” and “virtual book,” the keywords in Kang’s work, can be conceptually and formally visualized through the dematerializing process of debilitating the materiality of media and furthermore realized by exploring new material and employing new technology. For print works, she used inkjet printing on mylar film or metal plate, however, her recent works like Space of Text in New York, Some Books in Tate Modern and Space of Text in Plato employ the lenticular technique to enhance the sense of depth and three-dimensionality for more convincing illusionary “simulation” effect.
As mentioned above, through the course of Kang Airan’s oeuvre, the material for virtual books has evolved from synthetic resin to plastic, and finally to combined methods that takes strong points from the both, and EL as light source has been replaced by LED. In 2009 Kang presented “hyper books” – electric signs attached to the both sides of virtual books display titles and texts of the books. She continues her experiment with diverse technologies to improve the audio-visual interactivity and to further the scope of expansion. Kang Airan’s creative efforts to extend the boundary of her own work by adopting new technology should be highly evaluated.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techno-feminism that suspects a conspiratorial connection between the oppression of women and the dominance of technology, the practice of female media artists like Kang Airan anticipates that technology art and media art can be reorganized and expanded into the realm of female art. The horizon of technological art will be broadened when the commonly accepted idea that technology is an exclusively male realm is challenged by female artists who actively experiment and apply new technology in their work. In the end, the expansion of technological art and media art will become possible through the expansion of book, expansion of man, and expansion of technology. This is another message that Kang Airan’s Digital Book Project conveys to us.
강애란의 “디지털 북 프로젝트”: 책의 확장 또는 확장된 책으로서의 “버튜얼 북”, 2010
김홍희 (경기도미술관 관장/미술평론가)
1.
강애란의 “디지털 북 프로젝트”는 전자 시대 이후 책의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숙고케 하는 작업이다. 책은 지식의 보고이자 지성사의 대표적 매체로 시대를 관통하며 존중되어 왔다. 그러나 전자문화가 활자문화를 대치하고 있는 오늘날 그 운명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21 세기의 디지털 기술과 매체 정보력이 기존의 책을 박물관의 유물로 만들 것인가, 아니면 그것에 의해 지식 체계의 재편과 새로운 질서가 이루어질 것인가. 책의 미래에 대한 이러한 우려와 기대가 작가 강애란에게는 자신의 작품세계를 진척시키는 중요한 동인이 된다.
“글로벌 빌리지” 개념을 생산한 전자 시대 이전에는 책이 전지구적 소통의 가장 강력한 매체였다. 식자와 조판 과정을 거치며 텍스트를 정확하고 빠르게 재생산하는 활자의 가동력에 힘입어 지식의 공유화와 민주화가 이루어졌고 이와 함께 인간은 “구텐베르크 맨”으로 의식화 되고 역사는 이성주의, 계몽주의에 기반한 모더니즘의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 활자는 동시대적 발명품인 원근법, 소실점과 함께 모더니즘 시각문화를 떠받치는 최대 기술로 각광 받았게 되었지만, 동시에 그것은 전자시대 촉각문화의 도래를 알리는 마지막 기술이 되었다. 이제는 활자가 아니라 전자비트, 디지털 정보, 멀티미디어 기술이 단일성, 균일성, 반복성, 결정성, 통합성과 같은 모더니즘 패러다임을 다양성, 이질성, 확산성, 유동성, 분열성으로 대 치하는 포스트모던 공감각의 시대를 열고 있는 것이다.
공감각적 반응을 요구하는 전자매체에 의해 인간 주체는 인쇄문화에서 붕괴되었던 감각의 다양성을 회복하고 지각체계의 변화를 경험한다. 이것이 마셜 맥루한이 전자매체의 메시지로 파악하는 “인간의 확장”의 의미인 바, 이러한 맥락에서 시각 뿐 아니라 오감에 어필하고 육체적 인식을 요구하는 전자시대 멀티미디어 책의 당위를 말할 수 있다. 강애란은 전자시대에 가능한 가상의 멀티미디어 책으로 “버튜얼 북”을 제안하고 있다. 그것은 멀티미디어로 책을 확장시키고 그것을 통해 인간을 확장시키는, 다시 말해 인간과 책을 상호주관적으로 통섭시키는 확장된 책에 다름 아니다. 포스트모던적 감성으로 전자시대책의 존재론에 주목하면서 “책의 확장” 또는 “확장된 책”의 개념에 도달하고 있는 강애란의 “버튜얼 북”, 나아가 “디지털 북 프로젝트”를 이런 맥락에서 개인적 비전 이상의 시의성을 담보한 작업이라고 말 할 수 있다.
