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ANKANG

WORKS

PUBLICATIONS

         TEXT

  PRESS

                        CV

CONTACT

이번 <The Contemplation of Books, The Empathy of Light> 책의 사유, 빛의 공감 2024 전시는 미래의 세상에 걱정과 환상을 가지고 있는 우리 인간의 한사람으로서 나는 '책'으로부터 영감을 받고 책으로부터 얻어낸 문구들을 되네이며, 그들 '생각의 편'에 서게 된다. '공감'은 정말 중요하다. 인간은 우리의 뇌와 마음을 조화롭게 작동시킬 때 비로소 우리의 풍부하고 올바른 잠재력을 이룰 수 있다. 그 잠재력에는 특히 여성들의 삶에서 겪은 모든 고난과 고뇌 슬픔은 강인함의 원동력이 되며 이를 이겨내야하는 하나의 지침이 된다. 이번에는 미래에 대한 상상 속에서 키워온 VR작품을 통해 그동안 추구해온 '공감각적 공간'을 구현해낸다. 
빛나는 책이 놓여진 '지혜의 타워링' 공간에 Donna Haraway의 사이보그 선언문이 울려퍼지는 이곳은 환상의 서가이자 여행의 출발을 이끄는 출발점이다. 미래 세계로 인도하는 책들이 여기에 있다. 가상과 현실을 잇는 인터페이스인 유리의자에 앉으면 앞에 Donna Haraway의 책 A Manifesto for Cyborgs: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ist Feminism in the 1980s이 등장한다. 관객이 책을 잡는 순간 전시 제목인 <The Contemplation of Books, The Empathy of Light>가 전면에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중앙에 나타난 빛의 책들 사이로 도나 해러웨이의 문구가 나타난다. 텍스트는 책의 그것처럼 정적이지 않으며  물결치며 움직이거나 서로 겹치며 글의 활동성, 적극성을 드러낸다. 
제목에서 의미하듯 ‘영장류’는 인간과 동물 사이의 존재이고 ‘사이보그’는 인간과 기계 사이에 선 존재인 것처럼 도나 해러웨이는 여자가 서구 사유 전통에서 인간(남성)과 비인간의 사이의 존재였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처럼 경계에 놓인 존재들은 필연적으로 도발과 전복을 통해 드러나고 성장하며, 기존의 완고한 틀을 지우고 사유의 해방을 이끄는 존재로 인지한다. 이는 현실과 가상 사이 경계에 존재하게 한 이유와도 맞닿아 있으며 관객 앞에 놓인 빛의 책들의 역할이기도 하다.  
도나 해러웨이의 글이 사라지고 이윽고 또 세계로 진입하는 책 <Room for Reflection>이 나타난다. 이 책을 잡으면 ‘Room for Reflection’ 설치 작품에 쓰인 흑백의 책방 이미지가 세면을 두르고  중간에 ‘지혜의 타워링’이 서있다.
한 걸음씩 타워로 다가가면 ‘Denis Mukwege’의 책 <The Power of Women: Harness Your Unique Strengths to Create a Better World>가 보이고 손을 뻗어 책을 잡으면 비로소 영구한 시간의 공간으로 진입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사막의 공간은 시간의 축적으로 이루어져 가는 인류의 역사와 기록의 영원성을 상징한다. 가상공간 속 사막의 시간은 무한히 흐르고 등방하게 팽창하는 우주의 공간처럼 특정한 방향으로의 힘이 주어지지 않은 채 글귀의 의미에 의해서만 다른 공간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곳은 사람이 더 이상 거주할 수 없는 황폐하고 척박한 땅이다. 
기후 변화와 미래환경에 대비하지 않고 자연에 순응하지 못한다면 인류 문명이 마주할 위기의 얼굴이기도 하다. 관객이 처음으로 만나는사막 공간에는 직전의 ‘환영의 방’에서 본 지혜의 타워링이 다시 나타나고 Denis Mukwege의 책이 기다리고 있다.
책을 잡으면 공중에 책의 문구가 나타나고 흩어진다. 순간 나타나고 분산되며 멀리까지 흩어지는 파티클은 이곳을 ‘글의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무케베의 글귀는 예측 불가능한 미래 세계로 진입하는 인류에게 고난이 침범할 수 없는 ‘결의’만이 진정한 강인함이며 앞으로 닥칠 숱한 위기를 넘어갈 열쇠임을 내비친다. 비록 뜨겁던 해가 지평선 뒤로 넘어가고 어두운 밤이 찾아오기 전이지만 어두워질 수록 빛은 선명해질 것이다.
조금 후 Rosi Braidotti의 책이 다음 공간으로 가는 문으로 나타난다. 책을 터치하고 새롭게 만난 붉은 사막은 얼핏 아름다워 보일 수 있으나 인간이 살 수 없이 오염된 곳이다. Rosi Braidotti가 역설한 포스트휴먼 여성주의는 각종 차별과 신자유주의의 논리로 파괴된 이 붉은 대지를 복구할 열쇠일지도 모른다. 이윽고 Jane Goodal의 책이 보인다. 깊은 밤이 되었다. 거대한 바위 틈 사이 비밀처럼 놓여진 제인구달의 글은 ‘공감’과 ‘희망’의 힘을 말하며 강한 빛을 발한다. 생명이 존재할 수 없을 것만 같던 사막에 푸른 풀이 자라나 있다. 이윽고 Ana Mendieta의 책이 나타난다.
밤이 지나갔다. 하지만 맑고 빛나는 아침은 오지 않았다. 공해가 심화되고 인공적인 하늘은 진한 노란 빛이다. Ana Mendieta에 의하면 인류가 설 자리를 잃게 되는 것은 비단 기후 변화로 인한 생태계의 문제를 넘어, 개인주의와 이를 암묵적으로 동조하는 사회 시스템이다. 공존과 상호연결로 나아가야 한다. 변혁의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앞에 Sherri Mitchell의 책이 빛나고 있다. 하지만 인류는 희망을 가지고 나아갈 것이다. 마지막 사막 공간에는 이를 증언하듯이 공감 어린 빛을 품은 흰 나무가 곧게 뿌리내리고 서있다. 세상은 아직 캄캄한 밤이지만 인류의 영구한 지성과 기록들이 갈 길을 밝혀줄 것이다. Sherri Mitchell의 말처럼 개인주의와 분열, 불평등과 배척으로부터 공존과 조화, 균형의 힘으로써 미래는 지속가능한 세계로 나아갈 것이다. 이것이 생명의 가능성이다. 인류의 잠재된 힘, 숭고한 빛이다. 
모든 글을 내포한 책 <When we need to Listen>이 등장하고 무구한 기록의 방으로 넘어간다.
앞서 우리를 인도한 모든 글귀들이 우주와 같은 공간에서 날실과 씨실처럼 엮이고 움직이며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고 있다. 글의 방은 영원히 역동할 것이며 가상 현실에서 관객의 바깥을 두른 이 움직임은 현실 세계로 돌아온 우리의 내면으로 자리해 새로운 희망과 나아갈 힘이 될 것이다.