2.
강애란의 “디지털 북 프로젝트”는 1999년에 집중적으로 제작, 발표된 “실제와 가상 프로젝트”로 시작된다. 이 프로젝트는 책을 모티프로 실제와 가상, 또는 실재와 재현의 이중성과 그 경계에 대한 인식론적 혼돈을 표현한 시리즈 작업이다. 이 작업의 기본 구조는 서가나 서점의 카메라 촬영 이미지를 잉크젯 프린트로 출력하여 벽면에 부치고 그 앞에 책상, 책 등 실제 오브제를 놓는 대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작가는 사진 이미지를 거울 같이 맑은 실버 마일라지에 출력하여 거울 반영이 시사하는 실물과 반영이미지, 현존과 부재의 이슈를 부각시킨다. 즉 책, 책방이 이미지로 존재하는 사물, 부재의 공간이라는 설정을 강조하고 그것을 눈앞에 존재하는 실물의 책상, 책들과 대조시킴으로써 실제와 가상의 논리를 피력하는 것이다. 벽면의 2차원 이미지와 그 앞의 3차원 실물 오브제간의 이러한 대조 효과는 책상 위 에 함께 놓인 실제 책들과 강애란이 착안, 개발, 명명한 “버튜얼 북”, 다시 말해 기존의 제본 책과 작품으로 제작된 가상의 책의 대비로 증폭된다.
강애란 작품의 핵심적 요체를 이루게 되는 “버튜얼 북”은 책은 투명 합성수지를 책 모양으 로 캐스팅한 후 그 안에 EL((Electro Luminescence, 정류된 교류전압의 충전과 방전의 순환 과정에서 전자의 움직임이 빛으로 보이게 되는 현상) 라이트를 장착하여 스스로 광채를 내게 하는 전자빛의 책이다. 작가는 빛을 발하는 투명한 가상의 책과 실제 유통되는 제본책의 공존적 대비를 통해 부재하는 책방 이미지와 실재하는 책의 대비를 반복, 강조한다. <스트랜드 서점의 가상 공간-철학 Virtual Space in Strand-Philosophy>, <반스 엔 노블의 가상공간-의학서적 Virtual Space in Bans & Noble-Medical Book> 등에서 작가는 책들이 가득한 세계의 유명 서점 이미지를 배경으로 실제 책과 가상의 책을 병치시킨다. <실제와 가상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 II에서는 책의 확장이라는 개념을 가시화하듯, 벽면에 붙은 자신의 서가 이미지에 실제 받침대를 연결하여 그 위에 빛을 발하는 가상의 책을 비치, 대조시켰다.
<실제와 가상 이미지 Reality and Virtual Image> (모순 Contradiction I, II)에서는 바닥에 널부러진 책이나 끈으로 묶인 책뭉치의 출력 이미지 앞에 가상의 책을 실제 책과 함께 보자기로 싸거나 끈으로 묶어 진열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서랍속의 지식 Knowledge in Idle Box>에서는 책상 서랍 이미지와 가상의 책들이 담긴 실물의 서랍을 대비시킨다. 한편 1999년 이천 공장미술제 출품작 <책의 무덤, 500년 이후 The Grave of the Books, After 500 Years>에서는 푸대자루가 가득한 곡식 창고 선반에 먼지 낀 고서들과 함께 빛을 발하 는 가상의 책들을 꽂아 놓았다. 책의 무덤이 발견된 500년 후에도 지식의 빛은 발할 것이라는 이 작품의 메시지를 통해 확장된 매체로서의 책의 미래에 대한 작가의 염원이 감지된다.
3.
“버튜얼 북”은 과거 강애란의 책 보따리 오브제, 즉 주로 알미늄으로 캐스팅하여 만든 보자기에 싸인 책으로부터 진화된 새로운 종의 책이다. 그것은 보자기를 풀고 나온 해방된 책, 시각적 활자를 거부하는 오감의 전자 책, 빛으로 탈물질화되는 무중력의 책으로 전자 시대 의 확장된 책을 대변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작가는 기존의 제본 책을 자신 “버튜얼 북” 모델로 사용함으로써 과거와의 단절보다는 그것으로부터의 확장되는 연속성을 강조한다. 장르적으로 철학, 문학, 의학, 미술사, 소설을 망라하고 있는 강애란의 “버튜얼 북”은 이미 발행된 책 표지를 그대로 또는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는 만큼 겉표지 가독성을 중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투명 합성수지로 책을 떠낼 때 투명 필름위에 잉크젯으로 프린트한 표지를 미리 부착시키고 그것이 내부에 정착된 EL라이트로 밝게 조명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속성을 가시화하듯, 작가는 <책 무더기 The Heap of the Books>에서 자신이 과거에 제작한 알미늄으로 캐스팅한 책보따리 한 무더기를 쌓아놓고 그 위에 가상의 책들을 얹혀 놓았다. <포장된 지식 Wrapped Knowledge> 연작에서는 가상의 책을 실제 제본 책과 함께 투명 실크 천으로 싸거나 줄로 엮어 한 묶음으로 연결해 놓았다. 투명 실크 보자기로 싸여진 <포장된 지식 VI>에는 <금세기 미술>과 <숨바꼭질>이라는 제목의 가상의 책이 끼어 있다. 기존의 미술사책과 추리소설을 “버튜얼 북”으로 작품화하고 그것을 베일과 같은 투명 보자기로 감싸는 주술적 행위를 통해 작가는 인쇄문화에 전자문화에 동등한 경의를 보낸다.
1997년까지 작가는 보자기에 싼 책을 알미늄이나 종이죽 반죽으로 캐스팅한 보따리 오브제를 제작해 왔다. 보자기, 보따리는 통상적으로 소중한 것을 숨기고 감춘다는 은밀하고 비밀스러운 행위, 또는 억압적 환경을 벗어나기 위해 짐을 꾸려 나간다는 해방 심리의 메타포로서, 그것이 특히 여성성과 결부될 때에 젠더적 페티시로 작용한다. 강애란의 보따리는, 1997년 이전의 알미늄 보따리나 이후의 실크 보따리를 막론하고, 포장된 내용물이 책이라는 점에서 개인경험, 여성심리를 초월하는 사회적, 문화적 함의를 획득한다. 책은 문화사, 지성사가 형성, 전수되는 귀중한 매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통해 이성중심주의 허구, 가 부장제의 모순이 답습되는 역기능적 측면도 안고 있다. 제본 책, 인쇄문화의 역사적 무게를 덜어내려는 듯, 작가는 빛으로 탈물질화, 탈육화되는 “버츄얼 북”을 “디지털 북 프로젝트”의 요체로 상정하는 것이다.
육중한 캐스팅 책에서 탈물질화된 투명한 가상의 책으로의 전환을 예시하는 과도기 작업으로 1977년의 <가상의 본질 Virtual Essence>을 들 수 있다. 이 작품은 다양한 사진 이미지 로 다수의 라이트박스를 만들어 그것을 그리드 형태로 벽면에 부친 설치작업이다. 보따리 책작업 사진을 비롯해 자신이 소장하고 있던 다양한 네거티브 사진을 포토샵으로 변형시켜 만든 중층적 복합 이미지들이 라이트박스의 조명 효과로 그 투명한 모습을 겹겹이 드러내며 만화경적 가상 효과를 창출한다. 빛으로 이미지를 환영화하고 나아가 그리드, 모더니즘의 대표 양식인 그리드의 규칙성과 경직성을 훼손시키는 탈물질화 행위를 통해 이후 “버튜얼 북”의 탄생을 준비한 것이다.
4.