In this 2024 exhibition <The Contemplation of Books, The Empathy of Light>, I have drawn inspiration from books, reflecting on the passages they offer and creating new works aligned with their 'thoughts'.
‘Empathy’ is key. Only when our brains and hearts work harmoniously, we can unlock our true and rich potential. In it, for women especially, the suffering and pain they endure become sources of strength, and this power becomes the guide to overcome the pain. This exhibition embodies the "symptomatic space" pursued through VR works that have been raised in the imagination of the future, and places books that lead to the future world in a virtual space. When the audience sits down on the glass chair that serves as an interface between the virtual and real worlds, Haraway’s lighting book, 『A Manifesto for Cyborgs: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ist Feminism in the 1980s』 appears. The moment the audience picks up the book, the exhibition’s title <The Contemplation of Books, The Empathy of Light> briefly flashes and fades out, and in the middle of the space, Haraway’s words appear on the surface of lighting books gridded. Text is not calm like in the book, but revealing their active meaning by moving or rippling across. 
Haraway argues that 'primates' exist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cyborg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similarly, she points out how women in Western thought have occupied the space between human(male) and non-human. And she sees that the existence of boundaries, by necessity, emerges through provocation and subversion, erasing rigid frameworks and advancing liberated thought. This is why these books exist between reality and the virtual and this is the role of ‘Lighting Books’. As Haraway's words vanish, the second book 『Room for Reflection』 appears leading to an another world. Inside this book, we see an image of a black-and-white bookstore, with the 'The Towering of Intelligence' standing at its center. As audience steps closer, they see Denis Mukwege’s 『The Power of Women: Harness Your Unique Strengths to Create a Better World』 and as grasping this book, finally it transports us into a timeless space. The desert spaces are symbolizing the eternity of human history and records which is made up of the accumulation of time. In the five desert spaces that will appear by now, there is a small house wearing holograms. This house is a "storage of memories" remembering the earth of the past, which was beautiful to mankind, and causing worries about the future. 
The vast Wadi Rum desert of Jordan, which I visited two years ago and the film ‘Dune’ was the big motivation of my endless imagination about the desert. The desert in the virtual space that has been set up is like the space of the universe where time flows infinitely and expands isometrically, without any specific directional force, it moves to another space only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text. 
On the other hand, this is a dilapidated and barren land where people can no longer inhabit. It is the face of the crisis that human civilization will face if it fails to adapt to nature and fails to prepare for climate change and future environments. 
In this desert space, the 'The Towering of Intelligence' reappears, and Mukwege’s book is waiting. When touched, its words disperse into the air, transforming the place into a 'space of text.' Mukwege’s texts suggest that the key to overcoming future crises lies in the strength of our ‘will’ to resolve. As the sun sets behind the horizon and darkness approaches, but the light becomes even more vivid. Next, Rosi Braidotti’s book opens a door to a new space. The red desert, though seemingly beautiful, is uninhabitable due to pollution. Posthuman feminism, as argued by Braidotti, may hold the key to restoring this ravaged land. Soon, Jane Goodall’s book appears. Deep into the night, hidden among the rocks, Goodall’s writings speak of the power of empathy and hope as shining. In what once seemed a barren wasteland, green grass begins to grow. Finally, Ana Mendieta’s book emerges. 
The night has passed, but the morning is not bright and clear. The polluted sky glows a deep yellow. Mendieta suggests that humanity’s displacement is not solely a result of ecological crises but also due to individualism and the societal systems that silently condone it. Yet, even in this heat, trees and grass are growing. This is the tenacious power of life. We must move toward coexistence and interconnection. The moment of transformation is approaching. Sherri Mitchell’s book appears, as glowing. 
Though humanity faces challenges, hope will guide us forward. In the last desert space, a white tree rooted in empathy and light stands tall. Though the world remains dark, the collective intellect and records of humanity will illuminate the way. As Mitchell says, only by overcoming individualism and embracing coexistence, harmony, and balance can we move toward a sustainable future. This is the possibility of life and the sublimity of light. But humanity will move toward without losing hope. In the final desert space, like its’ witness, a white tree imbued with a compassionate light, stands tall. Though the world is still shrouded in darkness, the eternal intellect and records of humanity will illuminate the path ahead. As Sherri Mitchell expresses, from individualism, division, inequality, and exclusion, we must move toward coexistence, harmony, and balance to create a sustainable future. This is the potential of life, the latent strength of humanity, the sublime light. 
A book titled 『When We Need to Listen』 appears, leading us into the room of timeless records. All the words that have guided us so far weave together like threads in the vastness of space, creating new meanings as they move. The room of words will forever be dynamic. And the movement that surrounds the viewer in virtual reality will find its place within us when we return to the real world, offering new hope and the strength to move forward. 
Luminous Poem, 갤러리 시몬, 서울, 2011