강애란은 1999년의 “실제와 가상 프로젝트”에 이어 2000년 이후 현재까지 국내외 유수 화랑에서 본격적 차원의 “디지털 북 프로젝트”를 발표한다. 이 프로젝트 역시 기본적으로는 전자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유명 서점 이미지와 실물의 책을 병치시키는 실제와 가상의 대비로 구성된다. 그러나 서점의 이미지를 사진 출력물 뿐 아니라 비디오로도 보여주고 한층 진전된 기술로 “버츄얼 북”의 인터랙티비티를 높이면서 확장된 책으로서의 기능을 확장하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2001년 금산갤리리 개인전 <디지털북 프로젝트: 사이버 북 시티>의 출품작들이나 같은 해의 <미디어자료실의 가상공간 Virtual Space in Media Archive>, <디아 비콘의 가상공간 Virtual Space in Dia Beacon>(2003), <세인트 마크 서점의 가상공간 Virtual Space in St. Marks Bookstore>(2003) 등이 예증하듯이, 이 시기의 이미지 작업은 유명 서점의 사진 출 력물과 함께 현장을 찍은 비디오 영상을 투영시켜 부재의 공간에 대한 현장감을 증폭시키는 동시에 소위 말하는 환영적 “시뮬라시옹”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즉 사진과 비디오 이미지는 분명 실재의 기록물이지만 정적인 이미지와 동적인 이미지가 오버랩되고, 전시공간의 입체 사물이나 돌출면에까지 전방위적으로 투사되는 비디오 이미지의 변형이 현실을 왜곡시키면서 미디어로 존재하는 가짜 현실, 즉 “시뮬라르크”를 탄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당시의 “버튜얼 북”은 기술면에서 진보된 발전적 변화를 보인다. 책 형태를 합성수지 대신에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내부 광원을 EL라이트에서 LED (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 라이트로 대치하였다. EL라이트는 책받침과 같은 아날로그 광원으로서 빛이 바뀌지 않을 뿐 아니라 변색이 잘되고 깨지기 쉬운 반면, 반도체 소자인 LED는 발광색이 다양해 색채 변화가 가능하다. 작가는 플라스틱 뒷면에 확산판을 부착하여 LED광채가 책 전체로 퍼지게 만드는데, 계속적으로 깜박이며 다채로운 색깔을 내는 이 “버튜얼 북”은 이제 디지털 “버튜얼 북”, 또는 “확장된 멀 티미디어 책”으로 정의될 수 있는 하이테크 국면에 이른 것이다.
2003년에 이르면 디지털 “버튜얼 북”이 인터랙티브로 진화된다. 작가는 이 해 금산갤러리 전시에서 서점 이미지를 사진 출력과 비디오 프로젝션으로 재현시키는 한편, 그 앞에 플라스틱 책상을 놓고 4권의 가상의 책들을 진열하였다. <더 버튜얼 북스 The Virtual Books> 라는 명제하에 기존에 발행된 게르하르트 리흐터 화집, 장 보드리야르 강연집, 윌리엄 켄트리지가 말하는 부루스 나우만, 책의 역사를 차용하여 “버튜얼 북”으로 제작한 것인데, 센서작용으로 관객이 이 책들의 옆면 세네카를 만지면 책 내용이 벽면에 투사되게 만든 것이다. 손으로 책장을 넘기듯, 보기만 하던 “버튜얼 북”을 만지는 행위로 읽게 함으로써 촉각적 전자도서를 탄생시킨 것이다.
동 전시 출품작 <디지털 북 프로젝트: 더 싱잉 북 Digital Book Project : The Singing Book> 역시 인터랙티브 책이다. 조용한 공간에 일반 제본책이 한권이 펼쳐져 있는데, 관객이 가까이 가면 그것이 노래하는 책으로 바뀐다. 천정에 달린 프로젝터가 펼쳐진 책 페이지 위로 노래 가사와 코러스 영상을 투영하도록 센서가 작용하는 것이다. 같은 해 인사아트센터에서 발표한 <디지털 북 프로젝트: 인터랙티브 북 Digital Book Project : Interactive Book>에서는 관객이 벽면 출력물 앞 책상 위에 놓인 제본책 페이지를 넘기면 카메라가 페이지에 표기된 아이콘을 감지하여 관련 이미지를 3D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준다. 아이콘에 따라 때로는 기하학적 도형이, 때로는 자신의 싱글채널 비디오 이미지가 나타나는 등, 페이지가 바뀌며 화면 내용이 달라진다.
5.
강애란은 2009년 칼스루헤 ZKM과 서울 시몬갤러리에서 사각의 구조물로 만들어진 일종의 “책 읽어주는 방”을 발표하였다. 인터랙티브 책에서 인터랙티브 독서실로 책의 확장을 시도한 것인데, ZKM에는 (스크린을 만드는) 파나플렉스 천을, 시몬갤러리에는 거울(외부는 은경,내부는 흑경)을 벽면재료로 사용하고 제목은 각기 <책의공간-숭고TheSpaceof Book - The Sublime>, <숭고-헤테로토피아 공간 The Sublime–The Space of Heterotopia>라고 부쳤다.