<Luminous Poem>에서는 밀턴의 “Light”, 에머슨의 “Ode to Beauty”, 카렌 톰슨의 “One Touch”, 에드가 알란 포의 “A Dream Within A Dream”, 세익스피어의 “Sonnet 18”, 키츠의 “Ode to Autumn”, 바이런 경의 “She Walks in Beauty” 등 , 아름다움, 꿈을 구가하는 10권의 낭만적인 책들로 라이팅북으로 제작하였다. 여기서는 대형 책 모양의 구조물로 책 읽어주는 방을 만들어 관객과 인터렉트하는 공감각적 환경을 창출하였다.

In Luminous Poem, ten books of romantic poetry praising beauty and dream – “Once by the ocean” by Robert Frost, “Light” by John Milton, “Ode to Beauty” by Ralph Waldo Emerson, “One Touch” by Karen Thompson, “A Dream Within a Dream” by Edgar Allan Poe, “Sonnet 18” by William Shakespeare, “Ode to Autumn” by John Keats and “She Walk in Beauty” by Lord Byron, “The tempest” by James, T. Field, “To Helen 2” by Edgar Allen Poe – are presented as lighting books. A reading room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uge book creates a synesthetic environment where viewers can interact with the work. 


강애란–디지털 북 프로젝트

나의 책은 그저 물건이 아니고 하나의 공간이며 시간이다. 그리고 그것의 깊이, 넓이와 부피를 담고 있는 디지털 개념의 공간이다. 책 속에는 많은 사람들의 삶과 그 이야기가 농축되어 있고, 그래서 그 속에서 삶을 읽고 지식을 얻는 것이다.  나는 지식의 유목적인 방랑을 담아내는 책 본래의 사이버적 정체성을 발견하고,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언어와 지식, 소통의 차원들을 책이라는 모티브를 통하여 발견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책 프로젝트: 사이버 북 시티> (2001)부터 이후 작업은 주로 여러 나라의 서점들을 찾아가서 그 실내 사진을 찍고, 책을 고르는 고객들을 비디오에 담는다. 이런 서점 사진, 비디오를 가지고 전시장 벽에 가상의 서점을 구성한 후 디지털 책들을 설치함으로서 서점환경을 만든다. 서점에서 책을 읽고 있는 사람들을 찍은 비디오를 투사하고, 전시장 바닥에서 천장까지 도배한 서점의 실내를 보여주는 사진과 그위에 설치된 디지털 책들, 이를 쳐다보는 전시장의 관객 등이 구성하는 형식적, 주제적 구성은 빛이 나는 요소들을 더 함으로서 존재론적으로 불안한 홀로그램 환경과 유사하게 만든다. 그러나 동시에 역설적으로 이런 합성 환경에서는 시뮬라크럼이 너무나 사실적이며 반대로 사실적인 것이 시뮬라크럼 같은 디지털의 유기적 미를 창출하고자 한다.     

최근작 The Virtual Books은 특정공간에 미디어 인스톨레이션한 작업으로 이러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하나의 벽면에는 실버 마일러지에 디지털 프린트된 책방 이미지를 벽 개념으로 천정에서 바닥까지 부착하고 반대쪽에는 벽면 가득히 영상이 투사된다. 이로서 가상의 책방이 완성되며, 공간 안에 놓여진 플라스틱 책상 위에 4개의 불빛이 장착된 플라스틱 책이 놓여진다. 이 가상의 책방에 들어선 관객은 책을 만지는 행위를 함으로써 그 책 안에 담긴 내용이 프로젝션됨을 알 수 있다. 

또 하나 The Singing Book에서는 조용하고 컴컴한 공간에 종이로 만든 책이 한 권 책상에 놓여져 있다. 책상에 가까이 가면 센서의 작동에 의해 노래하는 책이 시작된다. 사운드, 텍스트와 함께 노래하는 코러스의 영상이 절묘하게 나타난다.

이는 책이라는 것이 이 디지털시대에 단지 책으로 읽혀지는 것이 아닌 무한한 깊이와 부피를 내포하고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임을 말하고자 함이다. 

인류의 지식에 관한 역사를 대변하는 책이라는 모티브를 통하여 디지털 시대를 맞이한 인간에게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고 새로운 문화에 대한 성찰이 나의 디지털 북 프로젝트의 목적이다. 기본적으로 책은 유목민적 방랑의 시작이며 지속이다. 이제 인간의 경험을 서로 연결하고 신경시스템을 지구전체로 확장하는 수단이 전자적 비트에 의해서 가능하게 되었으며 사이버 스페이스의 출현은 권력의 중심의 요새에서 벗어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게 드는 전자적 인간들이 더욱더 자유롭게 정보와 지식을 분류하고 편집하면서 또 다른 책의 문화를 만들어 가도록 하고 있다.

나는 책들이 가득 꽂힌 서가 이미지를 만들고, 몰드 작업을 통해 실제 책 사이즈의 투명한 오브제 책을 만든 후 내부에 라이트를 장착하여 빛을 발하는 책을 만든다.  디지털 북 프로젝트를 통하여 훨씬 공간적이고 현장적인 작업으로 확장시켜 극적 효과를 구한다. 책을 단순히 오브제로서의 물질적인 개념만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가로지르는 비물질의 공간으로 설정한 것이다. 그 비물질의 공간에서 전통적 개념의 책은 질주하는 지식의 통신체가 되며, 아날로그적 개념과 버추얼한 개념의 책의 의미가 한 곳에서 돌고 도는 복합체가 되기도 한다. 우리 인간은 그 안에서 모든 지식의 스텍트럼을 체험하고 나누며, 또 새롭게 지식을 창출하는 것이다.

나의 디지털 북 트로젝트가 환영적이자 감촉적이며, 숭고성과 혁명적인 쾌감의 위력을 가진 희망과 잠재성의 영구적 공간에서 지속되기를 바란다.




Kang Airan–Digital Book Project


My book is not merely an object; it is a space and time. It represents a digital conceptual space that contains depth, width, and volume. Within a book, the lives and stories of many people are condensed, allowing readers to explore life and gain knowledge. I sought to discover the cybernetic identity inherent in books, capturing the nomadic wanderings of knowledge, and to uncover new dimensions of language, knowledge, and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era through the motif of the book.

Since Digital Book Project: Cyber Book City (2001), my subsequent works primarily involve visiting bookstores in various countries, photographing their interiors, and filming customers selecting books. Using these bookstore photos and videos, I construct a virtual bookstore on the walls of the exhibition space and install digital books, thereby creating a bookstore environment. Videos of people reading books in bookstores are projected, while photographs depicting bookstore interiors—covering the space from floor to ceiling—and digital books installed atop them, alongside viewers observing these installations, come together to form a formal and thematic composition. The addition of luminous elements renders the space similar to an ontologically unstable hologram environment. However, paradoxically, in this synthetic environment, the simulacrum appears so realistic that the real, in turn, seems like a simulacrum, creating the organic beauty of the digital.

My recent work, The Virtual Books, is a media installation in a specific space where these concepts become more explicit. On one wall, images of a bookstore are digitally printed on silver mylar and attached from ceiling to floor, forming a wall concept. On the opposite wall, a video is projected across the entire surface. In this way, a virtual bookstore is completed. Within this space, a plastic desk holds four plastic books, each equipped with lights. Upon entering this virtual bookstore, viewers discover that touching these books triggers projections of the content contained within them.

Another work, The Singing Book, features a single paper book placed on a desk in a quiet, dark space. As viewers approach the desk, sensors activate the book, which begins to sing. The sound, text, and video of a chorus singing appear in perfect harmony.

These works emphasize that, in the digital age, books are no longer limited to being mere objects for reading but represent new conceptual spaces encompassing infinite depth and volume.

The purpose of my digital book project is to reinterpret the meanings of time and space for humanity in the digital age through the motif of the book, which represents the history of human knowledge. Essentially, a book signifies the beginning and continuation of nomadic wandering. Today, human experiences are interconnected, and the emergence of cyberspace allows electronic beings to traverse boundaries freely, classifying and edi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thus creating new cultures of books. The electronic bit has made it possible to expand the nervous system across the entire globe, enabling this freedom.