제목이 시사하듯이 이 작품은 숭고를 주제로 하고 있다. 작가는 캐스퍼 다비드 프레드리히, 죠셉 윌리엄 터너, 마크 로드코, 바넷 뉴만, 제임스 터렐 등 숭고미학과 관련된 근현대의 5인의 작가를 선택하여 그들에 관한 저서를 가상의 책으로 제작해 구조물 외부에 비치하였다. 관객이 그 가운데 하나를 들고 내부로 들어가면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로 빛을 이용하는 바코드와 다르게 먼 거리에서도 감지가 가능하고 중간에 위치한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에 의해 책 내용을 알리는 텍스트와 이미지가 사방 벽면에 비춰지는 한편, 4UI 초음속 전파 감지기 (Transonic Wave Sensors)에 의해 텍스트 내용이 낭독된다. 관객이 만져야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아날로그식으로 부분 부분이 연쇄적으로 작동되던 2003년 인터랙티브 작업들과는 달리, 여기서는 들기만 하면 센서 작용으로 매번 새롭게 처음부터 리플레이된다. 관객은 텍스트, 비디오 이미지, 낭독음들을 통해 온몸으로 느끼는 새로운 공감각적 독서를 경험하게 된다. 시청각적 자료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플레이되면서 비선형적이고 비고정적이며 파생적인 하이퍼텍스트 효과가 창출되는 것이다. 관객들은 이러한 하이퍼텍스트 정보를 통해 인터페이스, 인터랙티비티, 인터텍스튜얼리티를 체감하게 된다.
시각적 텍스트와 이미지에 청각적 음향까지 중첩되는 이 멀티미디어 독서실은 버튜얼 네비게이션을 요구하는 “헤테로토피아” 공간으로 기능한다. 인지 가능한 모든 요소들이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중첩되어 있어 일체의 정의가 불가능한 헤테로토피아 공간, 그 속에서 관객은 균일하고 일관되고 통합된 호모토피아와 상반되는 이질적이고 복합적이고 파생적인 일종의 카오스를 경험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각적 혼란은 시몬 갤러리 경우에서와 같이 구조물 벽면이 부쳐진 거울효과에 의해 극대화 된다.
거울은 실제 주위 공간과 사물을 반영시키는 반영원리를 통해 현실과 비현실, 존재와 부재의 통상적 관계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이미 “실제와 가상 프로젝트”에서도 실험되었듯이, 작품에 거울이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 부착된 거울면이 주변 공간, 나아가 현장의 관객이 작품 속에 관통되는 일류전을 허용함으로써 작품과 공간의 현실적 관계를 교란시키고 작품의 시각적 통합성을 붕괴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관객의 시점이나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 그것이 야기하는 복수 반영으로 인해 그 파생적 효과가 증폭된다. 그러나 실제와 가상, 실체와 반영 이미지의 대립으로 공간적 안정성이 거부되는 순간, 실제과 실체에 대한 지각이 재규정되면서 대립항들의 상호의존적 병치가 이루어진다. 이것이 존재와 부재, 진짜와 가짜, 실재와 시뮬라르크, 토피아와 유토피아를 왕래하며 무질서속의 질서, 카오스속의 코스모스를 창출하는 거울반영적 헤테로토피아 효과이다.
강애란은 이렇게 경계에 기거하며 이중적, 중층적 감흥을 유도하는 헤테로토피아를 숭고의 미학으로 풀이하는 듯하다. 헤테로토피아를 인간이 도달할 수 없는 절대적, 초월적 경지,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 모두에 호소하는 형용할 수 없는 압도적 감흥, 그에 따른 인간 의식의 균열, 분열, 파열적 정신 상태에 비견하는 것이다. 프레드리히, 터너, 로드코, 뉴만, 터렐이 추구했던 이러한 숭고의 경지를 강애란은 멀티미디어 헤테로토피아 공간으로 대변하고자 한 것이다. 실로 강애란은 공감각적 하이퍼텍스트와 반영적 일루전을 통해 사각의 구조물 내부를 호모토피아가 아닌 헤테로토피아로 활성화하고 그것을 통해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숭고의 감흥을 일궈낸 것이다. 이제 사각의 독서실은 더 이상 물리적 공간, 자연적 장소가 아니라 헤테로토피아적 숭고 감흥을 유발시키는 체험의 공간이 된다.