I create images of bookshelves filled with books, produce transparent book-shaped objects through molding that match the actual size of books, and install lights inside them, resulting in glowing books. Through the Digital Book Project, I expand my work into a more spatial and site-specific experience to achieve dramatic effects. I redefine the book not merely as a physical object but as an immaterial space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Within this immaterial space,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book becomes a communication body of racing knowledge, and the meanings of analog and virtual books intertwine, circulating as a complex entity. Humanity, within this space, experiences and shares the entire spectrum of knowledge, continuously creating new knowledge.

I hope that my Digital Book Project continues in a space of permanence filled with the hope and potential of a visionary, tactile, sublime, and revolutionary sense of pleasure.

나는 지금까지 인류 역사의 흐름 속에서 책의 상징성, 인식론적, 존재론적 의미와 지식과 정보의 보고로써 그 불변의 가치에 주목했다. 이제 책이라는 것은 새로운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단지 읽는다는 의미 뿐만 아니라 공감각적으로 인식된다. 이에 따른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고 앞으로 마주하게 될 새로운 시대, 그리고 새로운 문화에 대한 성찰이 나의 디지털 북 프로젝트의 목적이다.

디지털 북 프로젝트는 라이팅으로 책의 물질성을 탈물질화, 탈육화시키는 “버츄얼 북”을 근간으로 한다. 몰드로 투명 책을 만들고 내부에  라이트를 장착시킨 버츄얼 북이 실제 서점이나 도서관을 촬영한 비디오 영상과 함께 설치되면서 공감각적 가상의 환경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버츄얼 북은 2006년 인터렉티브로 진화된다. 관객이 버츄얼 북을 만지면 텍스트가 벽면에 투사되는 일종의 촉각적 전자도서인 것이다. 2009년에는 관객이 버츄얼 북을 가지고 독서실 내부로 들어가면 RFID 센서에 의해 텍스트가 낭독되는 “ The Sublime–책 읽어주는 방”을 제작하였다. 시청각적 자료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플레이 되면서 비선형적이고 비고정적이며 파생적인 하이퍼텍스트 효과가 창출된다. 이제 독서실은 더 이상 물리적 공간, 자연적 장소가 아니라 숭고 감흥을 유발시키는 헤테로토피아적 체험의 공간이 된다. 2011년 작품 “Luminous Poem”에서는 라이팅 북으로 변환된 10권의 시집이 센서로 관객과 인터랙트하면서 시를 읽어주는 전자 환경을 창출하였다.   

동시에 책문화에 대한 서구적 관점으로부터 벗어나 한국의 역사, 한국의 정체성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 여성으로서의 나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한국 여성문화사의 선구적인 역할을 한 조선시대 여류시인에 주목하게 되었다. 한학을 배울 수 없었던 그 시대의 여성들은 시적 메타포로서 그들의 감정을 전달 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그들이 남긴 유산을 여성의 시각으로 재해석하고자 했다. 조선시대의 여성들의 전유물이었던 한글 철자, 싯귀들을 영상화한 <Bibliotheca Luminosa-Cella Auctor Mulieris>를 통해 디지털 북 프로젝트를 시공간적으로 확장하였으며 “빛나는 대한제국의 날들 프로젝트”를 거쳐  현재도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적 소재를 지속적으로 연구중이다. 

2016년의 <A Room of Her Own>은  20세기 초 한국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사회적 관습을 물리치고 독자적인 삶의 형태를 이끌어내고자 지난한 목소리를 냈던 여성들 -나혜석, 김일엽, 최승희, 윤심덕과 더불어 같은 시기에 전쟁에 의한 성폭력 희생자로서 불행한 삶을 살게 된 위안부 여성들- 의 삶을 들여다봄으로써 우리 근현대사가 품었던 다양한 문제성을 등장시켰다. “여성이 글을 쓰려면 돈과 자기만의 방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던 20세기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인물인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1929)에서 착안하였다. 그녀들 모두 시대의 사회적 통념을 거부하고 전쟁을 반대하며, 새로운 시대의 윤리와 철학을 희구하였으며, 남녀의 평등을 주장했고 인간의 본능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일맥상통 하였으며 결국 ‘자기만의 방’은 이들이 지적, 감정적 사고를 정리하며 사색을 즐기고 인간과 세계를 볼 수 있는 저항의 능력을 길렀던 안식과 독립의 장소일 뿐 아니라 우리 현대사를 통해 성찰하고자 하는 반성적 삶의 의지일 것이다. 


I have focused on an immutable value of book as repositor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ith its symbolism,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meanings throughout human history. Today, book is not merely object to be read, but is perceived in a synesthetic way for those of us living in a new era. The goal of my digital book project is evoking new meanings of time and space and reflecting on the new age and the culture that we will encounter in the future. 

The “Digital Book Project” is based on a “Virtual Book” that dematerializes and deconstructs the physical form of books through light. Transparent books made from plastic and molds, equipped inside with LED lights, are installed alongside video footage of real bookstores or libraries, creating a multisensory virtual environment. 
Since 2006, this “Virtual Book” has evolved interactively. 

When touched, the book projects articles onto the wall and activate spoken text via RFID sensors.
The advanced one, “The Sublime – A Room for Reading” became a kind of tactile and auditory electronic book. It produce nonlinear, nonconventional and hypertextual effect through the simultaneous playback of audiovisual materials. Libraries are no longer simply physical spaces but become heterotopia experiences that evoke a sense of the sublime. 

In the 2011 work “Luminous Poem”, ten volumes of poetry transformed into lighting books, created an electronic environment where the poetry was read aloud through interaction with visitors by its sensors. At the same time, I began to move away from Western perspectives on book culture, focusing on Korean history and identity. Particularly as a Korean woman, I turned my attention to female poets of the Joseon Dynasty, who played pioneering roles in Korean women’s cultural history. These women, unable to study Chinese classics, had no choice but to convey their emotions through poetic metaphors, so I tried to reinterpret their legacy from a female perspective. Through works such as “Bibliotheca Luminosa-Cella Auctor Mulieris (The Room of the Pioneer)”, which visualized Hangeul texts and poem verses traditionally owned by Joseon women (Shin Saimdang, Heo Nanseolheon, Lee Maechang, etc.), I expanded the digital book project across time and space. And through “The Luminous Days of the Korean Empire”, I have continued to explore Korean themes, currently focusing on the poetry of Jeong Yak- yong. 

The 2016 work, “A Room of Her Own” brought to light various problems that our modern history had by revisiting the lives of women who defied social norms assigned to women in early 20th-century and tried to take one’s own life - Na Hye-seok, Kim Il- yeop, Choi Seung-hee, and Yun Sim-deok - as well as comfort women who tragically became victims of wartime sexual violence at the same period of time. This work had been inspired by Virginia Woolf's 『A Room of One’s Own』 (1929), in which she asserts that “a woman must have money and a room of her own if she is to write.” These women, including Woolf, are in the same vein as rejecting social conventions, opposing war, seeking new ethics and philosophies, claiming gender equality and as valuing human instinct. Thus, 『A Room of One’s Own』was not only a secure and independent place where they organized her intellectual and emotional thoughts, enjoyed contemplation and developed the ability to resist and see people and the world, but the will to lead a reflective life through contemplate modern history. 


숭고의 방  
2000년부터 시작된 “버츄얼 북”은 2006년 “인터랙티브 북”으로 진화된다. 게르하르트 리히터 화집, 장 보드리야르 강연집 등을 라이팅북으로 제작하고 센서를 장착하여 관객이 이 책들의 페이지를 넘기거나 옆면을 만지면 책 내용이 벽면에 투사되게 하였다. 시각적 “버츄얼 북”이 촉각적 전자도서로 재탄생한 것이다.


The Site of the Sublime
Virtual Book, which began in 2000, evolved into an "interactive book" in 2006. Writing books such as Gerhard Richter's collection of paintings and Jean  Baudrillard’s lecture collection were made and sensors were installed to project the contents of the book onto the wall when the audience turned the pages or touched the sides of the books. The visual "virtual book" was reborn as a tactile electronic book.
©AIRANKANG  
2025