의식과 무의식, 미와 추, 매혹과 그로테스크의 경계에서 주체할 수도, 형용할 수 없는 이중적 감흥을 유발하는 숭고와 마찬가지로 강애란의 헤테로토피아는 정의 불가능하고 예측 불가능하고 애매모호하다. 문법적 “랑그”보다는 현실속에서 말해지고 끊임없이 변형되는 “파롤” 처럼, 또한 행위와 이동을 통해서만 규정, 재규정되는 유동적 도시와 같이, 그곳은 현재진행형의 퍼포먼스가 행해지는 생의 공간이자, 텍스트, 이미지, 음성, 그리고 관객이 한데 어우러져 독서의 퍼포먼스를 행하는 인터랙티브 공간이다. 강애란의 책 읽어 주는 방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단지 숭고 주제 책들의 내용이 아니라 버튜얼리티, 인터랙티비티, 시뮬라시옹, 하이퍼텍스트, 헤테로토피아를 체험시키는 멀티미디어 기술 자체인 것이다.
6.
알류미늄 캐스팅작업에서 최근의 멀티미디어 작업에 이르기까지 강애란의 변치않는 주제는 책이다. 그러나 동 주제에 접근하는 방식과 태도는 끊임없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재료의 선택도 달라진다. 캐스팅 책에서 “버튜얼 북”으로 전환하면서 무겁고 불투명한 금속재료를 탈피하여 합성수지나 플라스틱 같은 가볍고 투명한 재료를 사용한다. 이미지 출력지로 거울 같은 마일라지를 사용하는가 하면, 2008년 도쿄 클리어 갤러리의 <일생, 어떤 책들 One Life, Some Books>전시에서는 사방이 유리창인 전시장 사이트의 특성을 살려 유리로 서가를 만들었다. 2009년 교토 엔아트 갤러리 eN Arts Gallery의 <유토피아와 헤테로포피아 사이 In Between Utopia and Heterotopia> 전시에서는 전시장 사방 벽에 거울을 부착했고, 같은해 시몬 갤러리 독서실은 거울벽으로 만들었다.
합성수지, 플라스틱, 유리, 거울과 같은 투명 재료들은 작가의 탈물질화 의지를 충족시키는 미학적 매체들이다. “디지털 북”, “버튜얼 북”과 작가 작업의 키워드는 재료의 물성을 약화 시키는 탈물질적 제스쳐로 개념적, 조형적 가시화가 가능하며, 그것은 나아가 신재료의 발굴, 신기술의 수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평면 출력물 작업으로 작가는 마일라 필름지나 메탈판에 잉크젯 프린트를 하다가, 최근에는 <뉴욕의 텍스트 공간 Space of Text in New York>, <테이트 모던 미술관의 책들 Some Books in Tate Modern>, <플라톤의 텍스트 공간 Space of Text in Plato>등에서와 같이, 좀 더 환영적인 시뮬라시옹 효과를 위해 깊이감과 입체감을 더해주는 렌티큘러 수법을 기용한다.
전술했듯이, 작가는 “버튜얼 북”의 재료로 합성수지에 이어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이제는 양자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 혼합형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광원도 EL에서 LED로 교체하였다. 2009년에는 “버튜얼 북”의 양쪽 세네카를 전광판으로 만들어 제목과 내용 텍스트가 흐르게 한 “하이퍼 북”을 발표하였다. 그밖에 다양한 기술로 시청각적 인터랙티브를 시도하면서 확장의 용량을 키우고 있다. 이렇게 최신 기술을 수용하면서 스스로를 기술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점에서 미디어 작가 강애란의 창조적 노력을 평가할 수 있다. 더구나 여성의 억압과 기술적 지배 사이에 공모적 연관성이 있다는 테크노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볼 때, 강애란과 같은 여성 미디어 작가의 창조 활동을 통해 테크놀로지 아트, 미디어 아트가 여성적 범주로 재편, 확장될 수 있다는 기대를 걸게 한다. 테크놀로지가 남성의 전유물이라는 고정 관념을 깨고 여성작가에 의해 실험, 수용될 때에 테크놀로지 아트의 지평이 확장될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결국 책의 확장, 인간의 확장, 기술의 확장이 테크놀로지 아트, 미디어 아트의 확장을 가능케 한다는 것인데, 이것이 강애란 “디지털 북 프로젝트”의 또 다른 메시지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